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소스
-
모바일 리눅스, 리모를 중심으로 힘을 내기 시작하나..Mobile topics 2008. 6. 30. 11:40
모바일 OS 시장이 계속 요동치고 있다. 일전에 노키아가 심비안 재단을 인수하고 심비안을 오픈소스화 시키겠다고 해서 한번 모바일 OS 시장에 지각변동을 예고했는데 이번에는 모바일 리눅스의 양대산맥인 LiPS 포럼이 LiMo 제단에 흡수된다는 소식이 들렸다. LiPS(립스) 포럼은 6월달 이후에 활동을 중지하고 LiMo(리모) 제단에 회원과 그 성과를 이관한다는 것이다. 앞으로 임베디드 모바일 리눅스는 리모를 중심으로 표준화 및 활성화가 진행될 듯 싶다. 구글의 안드로이드 역시 리눅스 기반이나 리모에서 내놓는 모바일 리눅스와는 그 성격이 다르므로 안드로이드와 리모 플랫폼은 분명 다른 OS가 될 듯 싶다. 그동안 모바일 리눅스는 일반 리눅스 커널을 임베디드 기기에 맞춰서 커스터마이징한 임베디드 리눅스를 기반..
-
모바일 OS 시장의 현재 상황은 어떨까?Mobile topics 2008. 6. 26. 13:50
현재 전 세계적으로 모바일 OS에 대한 현황은 어떨까? 이번에 노키아에서 모바일 OS의 맹주자리를 지키고 있는 심비안을 인수한 후 오픈소스로 공개하겠다고 나선 이후에 모바일 OS에 대한 관심이 많아진듯 보인다. MS의 윈도 모바일, 구글의 안드로이드, 노키아의 심비안, 애플의 iPhone OSX 등의 현재 모바일 시장을 이끌고 나가고 있는 OS의 현 상황을 조금 살펴보도록 하자.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OS는 수십가지가 넘는다. 위에서 언급했던 안드로이드, iPhone OSX, 윈도 모바일, 심비안을 제외하고도 자바의 J2ME도 OS급으로 속할 수 있고 임베디드 리눅스를 개량한 모바일용 리눅스도 수십가지(어쩌면 수백가지일수도)에 이른다. 리눅스의 경우 커널이 공개되어 있기 때문에 하드웨어에 맞춰서..
-
MySQL의 습격「MS, 오라클 게 섯거라!」IT topics 2007. 12. 3. 10:16
좀 예전 기사이기는 하지만 나름 생각해볼 기사가 있어서 소개해본다. 물론 IT업종, 특히나 웹 서비스 관련 업종이 아닌 일반 엔지니어들은 그다지 큰 관심은 없을지도 모르겠다. MySQL의 습격「MS, 오라클 게 섯거라!」(ZDNet Korea) 아마도 국내에서 웹 서비스용 DB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를 얘기하자면 MySQL을 들 수 있을 것이다. 국내 웹 호스팅 업체 대부분이 채용하고 있으며 LAPM(Linux + Apache + PHP + MySQL)라는 무료 오픈소스 웹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있어서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 바로 MySQL이다. 이런 MySQL이 국내에 본격적으로 상용 지원 서비스를 갖춘다고 한다. 지사가 들어오는 것이 ..
-
최고의 오픈소스 프로젝트는?IT topics 2007. 8. 1. 11:01
해외 사이트중에서 오픈소스 커뮤니티로 유명한 소스포지(SourceForge)는 이번에 최고의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뽑는 컨테스트인 커뮤니티 초이스 어워드(Community Choice Awords)를 개최했다고 한다. 최고의 오픈소스 프로젝트는? (ZDNet Korea) SourceForge Community Choice Award winners are.... (CNetNews.com) 여기에 수상한 프로젝트들을 한번 살펴보자. 참고로 소스포지는 나도 회사에서 어떤 프로젝트를 할 때 많이 소스를 참조하는 커뮤니티다. 괜찮은 프로젝트들도 많고 참고할만한 소스들도 많다. 최우수 프로젝트:7-Zip 신프로젝트 부문 최우수상:eMule, Launchy 개발자를 위한 툴 또는 유틸리티 부문 최우수상:Tortoise..
-
레드햇, 리눅스 페도라 7 공개IT topics 2007. 6. 5. 11:40
CNet News.com에 따르면 레드햇에서 5월 마지막주 수요일에 페도라 7을 공개했다고 한다. Fedora 7 unifies Red Hat, outside coders (CNet News.com) 뭐 다른 이야기는 볼거 없고 이번에 출시된 페도라 7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고 한다. KVM이라는 오픈소스 가상화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다고 한다. 이것은 Xen의 다른 버젼이라고 했다. 가상화 프로그램은 한 PC에서 여러 OS를 운영할 수 있는 기술이다. VMWare와 어떻게 다른지는 잘 모르겠지만 예전의 Xen보다는 성능이 더 좋다고 하니 페도라 7을 설치하고 KVM 이용해서 윈도 비스타를 설치해서 운영할 수도 있을듯 하다. 페도라 7에는 리눅스의 양대 데스크탑 프로그램인 GNOME 2.18과 KDE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