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
공공기간 PC의 OS를 Windows OS 대신 개방형 OS로 사용한다는 정부IT topics 2020. 2. 6. 11:11
며칠 전 2월 4일자 행정안전부 보도자료에 '공공기관 PC, MS윈도우 대신 개방형OS 사용한다'라는 제목의 보도자료가 올라왔다. 행정안전부 홈페이지에서 해당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데 보도자료가 아래아한글(HWP) 형식이라서 아래아한글이 없는 사람들은 보기가 어려운 것이 좀 아쉽다. 다행히 사이트 안에서 보도자료가 바로보기 할 수 있지만 PC가 아닌 모바일에서는 보기가 좀 까다롭다. 그래서 PDF로 변환해서 여기에 링크를 걸어두니 참고하시길 바란다. 일단 제목만 봐서는 공공기관에서 근무하는 공무원의 PC에 설치된 PC용 OS가 대부분 MS의 Windows OS인데 이것을 Linux와 같은 개방형 OS로 다 바꾸겠다는 얘기인거 같다. 아니 같았다. 이렇게 표현하는 이유는 내용을 읽어보면 얼추 알 수 있다...
-
귀찮음때문에 소홀하게 생각하는 보안,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것이 아닌 고칠 외양간마저 소실될 수 있는데..Security 2017. 11. 7. 00:49
보안 분야에서 오랫동안 개발자로, 또 설계자, 기획자로 일해왔고 지금도 네트워크 서비스인 DNS와 CDN, DNS 기반 DDoS 방어 서비스를 기획, 설계하고 있는 입장에서 최근에 들려오는 다양한 보안 관련 뉴스들을 보면 흥미롭기도 하고 안타깝기도 하고 그렇다. 인터넷 서비스가 이제는 메인 플랫폼이 되었고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은 일상생황의 필수품이 되었으며 IoT 시장이 본격적으로 열리기 시작한 지금 보안은 선택이 아닌 필수이며 기업의 운명 뿐만이 아니라 개인의 삶까지도 좌지우지하는 필수 요소가 되었지만 여전히 기업이나 개인은 보안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니 말이다. 뭐 당장에 나 역시도 어떤 면에서는 귀찮음때문에 보안을 신경쓰지 않는 상황이니.. -.-; 위험천만한 스마트폰에 사진으로 저장하는 ..
-
버라이즌의 야후 인터넷 부문 인수 소식을 들으며..IT topics 2016. 7. 30. 20:49
며칠 전에는 손정의의 소프트뱅크가 영국의 칩셋개발회사인 ARM을 인수하더니 최근에는 미국의 이동통신사인 버라이즌 와이어리스가 야후의 인터넷 부문을 인수하겠다는 뉴스가 나왔다. 또, 좀 된 뉴스지만 MS가 인간관계형 SNS인 LinkedIn을 인수했다는 소식도 있었다. 올해 들려온 IT 기업들간의 빅딜, 대형 M&A 소식이 끊이지 않는데 그만큼 과거의 IT 세계의 영향력이 지금과 다르고 많이 변했다는 얘기다. 영원한 강자도 없고 이 세계에서의 롱런이 얼마나 힘든지를 잘 보여주는 예시라는 생각이 든다. 영원한 강자가 없는 인터넷 시장 야후의 인터넷 부문 매각은 어찌보면 이미 예견된 일이었다. 과거 MS가 야후를 인수하려고 했다가 안되었을 때도 그랬고 구글 출신의 마리사 메이어가 CEO가 된 이후 텀블러,..
-
스트리밍 서비스 시장의 성장. 음원 스트리밍에 이어 앱 스트리밍 시장도 점점 커지고 있는데..Cloud service 2015. 10. 6. 21:53
비즈니스 인사이더(Business Insider)에서 재미난 기사를 하나 봤다. 미국에서는 음악 산업 분야에서 스트리밍 음악 시장이 다운로드 음악 시장보다 상승폭이 더 커졌다는 얘기다. 뭐 그렇다고 스트리밍 음악 시장의 규모가 다운로드 음악 시장을 앞질렀다는 얘기는 아니다. 여전히 다운로드 음악 시장이 스트리밍 음악 시장보다는 규모가 더 크다. 하지만 다운로드 음악 시장은 작년에 비해 시장 규모가 작아졌고 스트리밍 음악 시장은 작년보다 커졌다는 얘기다. 이런 추세라면 향후 2~3년 뒤에는 스트리밍 시장이 다운로드와 CD 시장을 합친 규모보다 더 커질 수 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스트리밍 시장이 성장하게 된 배경에는 통신 환경의 변화가 있다. 2G에서 3G로 넘어오고 LTE로 넘어오면서 무선 인터넷 ..
-
클라우드 컴퓨팅 시대에 사무실의 업무패턴을 바꾸고 있는 웹오피스에 대해서...Cloud service 2013. 7. 11. 09:11
업무의 패턴이 바뀌어가고 있다. 산업혁명이 일어난 이래로 수많은 업무 패턴이 사무실을 거쳐갔고 그 중에서 지금까지 남아있는 업무 패턴도 있지만 사라져간 업무 패턴도 많다. 우리나라만 봐도 과거 조선시대나 그 이전에는 업무의 모든 전달 및 기록을 다 종이로 진행했다. 물론 지금도 그런 패턴이 남아있기는 하지만서도. 이런 업무패턴은 어떻게 보면 6.25를 지나 1980년대까지 이어져왔다고 보여진다. 물론 70년대부터 일부 산업에서는 산업용 컴퓨터를 이용한 업무가 진행되기는 했지만 일부 분야에 일부 사람들에게만 적용되었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80년대에 본격적으로 퍼스널 컴퓨터(PC)가 보급되고 산업 각 분야에 컴퓨터가 실전투입되기 시작하면서 업무의 패턴이 바뀌게 된다. 시대에 따라서 변해가는 오피스 환경 ..
-
Windows에서 클라우드, 그리고 페이스북에서 에버노트까지.. 플랫폼이 점점 작아지고 세분화 되어지고 있다.IT topics 2013. 2. 5. 08:00
플랫폼이라고 하면 어떤 느낌이 오는가? 보통 플랫폼은 지하철역이나 기차역에서 열차를 기다리는 승강장을 의미한다. 하지만 IT 세계에서의 플랫폼은 뭔가 좀 다른 느낌이다. 어떤 무엇인가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공간을 의미한다. 그리고 그 플랫폼은 과거에서 지금까지 많은 의미의 변화와 분리가 진행되어왔다. 초창기 플랫폼은 운영체제를 뜻했다. 초창기 MS가 IBM에 납품한 DOS나 CP/M, UNIX 등을 플랫폼이라고 불렀다. 그리고 Windows와 Mac OS, Linux 등을 플랫폼이라고 불렀다. 2000년대 초반까지는 이런 운영체제가 플랫폼의 개념으로 통했다. 하지만 인터넷이 활성화되는 시기인 2000년대 중반에서는 인터넷을 플랫폼이라고 불렀다. 인터넷을 통해서 다양한 웹서비스가 실행되고 엄청난 양의 데이터..
-
정보의 자유로운 바다라는 인터넷이라도 정보 취득의 윤리는 필요하다Security 2013. 1. 29. 10:16
인터넷이 활성화되고 대중화되면서 인터넷을 통해서라면 어떤 정보든 자유롭게 접근하고 공유되어야 한다는 얘기가 인터넷 자유론자들 사이에서 많이 나오고 있다. 인터넷 안에서는 어떤 것이든 자유로워야 한다는 얘기다. 정보 역시 자유롭게 공유되어야 한다고 얘기한다. 이른바 인터넷 정보 공유의 자유라는 얘기다. 정보의 자유로운 공유. 좋은 이야기다. 공개될 수 있는, 공유할 수 있는 정보는 자유롭게 공유되고 접근이 가능해야 맞다. 특히 공공성을 띈 정보는 누구에게든 자유롭게 열람할 수 있는 것이 맞다고 본다. 국민의 세금을 갖고 운영되는 공공기관이나 정부가 만들어내는 정보에 한해서는 말이다. 물론 그 가운데는 열람할 수 없는 제한적인 정보도 존재할 것이며 국익과 국가의 안녕을 위해서 비밀을 유지하는 것이 옳다고 여..
-
대한민국의 인터넷 서비스의 질을 퇴보시키는 구시대 악습의 카르텔. 깨기 위해서는 큰 틀에서의 투자가 필요한데...Security 2012. 6. 29. 12:00
이 글은 전에 소개했던 남성잡지인 '에스콰이어' 6월호에 실린 글입니다. 원본을 공개합니다. 잡지에 실린 내용은 약간의 편집이 들어가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인터넷을 통해서 뭔가 물건을 사기 위해 컴퓨터를 켜고 인터넷 쇼핑몰에 들어가면 가장 먼저 뜨는 것이 뭔가를 설치하라는 다이얼로그 박스일 것이다. 쇼핑몰에서 뭔가를 사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설치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원하는 물건을 살 수 없기 때문이다. 인터넷 쇼핑몰에 들어와서 원하는 물건을 선택했고 그것을 사기 위해 결재를 시도하면 또 보안 플러그인을 설치하라고 다이얼로그 박스가 뜬다. 결재까지 끝난 다음에 웹 브라우저의 플러그인 검색을 살펴보면 하나의 사이트를 이용하기 위해 꽤 많은 보안 플러그인, 화면 지원 플러그인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볼 ..
-
왜 한국의 인터넷 뱅킹은 윈도 기반의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만 동작할 수 밖에 없었을까?Security 2012. 4. 18. 08:59
며칠 전에 지인과 메신져로 얘기한 내용들 중에서 왜 한국의 인터넷 뱅킹은 윈도 기반에 인터넷 익스플로러(IE)에서만 사용할 수 밖에 없게 되었을까라는 부분이 있었다. 요즘은 다양한 웹브라우저에 윈도 뿐만이 아니라 리눅스나 맥과 같은 타 OS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 환경인데 인터넷 뱅킹이나 관공서, 쇼핑몰 사이트는 윈도 기반에 IE에서만 동작하는 경우가 많아서 왜 그렇게 될 수 밖에 없었나에 대한 얘기를 좀 나눴다. 개인적으로는 보안업계에서 7~8년정도 있었기 때문에 지금의 이런 현상이 나올 수 밖에 없는 배경에 대해서 어느정도는 알고 있다. 그리고 그 배경을 설명해줬는데 지인은 꽤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해서 고마워하더라(나중에 저녁이나 얻어먹어야겠다 -.-). 그래서 오늘은 그때 지인과 한 이야기를 정리해..
-
온라인 지적재산권 보호법안 반대와 재정 연기를 보면서. 인터넷에서 지켜야 할 자유와 그 자유에 대한 책임은 어디까지? 또 무책임한 자유를 제지할 방법은?Security 2012. 1. 22. 14:29
미국 의회가 이른바 PIPA(Protect IP Act)라 불리는 온라인 지적재산권보호법안의 제정 추진을 네티즌들의 여론에 밀려 연기했다는 뉴스가 나왔다. PIPA 재정에 반대하기 위해 위키피디아나 구글 등 미국의 온라인 서비스들이 항의성 페이지를 만든다던지 서비스 일시 다운을 한다던지 하는 행동을 했고 네티즌들도 이 법안에 대해서 강경하게 반대했기 때문에 곧 선거를 해야하는 미국 의회 입장에서는 선거에 위협이 되는 이 법안 제정을 미룬 것으로 보여진다. 미국 의회는 PIPA와 함께 온라인 해적행위 방지법(SOPA.Stop Onlie Piracy Act)도 같이 재정하려고 했지만 일단 PIPA 법안 제정만 미뤘고 SOPA에 대한 얘기는 없는데 아마도 같이 묶음으로 제정이 미뤄진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