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
인공지능을 도입한 번역 서비스의 번역 품질. 이제는 무시못할 수준으로 올라섰는데..IT topics 2017. 5. 1. 21:50
작년에 구글의 알파고와 이세돌 9단의 바둑대결 이후 국내외적으로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이 상당히 높아지고 있으며 작년과 올해 초의 IT 업계의 화두는 단연 인공지능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4차 산업혁명이라 불리는 지금의 IT 세계의 메인 화두 역시 인공지능이 핵심을 이루고 있으니 말이다. 인공지능이 본격적으로 세상에 나오게 됨으로 다양한 이야기들이 나오고 있는데 특히나 미래의 직업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물론 대부분이 좀 비관적인 이야기다. 인공지능이 득세함으로 인해 지금의 직업들 중 상당 부분은 인공지능이 대체할 것이라는 얘기가 많기 때문이다. 그 중에 하나가 바로 지금부터 얘기할 번역 분야가 아닐까 싶다. 인공지능의 도입으로 성능이 대폭 향성된 번역 서비스에 대한 두려움 작년부..
-
아이들과 같이 즐길 수 있는, 애들에게 도움이 되는 태블릿 앱들은 뭐가 있을까?Review 2012. 11. 5. 08:00
보통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를 구입하게 되면 개인적으로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동영상이나 YouTube 등의 인터넷 동영상 공유 사이트)를 보거나 웹브라우징을 하거나 트위터나 페이스북과 같은 SNS를 즐기는데 많이 사용한다. 스마트폰의 경우 개인화 단말기의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어찌되었던 휴대폰이니까) 개인용으로 많이 사용하지만 태블릿PC의 경우에는 개인용과 함께 온 가족이 같이 사용하는 공용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 듯 싶다. 화면이 크다보니 스마트폰보다 더 효과가 좋기 때문이 아닐까 싶어서라는 개인적인 생각이 든다. 위에서 언급했듯 스마트폰보다는 태블릿PC가 좀 더 가족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가족, 특히 아이들에게 좋은 장난감으로, 혹은 교육 보조기구로 많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오늘은..
-
한글 서비스를 시작한 트위터. 하지만 뭔가 진한 아쉬움이 남는 서비스가...IT topics 2011. 1. 27. 08:40
며칠 전부터 트위터 웹서비스에 한글이 지원되기 시작했다. 전에는 영어와 일본어만 지원되었는데 이번에 트위터 사장이 여러 국가를 순방(?)하면서 지원하는 언어들도 대폭 늘린 듯 싶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서비스에 한글이 지원된다는 점은 여러가지 측면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한국이라는 나라를 인정하는 것으로도 인식될 수 있으니). 참고로 페이스북은 몇년 전부터 한국어 서비스를 지원하기 시작했다. 그런데 트위터의 언어를 한국어로 바꾼 후에 사용하다보면 많은 아쉬움이 남는다. 영어를 그대로 한글로만 옮긴 것이다. Timeline은 발음 그대로 타임라인, Mentions는 맨션, Retweet은 리트윗, Lists는 리스트... 뭐 저걸 한글로 풀어서 쓰는 것도 쫌 우습기는 하지만 맨션이나 리스트 정도는 괜찮은 한..
-
아이팟과 iTunes로 팟캐스트를 통한 영어공부를 좀 효과적으로 해보자Mobile topics 2008. 10. 10. 19:23
최근에 아이팟 터치를 중고로 구매했다. 구매가격은 29만원. 아이팟 터치 2세대가 나온 지금 1세대를 29만원에 그것도 중고로 구매했다는 것에 많은 사람들이 조금만 더 기다리지 하는 안타까움을 보냈지만 2세대가 37만원에 거래되고 있음을 볼 때 비록 8만원 차이지만 1세대와 2세대에 큰 차이가 없음을 알고는 얼추 1년정도는 아이팟 터치 1세대와 함께 보내기로 했다. 아이팟 터치로 인해 쓰게되는 프로그램이 있으니 다름아닌 iTunes다. 현재 8.0.1 버전까지 나온 상태며 음악이나 동영상, 사진 등을 집어넣을 때 꼭 필요로 하는 필수 프로그램이다. 이게 맥에서는 잘 돌아갈지 몰라도 윈도에서는 좀 무겁고 음악관리의 경우 ID3 태그를 이용하기 때문에 인터넷에서 다운로드 받은 음악들은 다시 태그를 재정리해야..
-
한글날 맞이 포탈사이트들의 로고 변화들..IT topics 2008. 10. 9. 21:31
오늘은 562돌을 맞는 한글날이다. 한글에 대한 우수성은 이미 전세계가 인정을 했기 때문에 따로 얘기할 필요가 없다. 이런 한글날을 우리네 포탈사이트들은 어떻게 맞이하고 있는지 한번 살펴봤다. 네이버 보통은 NAVER라는 영문으로 표기가 되는데 오늘은 한글로 깔끔하게 네이버로 표시가 된다. 네이버에 처음 접속하면 네이버라는 글자가 여러번 바뀌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아마도 응모했다던지 해서 다양한 글자체를 받아서 표시하도록 했던거 같다. 나름 참신한 시도인거 같다. 다만 폰트가 영 촌스럽다고 해야하나 왠지 어색하게 느껴지는 것은 어쩔 수 없는가보다. 워낙 NAVER라는 글자에 더 익숙해져있다보니 그런가보다. 다음 보통은 DAUM으로 표시가 되는데 한글날 특집(?)으로 다음이라고 표시하도록 했다. 네이버와..
-
구글 크롬 만화책 획득! 그런데 한글판이 아니야~~ -.-;IT topics 2008. 9. 19. 14:49
예전에 구글코리아가 크롬을 출시하면서 한 이벤트가 있다. 구글 크롬에 대한 글을 적어서 이벤트에 응모하면 구글 크롬 만화책을 준다는 내용이었다. 예전에 크롬에 대한 글을 쓰면서 자료를 찾아보다가 구글이 만화책으로 크롬을 소개한 부분을 같이 언급한 내용이 있었는데 그 만화책을 준다고 하기에 얼씨구나 하고 잽싸게 응모를 했다. 그리고 어제 회사로 그 만화책이 왔다(^^). 회사 직원이 우편물이 왔다고 해서 받았더니 구글에서 온 우편물이다. 머 얼추 예상을 했다. 만화책이 왔구나~ 개인적으로 만화책을 좋아하기에 기대만땅이었다. 우편물 안에는 구글이 보내온 엽서(?)와 함께 책이 같이 있었다. 엽서에는 크롬에 대한 관심에 감사드리며 지속적으로 관심을 부탁드린다는 통상적인 말이 적혀있었다. 두둥~ 이게 그 소문의..
-
자기가 원하는 주제로 영어 듣기 공부를 할 수 있다면..Personal story 2008. 6. 18. 12:54
보통 우리가 살면서 영어를 얼마나 사용할까? 일반적으로 생활하는데 있어서는 영어를 쓸 일이 그닥 없다고 생각이 든다. 뭐 심지어 미국의 LA에서 생활한다면 거의 영어를 쓸 일이 없을 정도다. 즉, 영어는 필요한 사람들에게만 사용되는 기술 정도라 생각이 든다. 그런데 이노무 나라가 영어를 거의 종교화 하다시피 해서 영어광풍을 일으키더니 온 나라를 영어 삼매경에 빠드려버렸다. 영어몰입교육이라는 말도 정책을 내놓더니 공교육을 살린답시고 내놓은 정책들은 오히려 사교육을 부추켜서 공교육과의 격차를 더 벌려놓아버렸다. 어느 신문에서도 영어는 이제 언어가 아닌 종교라고 할 정도로 한국에서의 영어에 대한 위치는 가히 절대적이다. 그렇다고 영어를 무시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특히 내 경우에 있어서 자료들이 국내에서는 찾..
-
영어를 잘하면 군대를 안간다고?Current topics 2008. 1. 28. 10:01
앞으로는 영어를 잘하면 군대도 안가게 생겼다. 인수위가 내놓은 영어공교육활성화 정책중에서 군대에 가야 할 때 영어를 잘하면 군대대신에 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치도록 하는 방안이 추진중에 있다는 뉴스다. "영어 잘하면 군대 안간다" (중앙일보) 아무리 영어가 중요하다고 하고 사회의 부를 축적하는데 중요한 척도가 된다고 하더라도 저렇게까지 하는 인수위와 그걸 시행할려고 하는 차기 대통령인 이명박 당선자의 머리속에는 뭐가 들어있는지 궁금하다. 가뜩이나 군대에 안갈려고 온갖 편법을 다 동원하는 세상에 오히려 더 길만 열어주게 되었고 부모들은 자식들 군대 안보내기 위해 어려서부터 영어공부에 열중시키게 생겼다. 공교육을 확실하게 다지기 위한 방법에 오히려 어려서부터 영어학원에 시달리겠끔 사교육을 더 크게 만드는 꼴이 ..
-
이제는 한글로 외국문서까지 검색하는 세상이 온다.IT topics 2007. 12. 3. 14:01
구글이 최근 자체 번역 서비스를 정식으로 내놓았다. 현재 제공되고 있는 여러 영문 번역 서비스중에서 그나마 정확하다는 번역 서비스가 구글 번역 서비스라고 생각을 한다. 하지만 기계적 번역에는 아직까지 한계가 있는 법이다. 구글 번역 서비스를 이용해서 영문문서를 한글로 번역하거나 역으로 한글문서를 영문으로 번역을 하게되면 그 결과가 솔직히 아니올시다라는 것이다. 어느정도 손을 봐야 그나마 읽을만한 수준으로 번역될 수 있다고 생각이 든다. 이런 와중에 구글은 음성인식 번역기술을 계속해서 개발하고 있다. 중앙일보에서 구글의 피터 노빅 박사의 인터뷰를 게제했는데 내용이 참 재밌다. 구글 피터 노빅 박사 `한글로 전세계 웹 검색` (조인스닷컴) 전 세계적으로 인터넷 문서의 70% 이상은 영문으로 작성되어있고 나머..
-
대한민국은 영어 공화국, 그러나.Current topics 2007. 8. 18. 18:39
저번주에 그것이 알고싶다에서 영어교육에 대한 내용을 방송했다. 그것을 보면서 참으로 안타까운 생각이 들었다. 왜 영어인가, 영어공부를 왜 해야하는가, 왜 한국은 영어에 열광을 하는가 하는 부분을 다루면서 한국 사회가 갖고있는 모순들을 다시 보는것 같아서 안타까웠다. 내가 어렸을 때는 초등학교(그 당시에는 국민학교)때 영어를 배우지 않고 중학교 때부터 영어를 배우기 시작했다. 외국어로서 말이다. 그리고 그 영어는 중학교 3년, 고등학교 3년, 대학교 4년동안 내내 배우는 과목이 되었다. 그리고 사회에 나와서는 배운 영어를 제대로 써먹느냐를 따지고 보면 아니다라는 생각이 든다. 우리가 생활하고 있는 사회 속에서 영어는 중학교 3년동안 배운 수준이면 충분히 써먹고도 남는다는 것을 우리는 깨닫게 된다. 사회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