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시스템
-
아마존의 알렉사와 에코, 구글의 구글 어시스던트와 구글 홈, 그리고 애플의 시리와 홈팟에 대해서..Mobile topics 2017. 6. 28. 09:23
이 글을 쓰는 시점에서는 좀 지난 이야기가 되었지만 애플은 WWDC 2017에서 시리를 탑재한 인공지능 스피커(라고 해두자. 정확한 카테고리는 좀 애매모호하지만), 홈팟(HomePod)을 발표한다. 애플이 얘기하기로는 음성인식이 되는 스피커형 음악 기기라고 했는데 WWDC를 본 사람이라면 이 녀석의 카테고리를 아마존의 알렉사가 탑재된 에코닷이나 구글의 구글 어시스던트가 탑재된 구글 홈과 같은 녀석이라고 생각을 할 것이다. 즉, 애플도 아마존과 구글처럼 음성인식 스피커 시장에 본격적으로 발을 들여놓기 시작했다고 봐도 무방할 것이다. IT World에서 아마존의 에코, 구글의 구글 홈, 애플의 홈팟을 비교하는 글이 있어서 흥미롭게 읽어봤다. 그리고 며칠 전에 지인이 회사 일로 인해 구글과 아마존 관계자들을 ..
-
MS의 Windows 10 S는 구글 크롬 OS가 자리잡은 교육용 시장을 노리고 만든 교육용 OS인가?IT topics 2017. 5. 16. 00:07
며칠 전에 MS에서 2가지 재미난(?) 제품들(?)을 내놓았다. 하나는 OS고 나머지 하나는 노트북이다. 먼저 노트북은 서피스 랩탑(Surface Laptop)이라고 서피스 시리즈 중에서 아예 노트북을 표방하고 나온 녀석으로 태블릿 계열이 아니라 그냥 얘는 노트북이다. 그리고 OS는 Windows 10 S라는 녀석으로 Windows 10 계열의 OS를 내놓았다. 이 녀석들이 어떤 녀석들인지 그리고 왜 내놓았을까에 대해서 나름대로의 내 생각을 적어보려고 한다. 이 포스팅에서는 Windows 10 S에 대해서 살펴보자. 잘 자리잡고 있는 Windows 10 시리즈 MS의 Windows OS는 거의 징검다리 버전으로 나름 성공을 거뒀다. Windows 95 이후에 나온 98이 큰 성공을 거뒀으며 ME 망..
-
아쉬움을 준 애플워치와 놀라움을 준 맥북의 등장. 2015년 애플 봄 이벤트 키노트를 보면서 느낀 부분을 정리하면서..Mobile topics 2015. 3. 10. 13:06
오늘 새벽에 애플은 봄 이벤트를 개최했다. 봄 이벤트라고 하지만 이미 많은 사람들이 다 알고 있는 것과 같이 애플워치의 공식 출시와 새로운 맥북에 대한 발표가 있었다. 애플워치의 경우 지난 애플 발표회때 언급이 되었던 것이기 때문에 이번 발표로 공식적인 출시가 밝혀졌고 새로운 맥북에어 모델이 나올 것이라는 예상은 에어를 뺀 컴백한 맥북으로 마무리가 된 듯 싶다. 오히려 이번 이벤트의 핵심은 중국에 본격적으로 애플의 사업을 시작했다는 것을 알린 것이 아닐까 싶다. 키노트의 시작을 중국의 애플스토어 모습을 보임으로 했으니까 말이지. 얼추 알려진 내용 말고 키노트 영상을 보면서 얼추 느낀 부분을 좀 정리해볼까 한다. 키노트는 맥북부터 진행했지만 일단 애플워치에 대한 이야기부터 해볼까 한다. 예상했던 수준과 범..
-
아우디와 AT&T의 협업으로 나올 커넥티드 카. 과연 국내에서는 가능할까?IT topics 2015. 3. 9. 21:33
MWC 2015에서 소개된 다양한 기술들과 제품들 중에서 가장 많이 얘기가 나온 것이 자동차와 IoT 관련 내용들인거 같다. 물론 삼성이 MWC 2015 전에 언팩 2015를 통해서 갤럭시 S6로 화려하게 시작했지만 실제로 MWC 2015의 메인 테마는 스마트폰보다는 IoT에 집중되었고 스마트워치로 대표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함께 자동차에 적용되는 다양한 IoT 기술들이 핵심을 차지했다고 보여진다. 그 와중에 재미난 뉴스 하나가 눈에 보여서 읽어보고 느낀 바를 적어볼까 한다. 2016년형 아우디 자동차부터 도입될 AT&T의 무선인터넷시스템 아우디(Audi)와 AT&T가 아우디의 2016년형 모델부터 AT&T의 SIM 카드를 탑재한 무선인터넷이 연결되는 자동차 시스템을 내놓기로 했다는 뉴스다. 정확히 말..
-
구글 안드로이드의 가장 큰 적은 보이는 애플의 iOS가 아니라 보이지 않는 적인 AOSP가 아닐지..Mobile topics 2014. 9. 1. 11:40
현재 전세계 모바일 플랫폼의 양대 산맥이라고 불릴 수 있는 모바일 플랫폼이면 구글의 안드로이드와 애플의 iOS라고 할 수 있습니다. 뭐 엄밀히 따지자면 양대산맥이라고 보기도 어려운 것이 안드로이드와 iOS의 비중은 7:2, iOS의 비중을 더 높게 잡아도 6:3 정도라고 볼 수 있습니다(나머지 1은 윈도 폰과 나머지 떨거지 모바일 플랫폼이라고 보면 되지요. 1이라고 보기도 어렵습니다. 한 0.6 ~ 0.7정도? 정수에 딱 떨어지게 표현하기 위해서 1이라고 했을 뿐입니다). 그만큼 안드로이드의 점유율이 높습니다만 어찌되었던 모바일 플랫폼에 있어서 iOS의 영향력이 안드로이드에 결코 밀리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해서 양대산맥이라고 표현을 했습니다(다른 예로 국내의 포털서비스의 양대산맥으로 네이버와 다음을 꼽는 ..
-
아마존의 성공이 가져온 구글의 고민은? 구글 안드로이드의 강력한 적수는 iOS가 아니라 안드로이드 자체에 있지 않을까?Mobile topics 2014. 7. 14. 15:47
전세계 모바일 시장을 2개의 거대 플랫폼이 장악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구글의 안드로이드, 그리고 애플의 iOS가 전세계 모바일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MS의 윈도 폰이나 인텔과 삼성이 주도하는 타이젠, 그리고 웹OS 중에서 그나마 앞서나가고 있다는 파이어폭스 OS 등도 존재하지만 안드로이드와 iOS라는 대기업급 플랫폼 앞에서는 중소기업 수준도 못미치는 구멍가게 수준의 플랫폼 규모라고 봐도 무방할 듯 싶다. 물론 윈도 폰의 MS 진영은 이러한 주장에 반론을 제기하겠지만 어쩌겠는가. 내가 보는 자료에는 그렇게 나와있는것을... 재미난 것은 애플의 iOS 플랫폼은 애플 제품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인데 아이폰, 아이패드, 아이팟 터치 등의 애플 모바일 단말기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
[MWC 2013] 삼성전자, MWC서 삼성 에코시스템 활성화를 위한 ‘개발자 데이’ 개최Mobile topics 2013. 3. 4. 12:00
이번 MWC 2013에서 삼성전자는 삼성 에코시스템 활성화를 위한 개발자데이를 진행했다. 어떤 내용으로 진행이 되었는지 가볍게 살펴보도록 하자. 삼성에서 제공한 보도자료를 기준으로 내가 찍은 사진 및 동영상 캡쳐를 넣어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물론 자세한 부분은 밑의 동영상을 참고하면 될 듯 싶다. 무려 1시간이나 되는 동영상임에도 불구하고 유튜브에 다 올라갔다(신기하다). 그리고 이 영상을 촬영하는데 정말로 소니에서 제공해준 PJ660이 큰 힘을 발휘했다. * 참고로 아래의 내용은 삼성전자에서 배포한 보도자료를 기준으로 작성한 것이다. * 삼성전자, MWC서 삼성 에코시스템 활성화를 위한 ‘개발자 데이’ 개최 - 외부 개발자를 위한 삼성 콘텐츠 서비스 소개 - 개발자를 위한 삼성 월렛 서비스 Open A..
-
카카오톡의 성공에 이어 카카오페이지를 통해서 통합 모바일 플랫폼 사업자로 자리잡으려고 하는 카카오의 도전. 과연 성공할까?Mobile topics 2012. 11. 26. 10:06
카카오는 과연 모바일 통합 플랫폼 사업자로서 자리를 확실히 굳힐 수 있을까? 무슨 이야기인가 하면, 국민 메신져라 불리는 카카오톡의 성공과 그 카카오톡을 활용한 다양한 게임 유통 플랫폼으로서의 성공에 이어 카카오페이지를 통해서 컨텐츠 제작 및 유통 플랫폼으로서의 입지까지 다지려고 하는 모습이 보여서 하는 얘기다. 최근 카카오는 카카오페이지와 채팅플러스, 스토리플러스와 같은 서비스를 소개함으로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하는 모바일 플랫폼을 더 확장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카카오스토리의 확장판인 스토리플러스도 그렇지만 무엇보다 이날 발표의 핵심은 모바일 컨텐츠를 제작하고 판매 및 배포할 수 있는 유통 플랫폼으로서의 카카오페이지 서비스다. 카카오톡의 네트워크 플랫폼을 기반으로 거기에 컨텐츠 유통을 접목시키겠다는 얘기..
-
고유의 아이덴디티까지 버려가면서 변신을 시도하고 있는 블랙베리 10. 과연 쿼티키패드를 포기한 블랙베리가 성공할 수 있을까?Mobile topics 2012. 5. 10. 08:30
블랙베리 시리즈는 개인적으로는 참 안타까운 스마트폰이라는 생각이 든다. 이 블로그를 오랫동안 본 독자들이라면 학주니의 블랙베리에 대한 이미지가 어떤지는 얼추 짐작하셨으리라 생각되지만서도. 개인적으로 블랙베리 볼드 9000, 볼드 9700, 볼드 9780, 펄 3G, 토치 9800, 볼드 9900까지 국내에 나온 다양한 블랙베리 시리즈들을 다뤘다. 또 스톰과 스톰2까지도 만져보기도 했다. 그러면서 블랙베리가 갖고 있는 강점 및 차별 포인트에 대해서는 나름 기준이 생겼다. 지금까지 써본 블랙베리의 가장 큰 장점은 어느 스마트폰도 따라잡지 못하는 물리적 쿼티키패드와 그것을 통한 정확하면서도 빠른 문자 입력이다. 볼드 시리즈의 강점으로 꼽히는 물리적 쿼티키패드는 블랙베리의 아이덴디티를 만들었고 이미지를 만들었다..
-
애플의 모바일 생태계를 이끄는 가장 큰 힘은 다름아닌 만족도가 높은 엄청난 양의 어플리케이션 군단이다!Mobile topics 2012. 3. 22. 12:00
스마트폰에 이어 태블릿까지 모바일 디바이스의 에코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보통 모바일 세계의 에코시스템을 이루고 있는 축, 혹은 포인트는 3가지라고 얘기를 한다. 하나는 모바일 플랫폼이요 또 하나는 단말기 사양, 그리고 나머지 하나는 컨텐츠다. 이 3가지의 축이 조화롭게 잘 이뤄진다면 이 안에서 다양한 생산 활동 및 소비 활동이 이뤄지고 제조사, 개발사, 사용자 모두가 윈-윈 할 수 있다고 말하곤 한다. 아직까지는 이 3가지 축의 조화가 진리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모바일 에코시스템을 이루고 있는 것은 애플의 아이폰, 아이패드, 아이팟 터치 등의 iOS를 중심으로 하는 애플 월드와 구글의 안드로이드를 모바일 플랫폼으로 하고 있는 안드로이드 월드의 양강 체제 아래 MS의 윈도 폰을 플랫폼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