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소스
-
IT계의 공룡, IBM이 오픈소스 리눅스의 강자인 레드헷을 인수한다고 하는데.. 그 의미는?IT topics 2018. 10. 29. 23:09
아침에 일 때문에 제주도 출장을 가려고 집에서 나오면서 뉴스를 보는데 깜짝 놀랄만한 뉴스가 하나 떴다. IT 분야에 있는 사람이라면 적어도 한두번 이상은 들었을법한 2개의 거대 기업의 인수합병 뉴스다. 다름아닌 IT 세계의 거물인 IBM이 리눅스 분야를 포함한 오픈소스 진영에서 큰 영향력을 지니고 있는 기업인 레드헷(RedHat)을 340억 달러(대략 38조 6천억원)에 인수한다는 뉴스다. 이는 오라클이 썬 마이크로시스템즈와 MySQL을 인수할 때 만큼이나 충격적인 뉴스다. IBM이야 많은 사람들이 다 잘 아는 IT 세계의 대표적인 대기업이지만 레드헷의 경우 이쪽 분야가 아니면 잘 모를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리눅스를 다룬다면, 서버 엔지니어라면, 오픈소스에 대해서 관심이 있다면 잘 알 것이다. 초창..
-
카카오뱅크의 리눅스 시스템의 메인 시스템 도입이 가져오게 될 금융권 IT 환경의 변화는?IT topics 2017. 9. 2. 13:06
올해 들어 IT 업계 뿐만이 아니라 금융권 전체를 뒤흔들고 있는 이슈는 인터넷전문은행의 공식 출범이다. 올해 초의 케이뱅크와 중반기의 카카오뱅크의 공식 런칭은 금융권 전체를 뒤흔들고 있다. 특히 카카오뱅크 출범 이후 급속도로 늘어나는 가입자수와 그에 따른 다양한 이슈는 다른 금융권의 서비스 정책을 뒤흔들고 있다. 캐시카드의 캐시백 서비스를 더 늘린다던지 뭐 그런 다양한 서비스의 변화를 이끌고 있다. 카카오뱅크보다 먼저 출범한 케이뱅크도 카카오뱅크만큼의 파괴력은 아니지만 그래도 조용하게 나름 영향력을 키우고 있는 중이라 생각이 든다. 나도 카카오뱅크를 이용하고 있는데 아직까지는 사용성면에 있어서 무척이나 만족스럽게 사용하고 있는 중이다. 기존 금융권 시스템의 코어는 지금까지는 유닉스! 카카오뱅크의 출범이 ..
-
7년만에 다시 등장한 국산화 바람, 티맥스의 TmaxOS와 오피스 등의 발표. '선택의 기쁨, 혁신의 시작'이 '선택의 아픔, 재앙의 시작'이 될까?IT topics 2016. 4. 28. 18:59
어제(4월 20일) 오후에 있었던 티맥스의 Tmax OS 발표는 많은 논란꺼리를 양산해낸 쾌거(?)를 이뤘다. 이래저래 말들이 많았던 발표였다는 얘기다. 데모시연 중에 데모용 PC가 꺼져서 OS 시연이 연기되지 않나 제품 발표회인데 OS 개념 강의부터 개발툴, 브라우저, 오피스의 개념 강의가 진행되어 마치 수업듣는 분위기였다는 것까지. 어제의 발표는 유튜브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방송되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보게 되었고 내 주변의 지인들은 보고 뒤집어졌다고 하기도 했다. 나 역시 처음부터 끝까지 다 보지는 못했지만(시간이 업무 시간대인지라 잠깐씩 볼 수 밖에 없었다) 내가 본 내용과 지인들이 보내준 내용만으로도 내가 알고 있는 OS의 개념을 뒤집는 골때리는 상황이 많이 벌어진 것이 사실이다. 일단 티맥스..
-
카카오은행의 주전산시스템 DBMS 구축 정책 중 탈 오라클 정책에 대해서.. (하지만 이변은 없었다 -.-)IT topics 2016. 4. 7. 10:09
* 밑에 추가로 언급을 했지만 카카오은행의 주전산시스템 DBMS가 오라클로 결정이 될 듯 싶다. (4/7 수정) 이제 본격적으로 인터넷전문은행의 본 인가를 향해 가는 듯 싶다. KT를 중심으로 하는 K뱅크와 카카오를 중심으로 하는 카카오은행의 실질적인 시스템 구축 방안들이 언론을 통해서 조금씩 나오고 있는데 흥미있는 내용들이 좀 보여서 나름대로 그냥 생각나는 부분만 내 생각을 적어보려고 한다. 카카오은행의 DB 인프라를 외산 DBMS인 오라클이 아닌 국내 DBMS, 혹은 오픈소스로 된 DBMS를 선택할 것이라는 뉴스가 나왔다. 그 동안의 국내 은행권의 메인 DB 인프라는 대부분 오라클 DBMS를 사용해왔다. 아무래도 오랜기간동안 기술을 축적해왔고 꾸준히 버전업이 된 오라클이 안정성 부분이나 성능 부분에서..
-
오픈소스의 확산을 이끈 깃허브 이야기IT topics 2016. 2. 18. 08:00
세계적으로 활발한 오픈소스 운동 오픈소스라고 하면 무엇이 떠오르나요? 공짜 프로그램? 무료 프로그램? 누구에게나 소스를 갖다 쓸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 아마도 많은 사람들이 공짜라는 이미지를 갖고 있을 듯 합니다. 이름 자체가 '열다'라는 뜻의 Open과 '원천'이라는 의미의 Source가 합쳐진 단어이기 때문에 아주 틀린 얘기는 아닙니다. 일반적으로 오픈소스로 된 솔루션은 누구나 갖다 쓸 수 있고 그 안의 내용을 갖고 변형을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오픈소스라고 해도 다 자기 마음대로 고치거나 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오픈소스도 요즘은 다양한 라이선스가 존재합니다. GPL, 아파치 라이선스, BSD 라이선스, MIT 라이선스 등 오픈소스에 관련된 라이선스도 꽤 많습니다. 라이선스의 내용에 따라 갖..
-
기업의 승패를 좌지우지할 수 있을 정도로 커진 오픈소스, 하지만 그 이면에는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많은데..IT topics 2015. 6. 18. 12:49
IT 시장에서 서비스를 만들거나 솔루션을 만들 때 보면 처음부터 끝까지 새로 다 만드는 경우가 있고 만약 기존에 만들었던 솔루션이나 서비스가 있다면 그 솔루션이나 서비스를 커스터마이징이나 업그레이드해서 새 서비스나 솔루션으로 만드는 경우가 있다. 또 아무것도 없는 상황에서 서비스나 솔루션을 만들려고 할 때에는 앞서 얘기했던 것처럼 아예 새로 모든 것을 다 만들거나 아니면 오픈소스 프로젝트의 솔루션들을 가져와서 커스터마이징 하는 경우가 있다. 요즘은 새로 만들기 보다는 기존에 있던 솔루션을 기반으로 커스터마이징, 혹은 업그레이드를 하던지 아니면 오픈소스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은 듯 싶다. 내 경우에도 회사에서 서비스를 만들 때 오픈소스부터 먼저 뒤져보고 그것을 모티브로 만들거나 오픈소스를 가져다가 커스터마이..
-
보안 위협을 분석, 예측하는 보안 관제 시스템. 빅데이터 시스템의 도입으로 더 발전하게 되는데..Security 2014. 7. 21. 07:13
최근 몇년 사이에 화두가 되는 IT의 아이템이라고 한다면 여러가지가 있을 것입니다. IoT, 빅데이터, 웨어러블.. 이전에 IoT의 보안에 대해서 언급한 적이 있는데 오늘은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보안 솔루션에 대해서 얘기를 해볼까 합니다. 참고로 먼저 결론 비스므리한 얘기하자면 최근에 얘기가 나오고 있는 빅데이터의 컨셉을 어떻게 보면 가장 먼저 활용한, 빅데이터라는 단어 자체가 시장에 퍼지기 전에 먼저 시장에서 그 컨셉을 사용하고 있었던 분야는 다름아닌 보안분야입니다. 그 이야기를 좀 해볼까 합니다. 과거의 현재의 데이터를 통해서 패턴을 찾아 미래를 예측하는 빅데이터 시스템 빅데이터에 대해서 솔루션들을 얼추 찾다보면 현재까지는 솔루션의 컨셉이 대부분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향후에는 더 발전..
-
오라클, IT 세계에서 공공의 적이 되어가나?IT topics 2013. 2. 12. 11:17
확실히 오라클이 IT업계에서 공공의 적이 되어가고 있는 모습이다.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자바의 버그 관련 이슈도 그렇고 페도라와 오픈수세 리눅스에서 MySQL 대신 MariaDB를 도입한다는 것도 비슷한 맥락에서 해석될 수 있다. 둘 다 오라클로 인수된 이후에 보여지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아래의 내용은 내가 주관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내용에 주변에서 들은 이야기를 나름 분석해서 적은 내용이니 참고하길 바란다. 최근 미국에서는 자바 사용(정확히 얘기한다면 자바 애플릿 사용)을 제한하려는 움직임이 보이고 있다. 자바 애플릿에 대한 버그로 인해 JVM이 해킹을 당하게 되어 시스템에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라는게 일반적인 의견이다. 자바는 매년 꾸준히 버그가 보고되고 패치가 진행되어 왔지만 Sun이 오라클로..
-
아이패드로 인해 안드로이드는 크롬 OS와도 경쟁해야 할 운명이...Mobile topics 2010. 7. 23. 09:38
애플의 아이패드가 타블릿 시장을 크게 요동친 이후에 제조사들이 다시 바빠지기 시작했다. 아이폰으로 스마트폰 시장을 뒤흔든 덕분에 제조사들이 안드로이드를 탑재한 구글 폰들을 무자비하게 내놓기 시작했는데 이제는 아이패드로 인해 제조사들이 아이패드에 대항할(?) 타블릿을 내놓을려고 준비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이폰도 그렇고 아이패드도 그렇고 시장 자체를 뒤흔드는데 있어서 애플이라는 기업은 정말로 대단한 듯 싶다. 시대를 선도하고 있다는 말이 딱 맞아 떨어지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아이폰에 이어 아이패드에 대한 대응책으로 또 다시 안드로이드가 각광을 받고 있다. 아이폰과 아이패드가 똑같은 iOS를 기반으로 동작하고 있기 떄문에 안드로이드 폰과 연계하기 위해서는 같은 OS인 안드로이드를 타블릿에도 적용해서 아이폰 ..
-
모바일 시장의 대세로 가려는 안드로이드. 국내에서는 어떻게 해야할 것인가?Mobile topics 2010. 2. 12. 08:24
'대세'라는 말이 있다. 흐름을 주도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보면 편할지도 모르겠다. 이런 대세는 정치권에서 많이들 사용하곤 한다. 대세를 따르라고. 자기네들이 대세라고. 뭐 정치권 이야기는 좀 딱딱하게 들릴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이런 대세가 모바일 세계에서도 존재하고 있는 듯 싶다. 최근 몇년간은 애플이 모바일 세계를 휘어잡고 있었다. 지금도 휘어잡고 있는 것은 비슷하다. 아이폰 하나로 모바일 시장을 완전히 뒤엎어버린 애플의 저력은 이후에 나오는 모든 모바일 디바이스를 다 아이폰 풍으로 만드는데 일조를 했고 지금도 아이폰 풍으로 계속 모바일 디바이스(스마트폰, 일반 휴대폰 등)들이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아이폰에 대항하는 여러 모바일 플랫폼들이 나오기 시작했다. 아이폰의 대항마라는 이름 하에 여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