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버라이트
-
안드로이드 3.0 이후 차기 안드로이드 버전인 허니콥은 구글 타블릿 전용 안드로이드?Mobile topics 2010. 8. 28. 14:01
현재 가장 최신의 안드로이드 버전은 안드로이드 2.2이며 프로요라는 이름을 갖고 있다. 그리고 올해 말에 나올 것이라고 얘기가 나오고 있는 안드로이드 3.0은 진져브래드라는 이름을 갖고 있다. 그동안 구글은 자사에서 제공하는 간식을 갖고 안드로이드의 코드이름을 C부터 붙여왔다. 컵케익(CupCake), 도넛(Donut), 이클레어(Eclair), 프로요(Froyo), 그리고 진져브래드(GingerBread). 그리고 진져브래드 이후의 안드로이드 코드명이 또 공개가 되었다. 이게 안드로이드 3.1이 될지, 아니면 안드로이드 4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말이다. 이름은 허니콥(Honeycomb), 벌집이라는 말인데 구글이 제공하는 간식들 중에서 벌집이 있는가보다(구글 사내에 양봉장이 있을까? ㅎㅎ). 여하튼간에 ..
-
MS의 Menlo, MS의 새로운 모바일 UX를 위한 프로토타입 폰?Mobile topics 2010. 8. 12. 08:40
MS가 재미난 모바일 디바이스를 하나 만들려고 하는 듯 싶다. 이번에 MS는 멘로(Menlo)라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프로토타입을 MS 연구소를 통해서 공개했는데 재미난 요소들이 많다. ZDNet에서 MS 관련 칼럼을 쓰고 있는 조 폴리의 글에서 MS가 뭔가 재미난 제품을 만들려고 한다는 것을 들을 수 있었다. 멘로라 불리는 이 모바일 디바이스는 4.1인치의 WVGA(800 x 480)의 해상도를 지원하는 터치스크린을 탑재하고 있으며 보쉬 BMA150 3축 가속기와 보쉬 BMP085 디지탈 압력센서를 탑재했다. 그리고 윈도 임베디드 CE 6.0 R2 기반 위에서 돌아간다고 한다. 또 멘로는 새로운 실버라이트 위에서 돌아가도록 되어있다고 한다. 코드네임이 그린필드(Greenfield)라고 하는데 모바일용 실..
-
REMIX'10에서 보여준 실버라이트와 XNA로 무장한 윈도 폰 7Mobile topics 2010. 6. 4. 11:50
6월 1일에 있었던 REMIX'10의 주제는 모바일, 웹, 클라우드였다. 특히나 모바일에 대한 관심이 무엇보다 뜨거웠다. 이전에 쓴 REMIX'10의 키노트에 대한 글에 모바일에 대한 부분을 넣지 않았기에 이번에는 모바일, 특히 윈도 폰 7에 대한 이야기를 할까 한다. 키노트의 전체 진행은 김국현 부장이 담당했지만 내부의 세부 세션은 각 파트의 에반젤리스트들이 나와서 진행을 했다. 그 중에서 윈도 폰 7에 대한 진행은 뽐뿌맨으로 알려진 서진호 부장이 맡아서 진행을 했다. 서진호 부장의 멋진 발표로 MS의 모바일 전략의 핵심인 윈도 폰 7에 대한 키노트가 시작되었다. 많은 사람들의 관심이 집중되는 순간이다. 키노트 중간에 윈도 폰 7에 대한 데모 시연이 있었다. 참고로 데모때 사용된 윈도 폰 7 탑재 스마..
-
MS, 스마트폰이 아닌 자체 브랜드 폰 Kin으로 10대들을 공략하기 시작하다.Mobile topics 2010. 4. 20. 11:50
MS도 슬슬 자체 브랜드 폰을 만들기 시작한 것일까? 이번에 MS가 내놓은 휴대폰인 'Kin'은 이전에 한참 떠들었던 핑크 프로젝트의 결과물이다. 핑크 폰이라고도 불렸던 Kin폰은 정말로 이름 그대로 '즐'스럽다는 생각이 든다(^^). 예전에 핑크 프로젝트의 일부가 공개되면서 핑크 폰의 모습도 유출이 되었었는데 그때 모습 그대로 Kin폰이 나왔다. 왼쪽이 Kin 1, 오른쪽이 Kin 2 이번에 내놓은 Kin폰은 2종류다. Kin 1, Kin 2라는 이름도 참 '즐'스럽다는 생각밖에 안드는.. 그리고 참고로 Kin폰은 스마트폰이 아닌 일반 휴대폰 계열이라고 한다. 핑크 프로젝트가 한참 얘기가 돌았을 때는 MS도 애플이나 구글과 같이 자체적인 스마트폰을 내놓는 것이 아니겠느냐라고 했었는데 자제적인 폰을 만든..
-
기존 개발 방식을 버리고 새로운 개발 방식으로 변화하려는 MS와 윈도 폰 7 시리즈Mobile topics 2010. 4. 11. 08:34
윈도 폰 7 시리즈(WP7)용 모바일 파이어폭스의 개발이 중단되었다는 뉴스가 들렸다. 개발 환경 때문이라고 하는데 이는 향후 그동안 윈도 폰에서 사용하던 어플리케이션들의 WP7의 업그레이드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이 든다. 모바일 파이어폭스 뿐만 아니라 윈도 폰의 영원한 기본 웹브라우저(^^)인 오페라 역시 WP7용으로 못나올 수 있다는 얘기도 들린다. (참고로 이후에 쓰는 내용들은 프로그래밍을 하셨던 분이라면 이해할 수 있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어려운 이야기가 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길.. ^^;) WP7용 어플리케이션 개발은 아마 WP7 이후에도 그렇게 유지될 듯 보이지만 C#.NET과 실버라이트가 될 것이다. 이미 WP7용 어플리케이션 개발은 C#.NET과 실버라이트만 허용한다고 MIX'10에..
-
누구든 손쉽게 SNS 어플을 만들 수 있다. 어도비 소셜 서비스와 실버라이트..IT topics 2010. 3. 26. 15:42
실버라이트도 그렇고 플래시도 그렇고 RIA를 기반으로 SNS를 품기에 여념이 없는 듯 싶다. 이번에 어도비는 어도비 플래시 플랫폼 서비스에 SNS와 웹 어플리케이션을 통합할 수 있는 소셜 서비스를 선보였다고 한다. 소셜 서비스는 페이스북 커넥트, 트위터 인증(Sign-in with Twitter), 마이스페이스 ID, 링크드인 등 14개의 대표적인 SNS와 웹 어플리케이션간의 간편한 통합 환경을 제공한다. 가끔 트위터를 이용하는 여러 서비스들을 쓰다보면 트위터 인증을 요구하곤 하는데 그런 부분을 소셜 서비스로 간편하게 작성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의미로 보여진다. 지금까지는 페이스북에서 제공하는 OpenAPI를 이용하던지 트위터에서 제공하는 OpenAPI를 이용했는데 어도비 플래시 플랫폼 서비스의 소셜 서..
-
플래시 플레이어 10.1, 윈도 폰 7 시리즈에 탑재되나?Mobile topics 2010. 3. 25. 09:02
MS와 어도비의 사이가 좋아지기 시작한 것일까? 모바일 시장에서 계속 고전을 면치 못했던 모바일 플래시에 서광이 비취기 시작했다. 윈도 폰 7 시리즈에 플래시 플레이어 10.1이 탑재될 예정이라고 한다. 이 뉴스는 어도비 직원(맞나?)인 Mike Chambers가 자신의 블로그에서 밝힘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MS와 어도비는 플래시 플레이어 10.1을 윈도 폰 7 시리즈에 있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모바일에 탑재하도록 현재 공동작업을 하고 있는 중이라고 한다. 기존 윈도모바일 6.5에 있는 모바일 인터넷 익스플로러 6에는 탑재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일단 윈도 폰 7 시리즈에는 기본적으로 실버라이트 3.0이 기본 UI 프레임워크로 자리잡고 있는 상황에서 모바일 인터넷에서 플래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플래시 플..
-
HTML5에 밀리는 모습의 플래시, HTML5와 공생하는 방법은?Mobile topics 2010. 3. 17. 09:03
HTML5는 플래시, 실버라이트와는 영원히 앙숙일 수 밖에 없는 존재인가? MIX’10에서 MS는 윈도 폰 7 시리즈(WP7)에 기본 UI 프레임워크를 실버라이트로 결정하고 알렸다. 애플의 아이폰이나 이번에 출시될 아이패드에는 플래시가 빠져있다. 사람들은 플래시로 떡칠된 웹사이트를 보고 무겁다고 말하고 있다. 구글과 애플은 대놓고 HTML5를 밀고 있으며 애플은 아예 플래시는 게으르다고 직격탄을 날려버렸다. 이래저래 플래시가 위험한 상황임은 틀림없다. 현재 논의중인 HTML5는 향후 RIA 시장에서도 선도적인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많은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플러그인을 사용하지 않고도 웹브라우저에서 직접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으며 또 플래시나 실버라이트에서 제공하는 많은 기능을 이제는 웹브라우저만으로..
-
플래시를 대체하기에 아직 미약한 HTML5. 하지만 플래시도 개선을 거듭해야...Mobile topics 2010. 2. 23. 14:11
최근 HTML5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됨으로 인해 플래시와 실버라이트와 같은 RIA 솔루션들이 지탄아닌 지탄을 받는 듯 싶다. 특히 플래시에 대한 논쟁이 뜨거운데 모바일 분야에서는 더 심하다. 애플은 대놓고 플래시를 지원거부하고 있고(게으르다고 까지 표현하는 것을 보면 -.-), 구글은 HTML5의 공식지원을 위해 구글 기어스의 개발마저 종료시키고 있는 상황이다. MS의 역시 윈도 폰 7에서 플래시 지원여부를 아직 결정 못한 듯 싶기도 하고 말이다. 이렇듯 모바일쪽에서 찬밥신세를 당하고 있는 플래시인데 정말로 찬밥신세를 당할 정도일까 싶기도 하다. 난 플래시 개발자가 아니기 때문에 내부에 어떤 기술적인 요소가 있는지는 잘 모른다. 컨셉과 활용에 주로 포커싱을 두고 그동안 플래시를 접근해왔다. 또 하드..
-
인터넷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도록 노력해야 할 필요가 있다!!!Cloud service 2008. 9. 1. 18:09
전 세계적으로 인터넷 트래픽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을 무엇일까? 인터넷 트래픽 속에는 수많은 정보들이 오가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 중에서 가장 많은 트래픽을 차지하는 것은 다름아닌 P2P 데이터들이 아닐까 싶다. P2P 서비스의 대명사인 비트토랜트부터 시작하여 국내에서는 음악공유 서비스인 소리바다나 아니면 웹하드 서비스들이 그런류의 트래픽을 유발하는 서비스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서비스들이 왜 이리도 트래픽을 많이 잡아먹느냐고 말한다면 이들이 다루고 있는 데이터들이 기본적으로 대용량 데이터들을 다루기 때문이다. 영화, 드라마, 게임 데이터등 뭐 기본이 4~500MB들로 구성된(최근에는 동영상들이 1GB가 넘는게 많이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데이터들이 서로 오가다보니 인터넷 트래픽의 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