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토롤라
-
[무한토론] 모토롤라 레이져에 대한 블로거들의 이야기Mobile topics 2011. 11. 1. 08:30
이번에 블로그 6명이 모여서 무한토론이라는 것을 했는데 주제가 이번에 모토롤라가 발표한 모토롤라 레이져(Motorola RAZR)에 대한 의견이었다. 과연 여기 모인 블로거들은 레이져에 대해서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지 한번 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듯 싶다. 참고로 내 의견은 이탤릭 글씨체로 되어 있으니 읽으면서 참고했으면 좋겠다. 레이저 첫 인상 사회자 | 지난 아이패드2와 아이패드에 대한 블로그 대담 이후 오랜만에 이런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사실 그간 XOOM 대담 등도 준비되었습니다만, 모종의 모토로라 사태(웃음)때문에 게재되지 못했지요. 그래서 두 번째 대담은 모토로라로 이렇게 다시 준비했습니다. 오늘은 얼마 전 모토로라가 내놓은 야심작, 레이저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모토로라 레이저는 구..
-
모토롤라, 과거 RAZR의 영광을 재현하려고 하는데.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으로 재탄생한 Motorola RAZRMobile topics 2011. 10. 21. 15:00
최근 모토롤라의 하락세가 만만치 않은 것이 사실이다. 국내에서 야심차게 내놓은 아트릭스도 생각보다 판매가 저조하고 전세계적으로 모토롤라의 점유율이 점점 하락하더니 결국 모토롤라 모빌리티는 구글에 먹혀버리고 말았다. 물론 국내 법인은 어떻게 진행될지 모르지만 모기업이 구글과 합병되었으니 모토롤라 코리아도 마찬가지가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는 하다. 하지만 마냥 죽어있으라고는 할 수 없는 법. 모토롤라는 이번에 과거의 1억 3천만개를 판매함으로 죽어가던 모토롤라를 다시 되살렸고 휴대폰의 트랜드까지 바꿔놓았던 레이져(RAZR) 시리즈의 영광을 되살리고자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으로 다시 레이져를 선보였다. 미국에서는 Droid RAZR로 LTE 버전으로 선보였는데 국내에는 Motorola RAZR로 3G 모델..
-
스마트폰과 피쳐폰의 사용자 만족도는 과연 얼마나 될까?Mobile topics 2011. 9. 19. 08:30
저번에 J.D. Power에서 발표한 스마트폰, 피쳐폰 사용자 만족도 조사 내용이 공개되었는데 흥미로운 내용들이 많아서 정리해서 적어볼까 한다. J.D. Power가 페이스북, 트위터, 링크드인 등의 소셜 미디어 사이트를 통해서 스마트폰 사용자 및 일반 피쳐폰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했는데 1000점 만점에 평균 783점의 만족도를 보였다고 한다. 그리고 피쳐폰 사용자들보다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만족도가 22점정도 더 높게 측정이 되었다는 내용도 같이 들어있었다. 일단 사용자 만족도 조사의 기준은 다음과 같다고 한다. 피쳐폰 사용자 만족도 기준조작성(operation) : 30%하드웨어 디자인(physical design) : 30%기능(features) : 20%배터리 성능(battery functi..
-
삼성이 윈도 폰에 대한 지원을 2012년까지만 한다고 하는데...Mobile topics 2011. 9. 14. 08:30
삼성이 윈도 폰 7이 탑재된 윈도 폰을 2012년까지만 생산한다는 루머가 돌고 있다. 트위터를 통해서 확산되고 있는 이 루머는 SamFirmware라는 트위터 계정의 글이 그 발단이 된 듯 싶다. 왜 이런 루머가 돌았을까? 그 원인은 최근에 벌어진 구글과 MS의 행보가 아니었을까 싶다. 최근 구글은 모토롤라 모빌리티를 인수했다. 그로 인해 삼성을 비롯한 HTC, 소니에릭슨, LG 등의 안드로이드 협력사들은 겉으로는 환영한다는 의사를 밝혔지만 속으로는 구글의 안드로이드에 대한 지원이 모토롤라로 쏠릴 것을 걱정했다. 특히 안드로이드를 통해서 성장했던 삼성이나 HTC의 경우 구글이 그동안 전폭적인 협력을 통해서 스마트폰의 성능을 올렸고 신버전에 대한 적용을 진행했는데 이런 지원이 모토롤라에 밀릴 것이라는 걱정..
-
2개의 로켓 엔진을 단 막강 스마트폰? 아트릭스의 중국 광고판이 의미하는 것은..Mobile topics 2011. 6. 14. 19:01
저번 주에 중국에 개인적으로 다녀왔다. 이래저래 머리속이 복잡하기도 하고 주변상황이 좀 껄끄럽게 돌아가는 것도 있어서 잠시 휴식 차원으로 다녀오게 되었는데 중국 북경에서 재미난 광고판을 봐서 사진을 좀 찍어봤다. 바로 모토롤라의 아트릭스 광고판이다. 버스 정류장에 설치되어있는 광고판인데 재미난 것은 아트릭스의 듀얼코어를 저렇게 2개의 로켓엔진으로 표현한 것이다. 아트릭스는 1GHz 듀얼코어 CPU가 탑재되어있는데 그것을 2개의 로켓엔진으로 표현해서 더 강력한 모바일 파워를 보여준다는 내용인데 누가봐도 이해하기 딱 좋게 표현했다. 옆에 멀티미디어 독과 랩 독은 자유로운 확장이라는 표현으로 내용을 알렸고 말이다. 개인적으로는 듀얼코어보다는 멀티미디어 독이나 랩 독과 같은 확장성이 아트릭스의 강점이라고 생각하..
-
[Motorola Xoom] 안드로이드 3.0 허니컴이 탑재된 줌(Xoom)의 성능은?Review 2011. 6. 3. 08:30
안드로이드 3.0 허니컴이 탑재된 거의 구글의 레퍼런스 타블릿이 되어버린 모토롤라의 줌(Xoom). 10.1인치의 시원시원한 화면에 1280 x 800의 큰 해상도가 매력적인 이 녀석은 무게가 좀 안습이기는 하지만 그 정도의 크기에 어느정도 어울리는(?) 무게라고 스스로 생각하면서 나름 구글의 첫 번째 허니컴 타블릿으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는 듯 싶다. 오늘은 줌의 내부를 좀 살펴볼까 한다. 뭐 자세히 살펴보지는 못하겠고(실력이 딸려서 -.-) 자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 중심으로 살펴봤다. 일단 줌의 UI는 안드로이드 3.0 허니컴의 기본 UI를 그대로 채택했다. 실제 내용물도 허니컴 그대로다. 상단의 위젯과 하단의 단축 아이콘의 배열이 적절히 잘 이뤄졌다는 생각이 든다. 밑의 네비게이션 바에는 마치 PC..
-
[Motorola Xoom] 10.1인치의 시원한 화면을 자랑하는 허니컴 타블릿, 줌!Review 2011. 5. 27. 11:47
전세계적으로 아마도 출시되는 안드로이드 타블릿들 중에서는 최초로 안드로이드 3.0 허니컴을 탑재한 안드로이드 타블릿이 바로 모토롤라에서 출시한 Xoom(줌)일 것이다. 구글 본사로부터 구글의 허니콤 레퍼런스 타블릿이라는 인증까지 받은 제품으로 타블릿을 만드는 기업들 사이에서는 알게 모르게 비교대상이 되어버린 녀석이 바로 줌이다. 오늘은 줌을 좀 가볍게 외관을 살펴보고자 한다. 안드로이드 3.0 허니콤이 공식적으로 제공하는 해상도인 1280 x 800을 지원하는 10.1인치의 커다란 터치 디스플레이에 볼륨 버튼과 전원버튼만 보이는 매탈릭한 소재를 사용한 깔끔한 디자인이 돋보이는 줌은 아무래도 그 비교대상이 애플의 아이패드다보니 여러가지로 불이익을 받는 녀석이 되어버렸다. 아이패드의 9.7인치에 비해 0.4..
-
[Atrix] 아트릭스를 넷북으로 탈바꿈시켜주는 환상의 확장기기. 랩독!Review 2011. 5. 9. 14:52
이번에 모토롤라가 선보인 아트릭스의 가장 큰 장점은 다음아닌 확장성이다. 듀얼코어를 탑재한 아트릭스 본체 자체도 괜찮은 스마트폰임은 분명하지만 아트릭스의 매력을 가장 잘 살려주는 것이 다름아닌 확장성, 특히 랩독(Lap Dock)과 멀티미디어 독(Multimedia Dock)이라 불리는 확장기기를 통한 색다른 모습의 아트릭스는 아트릭스를 단순한 스마트폰이라고 부르기 애매하게 만드는 요인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아트릭스의 이런 확장성이 향후 스마트폰이 나가야 할 방향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한다. 오늘은 2가지의 확장 독 중에서 랩독이라 불리는 녀석을 살펴볼까 한다. 랩독은 간단하게 아트릭스를 넷북으로 만들어주는 녀석이다. 랩독은 그 자체로는 아무것도 할 수 없지만 일단 자체 모습만 보면 노트..
-
[Atrix] 듀얼코어의 위력을 잘 보여주는 구글 스텐다드 스마트폰, 아트릭스Review 2011. 5. 2. 08:30
이번에 모토롤라에서 발표한 신개념 N스크린 지원 듀얼코어 스마트폰(이라고 나름 생각해봤다)인 아트릭스(Atrix)를 보면 여러가지 생각을 갖게 만든다. 국내에서 최초로 출시된 듀얼코어 스마트폰은 아니지만(이미 LG의 옵티머스 2X가 국내 최초의 듀얼코어 스마트폰으로 등록되었다나 뭐라나) 외산 스마트폰들 중에서는 최초이기에 그런 생각이 들었을지도 모르겠다. 또한 스마트폰 자체 뿐만이 아니라 멀티미디어 독(Dock)이나 랩독과 같은 다양한 주변기기를 통해서 그 사용성 및 가능성을 확장했다는 점에서 나름대로의 높은 점수를 주는 스마트폰이 바로 아트릭스라는 생각이 든다. 뭐 오늘은 아트릭스 폰 자체에 대한 가벼운 감상을 적어볼까 한다. 성능이 어떻고 밴치마킹 점수가 어떻고 하는 얘기는 이제는 좀 식상해져서 그냥..
-
모토롤라가 말하는 모바일 컴퓨팅의 미래를 제시하는 스마트폰, 아트릭스Mobile topics 2011. 3. 7. 11:50
모토롤라는 최근 그랜드하얏트 호텔에서 조만간 한국에 출시할 예정인 신개념의 안드로이드 탑재 스마트폰인 아트릭스 블로거 발표회를 가졌다. 모토롤라가 생각하는 아트릭스를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스마트폰 생활은 어떤 것인지 발표 내용을 바탕으로 집어보고자 한다. 모토롤라는 아트릭스에 랩탑 독(Labtop Dock, 이하 랩독)을 추가함으로 스마트폰이 태생적으로 갖을 수 밖에 없는 화면 크기 및 입력에 대한 불편함을 해결하려고 했다. 랩독에 연결된 아트릭스는 마치 스마트북처럼 사용할 수 있으며 모질라 파이어폭스 웹브라우저로 인터넷도 즐기고 전화 및 문자 기능도 같이 제공함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배려를 했다. 이러한 아트릭스의 확장에 대해서 모토롤라는 스마트폰 2.0이라는 개념을 도입한다. 이전의 스마트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