포탈사이트
-
한글날 맞이 포탈사이트들의 로고 변화들..IT topics 2008. 10. 9. 21:31
오늘은 562돌을 맞는 한글날이다. 한글에 대한 우수성은 이미 전세계가 인정을 했기 때문에 따로 얘기할 필요가 없다. 이런 한글날을 우리네 포탈사이트들은 어떻게 맞이하고 있는지 한번 살펴봤다. 네이버 보통은 NAVER라는 영문으로 표기가 되는데 오늘은 한글로 깔끔하게 네이버로 표시가 된다. 네이버에 처음 접속하면 네이버라는 글자가 여러번 바뀌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아마도 응모했다던지 해서 다양한 글자체를 받아서 표시하도록 했던거 같다. 나름 참신한 시도인거 같다. 다만 폰트가 영 촌스럽다고 해야하나 왠지 어색하게 느껴지는 것은 어쩔 수 없는가보다. 워낙 NAVER라는 글자에 더 익숙해져있다보니 그런가보다. 다음 보통은 DAUM으로 표시가 되는데 한글날 특집(?)으로 다음이라고 표시하도록 했다. 네이버와..
-
야후, AOL을 인수하려는가?IT topics 2008. 10. 7. 11:50
한동안 MS의 인수설로 인해 곤혹을 치루고 있었던 야후가 이제는 AOL을 인수할려고 하는걸까? 테크크런치 등의 외신들은 야후가 AOL의 컨텐츠 사업을 인수하기 위해 타임워너와 인수협상을 진행하고 있다고 한다. 인수대상은 AOL의 인터넷 컨텐츠 사업이며 전화접속 사업은 해당이 안된다고 한다. 그리고 이번달 안에 협상이 타결될 수 있을 것이라는 예상까지 나온 상태다. 현재 구글과 MS의 검색엔진 전쟁에서 한발 뒤쳐진듯한 느낌을 주고 있는 야후는(실제는 구글다음에 검색엔진 점유율 2위는 MS가 아닌 야후다) AOL의 컨텐츠들을 인수한 다음 포탈서비스로서 다시한번 검색시장 전쟁에 뛰어들려고 하고 있는거 같다. 아니면 국내 포탈사이트인 네이버와 같이 포탈사이트로서 더 입지를 굳힐려고 하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야후..
-
트랜드의 변화, 네이버메일이 한메일을 제치고 싸이월드가 야후를 제치다!IT topics 2008. 9. 17. 16:28
네티즌들, 아니 인터넷 사용자들의 트랜드는 계속 변하는가보다. 주로 사용하는 메일 서비스나 혹은 웹브라우저를 시작할 때 나타나는 시작페이지에는 어느정도 트랜드가 반영되곤 하는데 그 트랜드들이 최근 조금씩 변화하고 있다는 소식들이 들리고 있기 때문이다. 일단 메일 서비스부터 보자. 이 블로그 쥔장인 학주니의 메인 메일계정은 구글에서 제공하는 Gmail이다. 물론 Ymail도 블로그 전용 메일로 사용하고 있고 예전에 만들었던 다음의 한메일이나 네이버 메일도 사용하며 엠팔도 가끔 사용하곤 한다. 그런데 가만보면 예전에 만들어놓은 메일계정인데 삭제를 안해서 그대로 놔두고 놀리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메인 메일계정만 주로 사용하곤 하는게 어쩔 수 없는 습관인듯 싶다. 여하튼 Gmail이 내 메인 메일계정이다. 옛날에..
-
엠파스가 사라진다.IT topics 2008. 9. 17. 15:39
한때 포탈사이트 No.1을 차지했던 SK컴즈의 엠파스가 네이트닷컴에 통합된다. SK컴즈는 12월에 엠파스를 네이트닷컴에 통합시키기로 하고 지금 작업중에 있다고 한다. 엠파스가 역사속으로 사라지게 되는 것이다. 네이버가 지금과 같이 포탈사이트를 천하통일하기 이전 2000년대초에 그당시 No.1 포탈이었던 야후를 제치고 잠시나마 지금의 네이버와 같은 No.1 포탈사이트의 위치를 차지하기도 했었다. 그때 자연어 검색이라는 단어가 아닌 문장검색 서비스를 내놓으면서 신선한 바람을 불러 일으켰고 '야후에서 못찾으면 엠파스'라는 광고를 내놓으면서 급성장했었다. 또한 열린검색을 내놓음으로 전체 포탈사이트의 데이터를 다 아우르려고 했었으나 네이버가 DB의 인덱스를 모두 바꾸는 방해공작(?)으로 인해 제대로 빛을 보지 못..
-
SKT 무선인터넷 초기화면이 구글처럼 되어진다..Mobile topics 2008. 7. 30. 23:12
SKT 서비스를 이용하는 휴대폰의 무선인터넷 초기화면이 구글과 같은 주소검색창만 나오도록 방통위에서 의결했다는 뉴스가 나왔다. 예전에는 SKT의 무선인터넷 서비스에 들어가면 네이트 화면이 나오고 이래저래 화려한(무선인터넷치고는) 화면이 보였는데 다음달부터 나올 SKT 단말기들은 무선인터넷 초기화면은 구글과 같은 쌈팍한 스타일을 맛볼 수 있을 듯 싶다. 솔직히 휴대폰으로 무선인터넷에 접속할려면 초기 검색창 밑에 이통사에서 제공하는 각종 링크들이 주렁주렁 매달려 있었다. 물론 그 링크들이 유용할때도 많았지만 좀 난잡해보이는 느낌을 받았다. 그런데 그런 링크들을 다 없애고 깔끔한 검색창만 보인다면 속도면에서도 꽤 괜찮을 것이라 보여진다. 물론 이러한 결정은 SKT가 하나로를 인수하는 조건으로 받아들인것이지만 ..
-
악성코드 유포 매체로 악용되고 있는 구글과 네이버...IT topics 2008. 7. 30. 16:34
포탈사이트 및 검색엔진이 악성코드의 온상지가 되고 있다는 얘기는 여러해 전부터 나왔던 이야기다. 해커들이 블로그나 웹사이트를 만들어 포탈사이트나 검색엔진에 등록하고 사용자들이 검색어를 통해서 자기들의 사이트에 들어왔을 때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방식은 옛날이나 지금이나 많이 즐겨사용하고 있는 해킹방식이다. 아무리 포탈사이트나 검색엔진에서 이런 악성코드를 퍼트리는 웹사이트, 블로그를 차단할려고 해도 워낙 방대한 양에 다양한 스타일로 존재하기 때문에 제대로 퇴치(?)가 안되는 것이 현실이다. Email을 통해서 퍼트리는 악성코드 배포 스타일과는 다른 이런 검색어를 통한 악성코드 배포 시도에서 현재 포탈사이트와 검색엔진은 거의 꼼짝을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일단 이런 악성코드 배포에 이용되는 것은 바로 포탈서비스..
-
과연 구글은 한국에서 뿌리를 내릴 수 있을까?IT topics 2008. 7. 29. 18:54
ZDNet Korea에서 재미난 기사를 하나 봤다. 한국의 꽉 막힌 인터넷 환경을 정면돌파하겠다는 내용이다. 조금씩은 성장하고는 있지만 눈에 띌 정도는 아닌 것이 구글코리아의 현재 문제점이다. 전 세계적으로 No.1 검색엔진이라는 명성에 금이가는 성적표를 한국에서 거두고 있는 구글의 이러한 고민은 현재 한국의 인터넷 환경이 너무 폐쇄적이라는데 그 원인이 있다. 일단 구글은 최근 페이지뷰에서 1월의 3억 6천만건에서 5월에 4억 4천만건으로 대략 22%정도 성장했다고 한다. 또한 지난해보다 전체적으로 대략 25%정도 성장했다고 얘기하고 있다. 이런 성장에는 촛불집회에 대한 포탈사이트의 규제로 인한 반사이익이 있을 것이나 구글측은 이를 인정하면서도 나름 현지화를 위해 노력했다고 얘기한다. 그리고 기존의 웹검..
-
네이버 메일, 생각보다 많이 사용하고 있구나...IT topics 2008. 7. 21. 11:26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는 메일 계정은 어떤것들이 있을까? 솔직히 이 부분에 대한 국내 통계도 보지 못했고 그저 주변 사람들의 메일 주소들을 보고 얼추 생각해볼려고 한다. 해외의 경우 야후메일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는 얘기를 들은 적이 있다. 어지간한 사람들은 대부분 자기 Email 주소를 하나 이상씩은 갖고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탈서비스에 가입하면 거의 자동적으로 Email 주소는 하나씩 부여받으니 말이다. 네이버의 경우 @naver.com, 다음의 경우 @daum.net, 아니면 @hanmail.net, 엠파스의 경우 @empal.com, Nate의 경우 @nate.com 등으로 좋으니 싫으나 메일을 하니씩 대부분 다 부여하기 나름이다. 그렇게 되면 주로 사용하는 메일 계정과 그렇지 않는 메일 계정이..
-
야후에서 가장 인기있는 서비스는 무얼꼬?IT topics 2008. 7. 11. 16:25
야후 서비스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서비스는 어떤것일까? 일반적으로 야후는 포탈사이트지만 검색엔진에서 시작했기에 검색엔진(야후 검색)을 가장 많이 사용할 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 미국의 통계정보회사인 히트와이즈에서 내놓은 자료를 보면 그런것은 단순히 선입견에 불과하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히트와이즈는 2008년 6월에 미국에서 야후 서비스들 중에서 어떤 서비스를 네티즌들이 많이 이용했는가에 대한 통계를 내놓았다. 야후는 야후 그 자체 서비스보다 야후 메일이 더 인기있는 서비스라고 한다. 전체의 37%를 야후 메일이 차지했으니 말이다. 포탈서비스로의 야후도 30%로 그 다음을 차지하기는 했지만 메일 서비스에 메인 서비스가 밀린 꼴이다. 야후 검색은 12%로 3위를 차지했다. 즉, 야후는 검색엔진보..
-
야후! 코리아, 파이어폭스에서 좀 깨지는 문제가..IT topics 2008. 6. 30. 17:55
국내 여러 포탈사이트들이 윈도 + 인터넷 익스폴러(IE)에 최적화 되어있다는 것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특히나 모질라 재단의 파이어폭스(FF)가 조금씩 인기를 얻고 국내에서 사용하는 네티즌들이 많아지면서 이러한 부분이 조금씩 부각되고 있다. 간단히 얘기하면 국내 포탈사이트들은 웹표준을 지키지 않고 오로지 윈도 + IE에 맞췄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는 얘기다. 그래도 최근에는 네이버, 다음 등의 포탈사이트들이 웹표준을 많이 지킬려고 노력을 하고 있는듯 보인다. 예전에는 FF에서 네이버나 다음에 들어가면 레이아웃이 깨지고 제대로 입력조차 안되었지만 최근에는 FF로도 무리없이 네이버나 다음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네이버의 경우 아무리 정책적으로 욕을 먹어도 이러한 접근성 부분에 있어서는 많이 개선하고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