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표준
-
파이어폭스에서도 잘 보이는 개편된 스투닷컴!IT topics 2008. 9. 24. 22:40
요즘은 종이신문을 잘 안본다. 대부분 인터넷에서 언론사닷컴을 이용해서 기사를 읽곤 한다. 물론 전철을 타고 이동할 때는 종이신문을 보지만 그때는 대부분 무가지 신문(메트로나 포커스, City 등)을 이용하기 가판대에서 조선일보나 중앙일보, 한겨례 신문 등을 사서 읽지는 않는다. 이렇듯 인터넷으로 자주 보는 인터넷 신문들 중에서 스포츠투데이가 있다. 스투닷컴이라는 이름으로 인터넷으로 제공되는데 이번에 꽤나 쌈팍하게 개편을 했다. 좌측은 메인 화면이고 우측은 기사를 클릭했을 때의 화면이다. 참고로 위의 화면은 윈도 비스타에서 파이어폭스3(FF3)로 접속했을 때의 화면을 잡은 것이다. 인터넷 익스플로러(IE)가 아니고 말이다. 이 말이 의미하는 바가 무얼까? 언론사닷컴들 중에서 과연 얼마나 웹표준을 지키면서 ..
-
모바일 IE6의 등장, 본격적인 모바일 풀브라우징 웹브라우저 전쟁의 시작...Mobile topics 2008. 9. 17. 10:48
모바일 웹브라우저 전쟁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거 같다. MS가 윈도 모바일용 모바일 인터넷 익스플로러 6(IE6)의 개발이 순조롭다고 하는 뉴스가 나왔기 때문이다. MS는 MSN 홈페이지를 모바일 IE6에서 시현함으로 무리없이 개발중에 있다는 것을 발표했다. 일단 알려진 바로는 다음과 같다. 모바일 IE6는 윈도에서 사용하고 있는 IE6와 같은 풀랜더링 엔진을 사용한다. 이 얘기는 즉, 모바일 IE6에서도 IE6와 같은 풀브라우징이 가능하다는 얘기다. MS에 따르면 웹표준을 잘 지키는 웹사이트의 경우 윈도에서 IE6로 보는 정도의 화면을 윈도 모바일에서도 모바일 IE6로 볼 수 있다고 한다. 이제 모바일 IE도 풀브라우징이 본격적으로 지원되기 시작한 것이다. 이미 애플은 아이폰과 아이팟 터치에 아이폰 OS..
-
네이버용 파이어폭스3보다는 파이어폭스3에 맞춘 네이버를 원한다.IT topics 2008. 8. 28. 16:18
네이버용 파이어폭스3(FF3)가 나온다. NHN과 모질라 재단은 네이버에 최적화된 FF3를 내놓는다고 발표했다. 또 조만간 다음용 파이어폭스3도 나올것이라는 소식도 들린다. 이 뉴스를 보고는 2가지 생각이 떠올랐다. 하나는 이제 국내 포탈서비스도 FF를 본격적으로 지원하는구나 하는 생각이다. 국내 포탈서비스들은 그동안 국내 인터넷 환경이 윈도 + IE에 천하통일 되어있었기 때문에 그에 맞춰서 IE에 최적화된 디자인으로 서비스를 했다. 그러니 IE나 IE엔진을 사용하는 웹브라우저(웹마나 맥손, jw브라우저 등)가 아닌 FF, 오페라, 사파리 등의 비 IE 웹브라우저에서는 디자인이 엉그러지거나 ActiveX 설치가 안되어 제대로 서비스가 동작하지 않는 등 여러 문제가 생겼던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지금 전 ..
-
플래시 결제를 통해 ActiveX를 빠져나가보자. 이니페이 플래시 2.0IT topics 2008. 8. 22. 10:52
전자결제시스템 제공업체인 이니시스가 비 윈도 시스템, 비 IE 웹브라우저를 위한 새로운 전자결제시스템인 이니페이 플래시 2.0(INIPay Flash 2.0)을 내놓았다. 기존의 전자결제시스템인 INIPay나 다른 결제 시스템은 대부분 ActiveX 기반인데 비해 이 INIPay Flash 2.0은 이름 그대로 플래시 기반이다. 이 시스템이 가지는 의미는 무엇일까? 일반적으로 전자금융시스템은 윈도 기반에 IE에서 ActiveX를 이용해서 처리되는 것이 거의 통념으로 작용해왔다. 현재 한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결제모듈, 보안모듈은 대부분이 ActiveX 기반이며 이로 인해서 리눅스, 맥 사용자와 IE가 아닌 FF나 사파리, 오페라 사용자들은 제대로 된 금융서비스를 받지 못했다. 하지만 이제는 플래시를 통해서..
-
파이어폭스, 드디어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이기다?IT topics 2008. 8. 19. 14:54
파이어폭스(FF)의 점유율이 인터넷 익스플로러(IE)를 거의 따라잡았다. 이런 상태라면 2009년 중순쯤에는 FF의 점유율이 IE를 넘어설 수 있을거 같아보인다. IE의 독주가 완전히 무너졌고 이제 FF와 함께 상생하는 길로 들어서기 시작한 것이다. 소설같은 이야기다. 현실과는 좀 동떨어진 이야기로 들린다. 그렇다. 위의 이야기는 어느 한 집단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이다. Geek라 불리는 IT 매니아(IT 전문가들과 관련 종사자들, 그리고 IT쪽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까지 포함)들 사이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이다. monkey_bite라는 블로그에서 조사한 내용에 따르면 내년 여름쯤에 FF의 점유율이 IE를 뛰어넘을 것이라고 한다. 물론 Geek들 사이에서 말이다. IE6는 1년사이에 11.6%가 감소했고 ..
-
Internet Explorer 8, ActiveX 제한으로 인터넷 대란을 가져올까?IT topics 2008. 7. 22. 14:06
아침에 회사에서 메일이 하나 왔는데 MS에 관련된 기사에 대한 메일이다. 이번에 나오는 Internet Explorer 7(IE7)의 후속버전인 Internet Explorer 8(IE8)에 ActiveX 기능을 축소시키겠다는 얘기다. 블로고스피어에서는 축소가 아닌 아예 막아버리겠다는 얘기도 나오고 있는데 인터뷰 내용을 봐서는 윈도 비스타에서 UAC로 ActiveX를 제한하는 것 이상으로 제한하겠다는 의미인듯 보인다. 그렇다면 어떻게 되는 것일까? 우리나라와 같이 ActiveX로 떡칠을 해놓은 웹사이트가 대부분인 인터넷 환경에서는 IE8은 꿔다놓은 보릿자루 마냥 그냥 놔두고 기존처럼 IE6이나 IE7을 사용해야 할까? 도대체 왜 우리나라 웹사이트들은, 특히 금융권 사이트나 정부 사이트들은 ActiveX로..
-
해외 No.1 인기 블로그툴인 워드프레스. 2.6으로 업그레이드 되다.Blog 2008. 7. 17. 14:12
보통 블로그를 운영하는데 있어서 블로그툴의 선택은 상당히 중요한 부분이다. 어떤 블로그툴을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블로그의 성격도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보통은 포탈사이트(네이버, 다음, 엠파스, 야후 등)에서 제공하는 블로그나 이글루스, 티스토리와 같은 전문 블로그 서비스를 많이 이용한다. 일단 따로 설치할 필요가 없고 관리가 쉬우며 트래픽 초과로 인한 고민을 안해도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부 블로그 운영을 전문적으로 하고 싶어하는 블로거들은 자기 웹계정을 사서 거기에 설치형 블로그 툴을 설치하고 운영하기도 한다. TNC의 택스트큐브와 같은 국산 블로그 툴 뿐만 아니라 무버블타입과 워드프레스 등의 전문 블로그툴을 많이 사용한다. 또 최근에는 제로보드XE의 블로그 기능을 이용해서 블로깅을 즐기는 블로거..
-
야후! 코리아, 파이어폭스에서 좀 깨지는 문제가..IT topics 2008. 6. 30. 17:55
국내 여러 포탈사이트들이 윈도 + 인터넷 익스폴러(IE)에 최적화 되어있다는 것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특히나 모질라 재단의 파이어폭스(FF)가 조금씩 인기를 얻고 국내에서 사용하는 네티즌들이 많아지면서 이러한 부분이 조금씩 부각되고 있다. 간단히 얘기하면 국내 포탈사이트들은 웹표준을 지키지 않고 오로지 윈도 + IE에 맞췄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는 얘기다. 그래도 최근에는 네이버, 다음 등의 포탈사이트들이 웹표준을 많이 지킬려고 노력을 하고 있는듯 보인다. 예전에는 FF에서 네이버나 다음에 들어가면 레이아웃이 깨지고 제대로 입력조차 안되었지만 최근에는 FF로도 무리없이 네이버나 다음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네이버의 경우 아무리 정책적으로 욕을 먹어도 이러한 접근성 부분에 있어서는 많이 개선하고 있는..
-
학주니의 시선으로 본 오늘의 IT 동향IT topics 2008. 2. 14. 11:18
내가 개인적으로 RSS 리더에 구독해놓고 보는 IT 관련 뉴스채널은 ZDNet Korea, 아이뉴스24, 중앙일보 IT 세션, 그리고 TechCrunch 정도다. 아이뉴스24와 중앙일보의 경우 국내뉴스 중심이고 ZDNet Korea의 경우 미국의 CNetNews.com 기사 번역이 많고(가끔 해외 ZDNet 뉴스를 번역하는 경우도 있다) 가끔 국내 뉴스들이 보이는 정도고 TechCrunch는 말할것 없이 세계 최고의 IT 팀블로그라 할 수 있다. 오늘 아침에 내 Bloglines RSS 리더기를 통해서 들은 아이뉴스24 기사들 중에서 눈에 들어오는 기사들을 중심으로 한번 정리해볼까 한다. 보통은 하나의 기사를 보고 그 기사를 분석하고 정리하곤 했는데 이번에는 간략하게 3개의 기사를 정리해봤다. 야후, M..
-
매력적으로 다가오는 저가의 리눅스 PCIT topics 2008. 1. 28. 19:29
국내와는 달리 해외의 경우 리눅스 OS가 국내에 비해서 데스크탑용으로 꽤나 활성화가 되어있다. 뭐 윈도의 점유율이 90% 이상인 것은 마찬가지지만 그래도 국내에서처럼 리눅스를 데스크탑용 OS로 사용할 때 느끼는 엄청난 불편함을 해외에서는 많이 못느낀다는 것이다. 이는 해외에서 윈도 비스타가 출시되었을 때에 국내와는 달리 해외에서는 ActiveX 관련 불만이 많이 없었다는 것으로 어느정도 이해를 할 수 있는거 같다. 위에서 얘기했듯 해외에서는 리눅스가 어느정도 활성화가 되어있다고 했다. 리눅스의 장점은 값싼 PC 사양에서도 무리없이 사용할 수 있는 OS라는 것이다. 윈도가 시스템 자원을 많이 먹는 것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리눅스가 먼저 서버급 OS로 대성공을 거둘 수 있었던 이유중에는 유닉스에 호환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