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광고
-
통신시장에서 이통사의 절대권력을 무너뜨리고 있는 아이폰, 그리고 애플의 힘!Mobile topics 2010. 9. 1. 12:29
과거에는 휴대폰을 이용하는 모든 서비스들이 대부분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즉 이동통신사를 거쳐야만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들이었다. 전화나 문자서비스는 물론 다양한 부가서비스들 모두 이동통신망(과거에는 2G, 즉 CDMA고 현재는 3G, WCDMA 망)을 이용해야만 가능한 서비스들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SKT나 KT, LGT와 같은 이통사들의 입김이 삼성이나 LG, 팬택 등의 휴대폰을 만드는 제조사들보다 강할 수 밖에 없었고 이통사의 정책에 의해 제조사나 컨텐츠 개발사(CP)들이 좌지우지되는 상황이 지금까지 계속 연출되고 있었다. 솔직히 지금도 상황은 많이 다르지 않다. 과거 피쳐폰이라 불리는 애니콜, 사이언 시리즈 등의 일반 휴대폰에서 현재는 아이폰, 옴니아 시리즈, 갤럭시 시리즈, 옵티머스 시리즈, 시리..
-
구글의 새로운 모바일 광고전략. 위치기반의 모바일 배너광고를 선보이다!Mobile topics 2010. 8. 13. 08:30
구글이 모바일에서 위치기반의 디스플레이 광고를 선보인다. 그동안 구글 모바일 검색을 통해서 위치기반 애드센스를 선보이기도 하고 구글맵스에서 해당 위치에 대한 광고도 선보이기도 했지만 모바일에서 위치기반의 디스플레이 광고를 선보이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디스플레이 광고라고 하지만 위치기반의 배너광고라고 보면 된다. 이번에 선보이는 구글의 위치기반 모바일 배너광고는 구글이 인수한 애드몹 광고와 흡사한 모양을 지니고 있다. 모바일 웹브라우저에서 웹 어플리케이션에서도 사용할 수 있고 또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서 애드몹 광고를 넣듯 위치기반의 모바일 배너광고를 넣을 수 있다. 또한 배너광고에 대한 액션도 다양하게 제공하는데 배너광고의 확장 버튼을 누르면 광고주의 위치를 구글맵스를 이용해서 보여주고 2개의 파란버튼..
-
이제 아이폰에는 iAd 외에는 딴 광고를 붙이지 마! 애플의 새로운 개발자 조건..Mobile topics 2010. 6. 14. 09:08
애플은 WWDC를 통해서 iPhone 4와 iOS4를 세상에 선보였다. 하지만 다른 한쪽으로 새로운 개발자 조건(new developer terms)을 7일(월요일, 미국시간)에 발표한다. 새로운 개발자 조건에는 AdMob과 같은 다른 광고 플랫폼을 사용할 수 없도록 제한을 걸어뒀다. 간단히 말해서 iOS4와 함께 공개된 iAd 말고 구글의 AdMob과 같은 서드파티 광고 플랫폼을 사용하지 말라는 얘기다. 정확히 말하면 서드파티 광고 플랫폼을 사용할 수는 있지만 해당 서드파티 광고 플랫폼은 애플 제품에서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결국 애플은 애드몹을 앱스토어에서 퇴출시키기 위해 칼을 뽑았다고 생각하면 된다. 애플은 구글과 경쟁하며 모바일 광고 플랫폼인 애드몹을 인수하려고 많은 노력을 했다. 그런데 결국..
-
구글의 애드몹 인수에 제동을 건 FTC. 애플의 아이애드에 기회가?Mobile topics 2010. 4. 13. 11:50
구글이 모바일 광고 시장 확장을 위해 인수하려는 애드몹 인수가 쉽게 이뤄지지는 않을 듯 싶다. 뉴스를 보니 미국의 FTC(연방무역위원회)가 구글의 애드몹 인수에 대해서 제동을 걸려고 하고 있다고 한다. 이유는 구글의 온라인 광고 시장 독점을 우려해서라고 한다. 현재 구글은 미국에서 온라인 광고 시장의 대부분을 잡아드신 온라인 광고 시장의 거의 독점적 지위를 누리고 있는 기업이다. 구글의 애드센스와 애드워즈는 온라인 검색 광고 시장 뿐만 아니라 문맥 광고 시장까지 싹 다 잡수시고 있으며 구글이 인수한 더블클릭의 배너광고 역시 온라인 배너 광고 시장에서 1등을 잡수시고 계시다(^^). 그 뿐만 아니라 동영상 광고 시장에까지 그 영역을 넓히고 있으며 구글은 이번에 인수하려는 애드몹을 이용해서 모바일 인앱광고 ..
-
혁신 이미지 속에서 성장한 애플, 오만과 독선으로 인해 다시 과거로 돌아가려는가?IT topics 2010. 3. 9. 08:40
최근 애플은 자사의 오픈마켓인 앱스토어에서 몇가지 정책을 변경하면서 자사의 수익모델 굳히기를 시도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어찌보면 당연한 것처럼 보이기는 한데 그동안 혁신이라는 명분속에 나름대로의 인기를 구가하고 있었던 모습에 좀 대치되는 것이라 안타깝게 보이는 부분도 있다. 물론 받아들이는 사람에 따라서 다르게 생각할 수도 있기 때문에 아래에 서술되는 내용은 블로거 학주니가 생각하고 있는 최근 애플의 모습이라고 이해하면 될 듯 싶다. 애플은 두어달 전에 아이폰용 어플리케이션에서 위치기반의 광고를 하지 못하도록 했다. 아이폰에는 GPS가 있고 앱스토어에는 그 GPS 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활용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이 많은데 증강현실(AR)을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받아서 관련된 가계의 정보를 띄워주기도 하고..
-
아이폰에 구글 대신 빙이 안방을? 애플, MS와 아이폰 검색엔진 협상 중...Mobile topics 2010. 1. 21. 08:39
오랜 앙숙인 애플과 MS가 타도 구글을 위해 과연 손을 잡을까? 애플이 아이폰의 기본 검색엔진인 구글 대신에 MS의 빙을 아이폰의 기본 검색엔진으로 탑재하기 위한 협상을 하고 있다는 뉴스를 들었다. 시작했다는 것이 아니라 이미 협상이 진행중이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아마도 몇주 안에는 결론이 나올 듯 싶다. 만약 애플이 MS와 검색엔진에 대한 협상이 잘 이뤄지면 구글은 모바일 검색 및 광고 분야에서 상당히 큰 타격을 입게 될 것이라 생각이 든다. 위에서도 썼듯 애플과 MS는 오랜 앙숙관계였다. 윈도로 대표되는 PC 기반의 운영체제와 PC는 애플의 매킨토시를 압도하고 있다. 하지만 애플의 아이폰은 MS의 윈도 모바일을 탑재한 스마트폰을 압도하고 있다. 서로 PC와 모바일 분야에서 서로를 압도하고 있는 중이다..
-
모바일 광고 시장까지 노리기 시작한 애플. 구글과의 경쟁은 계속되나...?IT topics 2010. 1. 12. 11:29
최근 애플이 모바일 광고회사인 쿼트로 와이어리스를 인수했다는 뉴스를 듣게 되었다. 쿼트로는 전세계적으로 100여개 국가에 광고를 제공하는 회사로 NFL, Time등 영향력이 큰 클라이언트를 갖고 있는 대형 광고회사다. 애플은 그동안 구글이 인수했던 애드몹 인수에 꽤 공을 들여왔다가 구글에 빼앗겼던 경험이 있다. 그래서 쿼트로 와이어리스를 애드몹 대신으로 인수한 듯 보인다. 그렇다면 애플은 왜 모바일 광고회사를 인수했을까? 뻔한 이야기다. 애플도 모바일 광고를 통해서 수익을 얻어보겠다는 생각이다. 전세계적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고 스마트폰 시장을 리더해나가고 있는 아이폰을 갖고 있는 애플로서는 플랫폼과 하드웨어를 제대로 수익에 연결시킬 수 있는 뭔가가 필요했다고 보여진다. 구글의 경우 광고수익이 수익..
-
모바일 디스플레이 광고 시장까지 노리는가! 구글의 애드몹 인수의 의미...IT topics 2009. 11. 17. 11:50
최근 구글은 모바일 광고 플랫폼 회사인 애드몹(AdMob)을 7억 5천만 달러($750,000,000)에 인수했다고 한다. 애드몹은 모바일 디스플레이 광고 서비스 업체로 우리가 흔히 아이폰용 어플에 붙는 배너 광고는 상당수가 애드몹에서 제공하는 광고 플랫폼이라고 보면 된다(트위터 클라이언트인 EchoFon의 무료 버전에 붙는 광고를 생각하면 이해가 쉬울 듯). 그렇다면 구글은 왜 애드몹을 인수했을까? 구글이 생각하기에 이제 모바일에서의 본격적인 광고시장 전쟁을 시작하려고 하는 것일까? 구글은 모바일 애드센스 플랫폼을 갖고 있다. 구글 모바일 검색을 사용하면 검색결과에 모바일 애드센스가 붙어서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모바일 검색광고와 같은 택스트 중심의 문맥광고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고 이것으로도 ..
-
무선망까지 갖고자 하는 구글, 무선 플랫폼을 통째로 다 가질려고 하는가..Mobile topics 2008. 9. 27. 14:41
구글이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에 무선방송주파수 중에서 쓰지 않는 주파수(White Space : WS)를 공개해달라고 요청을 했다는 뉴스를 들었다. 구글의 공동 창업자인 레리 페이지는 FCC에 미국대선이 있는 11월까지 이를 결정해달라고 FCC에 요구한 상태다. 구글은 Free The Airwaves를 통해 16000명 이상의 일반인들이 청원을 내놓은 상태라고 한다. 이렇듯 구글은 무선인터넷망에 대한 소유의 강력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구글이 왜 이리도 WS에 몰두(?)하고 있는 것일까? WS를 이용해서 무선인터넷을 구현하게 되면 Wi-Fi로 무선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에 10%정도의 비용밖에 들지 않는다고 한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Wi-Fi나 AT&T, 버라이즌과 같은 이통사의 무선인터넷에 얹어서..
-
휴대폰 무선인터넷을 이용한 포탈서비스, 이제는 속도가 생명이다!Mobile topics 2008. 9. 26. 09:54
모바일 기기(휴대폰, 스마트폰, 무선인터넷이 지원되는 PDA, PMP 등)로 국내 포탈사이트에 접속하면 상당히 답답함을 많이 느끼게 된다. 모바일 웹페이지로 접속해도 마찬가지다. 뭐랄까 상당히 느리고 짜증이 난다. 모바일이라는, 또 무선인터넷이라는 환경적인 요인을 감안하더라도 느리고 답답해서 짜증나는 것은 어쩔 수 없는가보다. 네이버를 비롯한 다음, 파란과 같은 포탈서비스를 휴대폰의 무선인터넷을 통해서 접속할 때 가장 큰 문제점은 다름아닌 로딩속도다. 웹페이지가 다 뜨는데 들어가는 시간이 엄청나서 사용자들이 답답해하고 이미 초고속 인터넷으로 PC나 노트북 상에서 무지 빠른 로딩에 익숙해져있기에 서로 비교를 하며 휴대폰을 이용한 무선인터넷의 사용이 점점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당연히 휴대폰에서의 무선인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