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롬
-
불여우(파이어폭스) 탄생 5주년이 갖는 웹브라우저 시장에서의 의미는...IT topics 2009. 11. 14. 09:00
지난 11월 9일은 전세계적으로 사랑받는 웹브라우저인 파이어폭스가 탄생한지 5주년이 되는 날이었다. 2004년 11월 9일에 파이어폭스 1.0이 출시되었다. 그리고 지금은 파이어폭스 3.5가 나왔고 3.6 베타 버전이 나오고 있으며 내년 초에 3.6 정식버전이 나올 것이라고 한다. 모질라 재단에서 만들고 있는 모질라 웹브라우저 기반의 파이어폭스는 한때 인터넷을 호령했던 웹브라우저인 넷스케이프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물론 소스의 기반은 다르지만 컨셉은 넷스케이프에서 파생되었다고 봐도 좋을 듯 싶다(물론 넷스케이프는 파이어폭스 2.0이 나올때까지도 같이 AOL을 통해서 나오고 있으며 지금도 사용하는 사람이 있다). 넷스케이프가 MS와 웹브라우저 전쟁에서 패한 이후 IE6의 천하통일 세상이 수년간 지속되다가 ..
-
구글의 소셜 검색, 한번 맛보면 어떨까?IT topics 2009. 10. 28. 11:50
구글이 본격적으로 소셜 검색을 시작했다. 물론 정식 서비스로 시작한 것도 아니고 구글 검색에 SNS에서 검색한 내용을 추가하는 정도에 불과하다. 하지만 검색 대상이 SNS로 한정되었다는 것, 거기에 내가 연결한 지인들(페이스북의 친구들이나 트위터의 Following 등)의 내용만을 대상으로 소셜 서클(Social circle)을 만들어 그것을 검색대상으로 삼았다는 점에서 개인화 검색에 한발짝 더 다가섰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구글 소셜 검색을 사용하기 위해서 다음의 주의사항이 있었다. 아직 구글 코리아에서는 적용이 안되고 있다. 영문 구글을 써야 한다.파이어폭스나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는 소셜 검색이 안된다. 꼭 크롬만 써야 한다.다른 컴퓨터에서 소셜 검색을 하려면 매번 구글 실험실(Google Labs)..
-
여전히 웹브라우저의 강자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하지만 경쟁자들도 만만치 않은데..IT topics 2009. 10. 18. 09:00
아직까지도 전세계에서 가장많이 사용되는 웹브라우저는 MS의 인터넷 익스플로러(IE)인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조사서비스인 넷어플리케이션즈에서 통계를 낸 결과가 그렇다. 넷어플리케이션즈의 통계는 웹브라우저 뿐만 아니라 플랫폼의 점유율도 나름 신뢰성있게 조사해서 통계를 내준다. 넷어플리케이션즈의 통계결과를 보면 IE가 65.7%로 여전히 5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는 거의 95% 이상이 IE를 사용하는 우리나라가 꽤나 한몫 했을 법 싶다. 다음으로는 꾸준히 20% 이상을 차지하는 파이어폭스(23.75%)가 차지했다. 애플의 사파리 역시 맥이 조금씩 되살아난 것과 동시에 모바일쪽에서의 아이폰의 선전으로 4% 정도를 차지해 3등을 마크했다. 무엇보다 눈에 띄는 것은 구글 크롬의 3%와..
-
가장 좋은 웹브라우저는 크롬? 5대 대표 웹브라우저 성능비교IT topics 2009. 10. 17. 09:30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웹브라우저의 성능은 어느정도 차이가 날까? 한국에서야 거의 MS의 인터넷 익스플로러(IE)가 대세를 이루며 메인 웹브라우저로 사용하고 있는 추세다. 뭐 전세계적으로도 아직까지는 IE가 50% 이상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가장 많이 사용하는 웹브라우저로 자리잡고 있다. 하지만 국내와 달리 해외에서는 파이어폭스(FF), 구글 크롬, 오페라, 사파리와 같은 비 IE 계열 웹브라우저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마루님의 블로그인 디자인로그에서 재미난 글을 봤기에 한번 관련된 내용을 적어볼까 한다. 웹 개발 및 웹 디자인에 유용한 정보를 종종 전달해주는 식스 리비젼스(Six Revisions)에서 메이저 웹브라우저의 성능 비교를 했다고 한다. 비교 대상 웹브라우저는 IE8, FF3.5, 크롬 3, 오..
-
구글 크롬이 OS로 진화한다. 구글의 OS 개발 프로젝트, Google Chrome OSIT topics 2009. 7. 9. 09:00
구글이 재미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시작했다. Google Chrome OS라는 이름의 프로젝트다. 이름에서 보면 알 수 있듯 구글의 웹브라우저인 구글 크롬을 기반으로 하는 운영체제다. 최근 티맥스에서 티맥스 윈도라는 윈도와 호환되는 국산 OS를 개발해서 발표했는데(물론 욕은 바가지로 얻어먹고 있지만) 시기가 참 절묘하게 구글도 7월 7일에 구글의 공식 블로그를 통해서 Google Chrome OS에 대한 설명을 포스팅했다. 설명을 기반으로 정리하자면 Google Chrome OS는 구글 크롬 웹브라우저를 기반으로 하는 웹OS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구글 크롬의 어찌보면 확장 버전이라고 할 수 있는데 기존의 구글 크롬이 윈도나 비공식적으로 리눅스, 맥에서 돌아가는데 비해 Google Chrome O..
-
여전히 텍스트큐브 블로깅에 문제가 있는 구글 크롬 2.0Blog 2009. 5. 25. 09:36
구글의 웹브라우저인 구글 크롬이 2.0 버전이 나왔다는 얘기를 듣고 한번 설치해서 사용해봤다. 이전 1.x대 버전보다 30%나 더 빨라졌다는 얘기를 듣고 많은 기대를 하면서 사용해봤다. 얼추 2~3일정도 사용해본 듯 싶다. 사용하면서 느낀 점들은 일단 웹브라우징은 이전보다는 더 빨라졌다는 것이다. 또한 예전에 접속이 안되거나 로그인이 안되던 몇몇 사이트들에 대한 대응도 좋아졌다(대표적으로 테터엔미디어 사이트에 로그인할 때 크롬은 계속 로그인 에러를 내뱉었은데 이번 2.0에서는 비슷하게 문제는 발생했지만 접속은 되더라 -.-). 그래서 나름 만족하면서 쓰고 있었는데... 가장 큰 문제가 발생했다. 블로깅할 때의 문제다. 이 블로그의 블로그 툴인 텍스트큐브에서 포스트를 작성할 때 여전히 문제를 갖고 있는 것..
-
점유율을 끌어올리자. TV CF를 시작한 구글 크롬...IT topics 2009. 5. 10. 15:41
어지간해서는 자사 제품의 메스미디어 광고를 잘 안하는 구글이 정말로 크롬의 확산을 원했던거 같다. 구글의 웹브라우저인 크롬의 성장이 생각처럼 많지 않아서 그런지는 몰라도 구글 저펜(Google Japan)팀에서 약 30여초정도 되는 분량의 구글 크롬 광고를 선보였다. 주제는 깔끔하면서도 심플하다는 것이다. 화면 여기저기에 널려있는 여러 잡다한 것들을 블럭깨기 게임처럼 크롬 마크가 다 지워버리고 깨끗한 상태로 웹브라우징을 즐길 수 있다는 것을 이 TV CF를 통해서 보여줄려고 노력하고 있다. 통계사이트인 넷어플리케이션즈의 통계를 보면 1등은 여전히 MS의 인터넷 익스플로러(IE)가 차지하고 있고 그 뒤로 모질라재단의 파이어폭스(FF), 애플의 사파리, 그리고 구글의 크롬이 차지하고 있다. 구글 크롬이 차지..
-
파이어폭스 3.5가 기다려지는 것은...IT topics 2009. 3. 13. 18:04
블로거들 사이에서 인기 만점인 웹브라우저 모질라 파이어폭스가 현재 3.1 베타 3까지 나온 상태에서 정식 버전으로 나오는 것은 3.1이 아닌 3.5가 될 것이라고 한다. 이 얘기는 이미 블로고스피어에서 많은 블로거들이 언급했던 얘기다. 3.1에서 3.5로 확 버전업이 된다는 얘기는 그만큼 내부적으로 더 많은 수정사항이 있다는 얘기다. 뭐가 바뀐 것일까? 현재 파이어폭스는 사파리 4 베타, 구글 크롬과 더불어 자바 스크립트 처리 부분에서 겨루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웹2.0 사이트라 불리는 구글의 각종 서비스들(구글독스나 Gmail, 구글 캘린더 등)이나 페이스북과 같은 SNS에서 자바 스크립트 처리에 따라서 체감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웹브라우저들은 계속적으로 따른 처리를 얘기하면서 이 자바 스크립트 엔..
-
Flock, 파이어폭스는 안녕~ 구글 크롬 환영~IT topics 2009. 3. 4. 10:25
우리나라에서도 쓰는 분들을 종종 보기는 하지만 소셜 기반의 웹브라우저인 Flock이라는 웹브라우저가 있다. 해외 블로그를 자주 돌아다니거나 아니면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스페이스와 같은 해외 SNS를 많이 사용하는 블로거들에게는 꽤 유용한 웹브라우저가 Flock이라고 한다. 내 경우에는 예전에 한번 설치해서 써봤다가 ‘이건 내 스타일이 아니다’라고 생각이 들어서 가차없이 지워버렸지만(최근에 나온 사파리4 베타도 그랬고 구글 크롬 역시 쓰다가 파이어폭스에 밀려서 지워졌고 더월드같은 웹브라우저도 쓰다가 지워버렸다(-.-) 잘 쓰는 사람들은 정말로 잘 이용하는 웹브라우저다. 보통은 웹브라우저가 나올 때 독립적인 엔진을 사용하는 것 보다는 IE 엔진을 쓰던지 파이어폭스 엔진을 쓰던지 아니면 크롬, 사파리 엔진을..
-
세련된 디자인이 돋보이는 사파리 4. 크롬과 경쟁할려나...IT topics 2009. 2. 25. 10:18
오늘 아침(엄밀히 따지면 새벽)에 애플의 웹브라우저인 사파리 4가 본격적으로 베타테스트를 시작했다는 포스팅을 했다. 그리고 냅따 사파리 4 베타버전을 받아서 설치를 하고 이래저래 웹서핑을 해봤다. 사파리 4 베타버전은 맥용와 윈도용을 함께 제공하기 때문에 윈도용을 받아서 설치했다. 사파리 3 윈도용은 거의 쓰레기라는 얘기가 돌았기에 그닥 기대는 하지 않았다. 일단 첫인상은 세련됨 그 자체였다. 내부적으로 니트로라는 새로운 자바스크립트 엔진을 탑재했고 기존 사파리 3에 비해 4배 이상 빨라졌다고 하는데 기존 사파리를 사용해보지 않았으니 얼마나 개선되었는지는 모르겠지만 나름 이래저래 움직이다보니 꽤 빠르다는 느낌을 받았다. 일단 첫인상만 봐서 느낀 부분은 이거 맥용 크롬이다라는 것이다. 브라우징 탭이 크롬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