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리
-
우리 주변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고 접근할 수 있는 디지탈 큐레이션 툴은 뭐가 있을까?IT topics 2012. 12. 3. 08:00
디지탈 큐레이션에 대해서는 이 블로그에서 몇번 다룬 적이 있다. 책도 소개해봤고 디지탈 큐레이션에 대해서 이런저런 내용들을 포스팅으로 내보이기도 했다. 지금까지 쭉 해왔던 이야기들을 살펴보면 디지탈 큐레이션은 정보를 수집하고 그것을 알기 쉽게 정리하고 배열하며 정보의 연관성, 연계성을 높힘으로 그 정보의 가치를 더 높히는 역할을 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것을 남에게 다시 배포하는 것까지가 디지탈 큐레이션을 통한 디지탈 큐레이터의 역할이 아닐까 하는 것이 지금까지 이 블로그를 통해서 운영자인 학주니가 생각하는 디지탈 큐레이션에 대한 정의다. 그리고 그 정의는 지금까지 바뀌지는 않았다. * 디지탈 큐레이션에 대한 글들 *디지탈 큐레이션. 결코 어렵거나 생소한 개념이 아니라 이미 예전에 다 있었던 개념이 시..
-
디지탈 큐레이션의 도구로 알게모르게 사용되어왔던 블로그. 그 의미와 가치는?Blog 2012. 10. 30. 09:38
큐레이션.. 최근에 많이 화두가 되는 단어다. 특히 요즘과 같은 디지탈 시대에 있어서 디지탈 큐레이션이라는 단어는 트랜드를 이끌어나가는 하나의 상징처럼 보이곤 한다. 디지탈 큐레이션에 대한 책들도 요즘 종종 보이고 또 해외에서도 디지탈 큐레이션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일어나고 있으며 국내 역시 디지탈 큐레이션에 대한 관심이 많아서 관련 서비스들도 선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개인적으로 디지탈 큐레이션에 대해서는 정보의 취합 및 정리라고 생각을 하고 있다. 이에 관련해서는 아래에 먼저 썼던 2개의 글을 살펴보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디지탈 큐레이션. 결코 어렵거나 생소한 개념이 아니라 이미 예전에 다 있었던 개념이 시대를 잘 만나서 각광받고 있는 것! (2012. 3. 7) 디지탈 큐레이션의 가치는? (201..
-
[갤럭시 노트 10.1] 회의시간에 다이어리 대신 회의록 정리 및 아이디어 정리를 맡게 된 갤럭시 노트 10.1의 S NoteReview 2012. 9. 7. 07:56
갤럭시 노트 10.1이 과거 갤럭시 노트와 다른 점은 화면이 커졌다는 것이다. 5.3형이었던 갤럭시 노트에 비해 태블릿 크기(255.8mm)의 갤럭시 노트 10.1은 그 크기만큼이나 필기인식 및 활용의 폭이 더 커졌다는 생각이 든다. S Pen의 크기와 성능 향상 역시 한몫하고 있지만 역시 화면이 커야 뭔가 쓰려고 해도 제대로 써지는 듯 싶다는 생각이 든다. 요즘들어 갤럭시 노트 10.1을 다이어리 대신에 들고 다니는 경우가 많아졌다. 특히 회의에 들어갈 때 예전에는 다이어리에 내용을 정리해서 적었지만 요즘은 갤럭시 노트 10.1을 갖고 들어가서 S Note를 띄워놓고 회의록 탬플릿이나 S Memo 탬플릿을 사용해서 S Pen으로 필기인식을 이용해서 내용을 정리한다. 그리고 그 내용은 공유하기를 이용해서..
-
야후 검색, 서치 몽키를 통해서 위키피디아 검색결과를 알흠답게 끌어안다.IT topics 2009. 1. 20. 09:11
야후 검색엔진을 통해서 뭔가를 검색할 때 그 검색어에 대한 내용이 위키피디아에 있다면 야후 검색결과에 재미난 변화를 볼 수 있을 것이다. 야후 검색결과에서 위키피디아에서 검색한 내용에 대해서 직접링크(Deep Link)와 함께 위키피디아에서 제공하는 이미지까지 함께 검색결과에 표시되기 때문이다. 야후의 새로운 검색결과 플랫폼(이라고 해야 옳은지 -.-)인 서치 몽키 플랫폼(Search Monkey Platform)에 의해서 야후의 검색결과에 위키피디아 검색결과가 나올때 좀 더 보기 좋으라고 변화되도록 했기 때문이다. 일단 테크크런치에서 제공했던 이미지와 실제 야후 검색엔진에서 나오는 결과를 비교해보자. 해당 검색결과는 여기를 누르면 나온다. 위는 실제 야후 검색엔진에서 TechCrunch라는 검색어로 검..
-
가입된 사이트 계정들을 정리하면서...IT topics 2008. 4. 24. 17:04
최근들어 이래저래 보안이슈들이 막 터지고 있는 시점에서 어떻게 하면 안전하게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을 자주하게 된다. 옥션이 해킹당하고 그 전에 청와대도 공격당했다고 하고. 윈도도 불안하고 그렇다고 리눅스도 안전한가 싶더니 그것도 아닌듯 싶고. 모든 것들이 다 불안투성이다. 인터넷은 해야겠는데 불안해서 하기가 겁나기도 하고 누가 내 계정을 터는게 아닌가 싶은 생각도 들기도 한다. 그러다보니 그동안에 내가 가입했던 사이트들을 정리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모든 사람들이 다 그러는 것은 아니지만 많은 사람들은 포탈사이트나 다른 여타 사이트에 가입할 때 ID와 PW를 대부분 똑같이 사용한다. 각 사이트마다 다르게 사용하는 것이 보안을 위해 좋지만 그렇게 하다보면 수십개의 사이트..
-
블로그 정리도 끝나고~Blog 2007. 12. 3. 16:18
메인 블로그를 다시 학주니닷컴으로 옮겼다. 기존의 워드프레스 기반의 TechRoad.NET도 괜찮은 블로그였지만 결정적으로 블로그간의 소통에 문제가 있어서(티스토리, 태터툴즈, 텍스트큐브에서의 댓글알리미 기능이 너무 그리워서), 또 외국 계정이다보니(Site5라는 미국 계정을 사용중) 퍼포먼스 문제도 있어서 여러가지로 고민했는데 결국 다시 티스토리 기반의 학주니닷컴으로 옮기는 것으로 결정내리고 오늘 오전, 오후에 걸쳐서 자료들을 다 옮겼다(다 옮긴 것은 아니다. 쓸데없는 글들은 안옮겼다. 그래도 대부분 다 옮겼다). 대략 110여개의 글들을 백업을 받지않고 수동으로 옮길려고 하니 참으로 난감했으나 뭐 Copy & Paste 신공을 최대한 발휘하여(이럴때는 프로그래밍을 하면서 쓰는 Ctrl-C, V의 위력..
-
내 경력보고서?IT topics 2007. 12. 3. 14:04
어느덧 IT 세계로 접어든지 년수로만 따지자면 만 7년, 횟수로 8년째에 접어들었다. 2000년부터 프로젝트 생활을 시작했으니 얼추 그정도 된 듯 싶다. 어떻게 보면 중급일수도 있고 아니면 고급일수도 있는 경력. 하지만 나 스스로 생각을 할때마다 아직은 개발에서 3~4년정도 더 굴러야 제대로 된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든다. 처음 프로젝트를 한 것이 리눅스 기반의 VPN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었다. 간이 프로젝트였고 3개월정도였는데 나름 성공한 프로젝트였다. 리눅스 커널에 대해서 잘 알 수 있는 기회였고 암호화 알고리즘을 처음으로 사용해 본 프로젝트였다. 내가 맡은 파트는 VPN 서버에서 양 끝을 지나다니는 IP 패킷을 잡아서 암호화해서 IPSec 헤더를 붙여주는 부분이었다. 그 덕..
-
자기를 정리하는 가장 좋은 저작도구, 블로그Blog 2007. 12. 3. 14:02
글을 쓴다는 것은 어떻게 보면 참 재밌는 일이고 즐거운 일이라고 할 수 있다. 내가 생각하는 것을 글로 표현한다는 것은 어떻게 보면 스스로를 정리하는 것이며 생각을 더 연장시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기억에는 한계가 있으며 머리속에서 움직이는 생각들은 정리가 안되기 때문에 여차하면 뒤죽박죽이 되어 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생각을 글로 나타내면서 머리속에 엉켜있는 내용들을 정리할 수 있고 더 체계적으로 다듬을 수 있는 것이 글쓰기의 매력이 아닐까 싶다. 나는 나 스스로 글쓰기에는 재능이 없다고 생각을 한다. 시를 쓴다던지 간단한 수필을 쓴다던지, 심지어 일기를 쓰는것에 있어서도 나는 말하는것과 마찬가지로 재미있게 쓰지를 못한다. 좀 딱딱하다는 느낌을 많이 받는다고 주변에서 많이 말한다. 나 스스로도 그..
-
오래된, 버릴 책 들을 정리하다Books 2007. 7. 14. 17:16
주말이다. 모처럼 집안 정리를 좀 했다. 워낙 지저분하게 널부러져서 이리저리 놓여있는 물건들이 많아서 한번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는 생각했으나 계속 미뤄왔는데 와이프가 아이 낳기전에 정리하라고 명령 아닌 명령을 내려서 큰맘먹고(?) 대대적인(?) 정리를 좀 했다. 정리의 대상은 다름아닌 책. 옛날에 대학다닐 때 공부한다고 산 책들과 졸업후 사회에 나와서 본다고 산 책, 그리고 취업준비로 학원다닐 때 산 책들을 쭉 뒤져보면서 버릴지 말지 여부를 살펴보고 버릴 책들을 따로 모았다. 주로 컴퓨터 책들이다. 정리 대상의 기준은 다음과 같다. 시기가 지난 책은 정리 대상이다. 예를 들어서 옛날에 유행했던 툴들을 다루던 책들이나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컴퓨터 언어를 다루는 책들은 일단 정리대상이다. 홈페이지 제작을 위..
-
RSS 2.0 Specification (What is RSS?)IT topics 2007. 4. 23. 02:19
한번 써볼까 한다. 뭘? RSS에 대해서. ^^;Harvard Law에 있는 RSS 2.0에 대한 문서를 한번 내 나름대로 정리해볼려고 한다.원문 : RSS 2.0 at Harvard LawRSS란 무엇인가?RSS는 웹 컨텐츠를 연결시켜주는 포멧이다.RSS는 Really Simple Syndication의약자다(직역하면 정말 간단한 연결?).RSS는 XML에서 파생되었으며, 모든 RSS 문서는 W3C에 나와있는XML 1.0의 모든 규격에 맞추도록 되어있다.RSS의 버젼역사(한글로 번역해서 다시 링크 걸예정)RSS 문서의 맨 처음에는 이 RSS 문서의 버젼정보를 나타내는원소(element)로 시작한다. 그리고 RSS문서가 이 문서에 나와있는 형식을 따르면 그 RSS 문서의 버젼은 2.0이다.원소 밑으로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