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신져
-
KT 소셜 플랫폼의 시작이 될 올레톡. 현재의 상황과 문제점 진단을 위한 간담회 후기Mobile topics 2011. 7. 14. 15:00
스마트폰(안드로이드, 아이폰 다 포함해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일명 메신져 어플리케이션은 모두 몇개나 있을까? 아마도 가장 많이 사용한다고 알려진 카카오톡부터 시작해서 무료통화가 매력적인 다음의 마이피플도 있고, 또 안드로이드의 경우 구글톡을 사용할 수 있고 스카이프도 있으며 MS의 라이브 메신져도 있다. 네이버가 제공하는 네이버톡도 있고. 그리고 그 중에 하나로 KT가 만든 올래톡(Olleh Talk)이 있다. 올래톡의 경우 생각보다 많이 안알려졌다는 생각도 드는데 최근 KT 본사에서 몇몇 블로거들을 모아두고 올레톡에 대한 좀 진지한 얘기를 나누게 되었다. 올래톡? 그게 뭔데? '올래'라는 단어가 들어갔으니 KT가 만든 것일듯 싶고. 얘도 카카오톡 따라쟁이야? 아마도 이런 반응들이 나올 듯 싶다. 왜?..
-
[Xperia X10 mini pro] 학생들을 위한 최강의 메시징 머신이라 불러다오!Review 2011. 1. 5. 08:18
일전에 소니에릭슨은 스마트폰이면서도 스마트폰답지 않은 음악과 같은 멀티미디어에 기능을 더 중요하게 했던 엑스페리아 X10 미니를 선보인 적이 있다. 출시 이후 꾸준히 학생들을 중심으로 판매도 잘 되어진다는 얘기를 들었다. 빵빵한 음악재생 기능과 깜찍한 디자인이 스마트폰이 어렵다고 느껴지는 학생들에게 잘 먹힌 듯한 모습이다. 하지만 X10 미니를 보면서 항상 아쉬운 부분이 있었던 것이 바로 입력 부분인데 그 작디 작은 크기의 터치스크린에 터치 키패드가 보여지면 정말로 답답하기 그지없던 화면이 문제였던 것이다. 그런데 그 부분을 해결해주는 녀석이 이번에 등장하게 되었으니 X10 미니의 후속모델인 X10 미니 프로가 그 주인공이다. 소니에릭슨의 엑스페리아 X10 미니 프로의 모습이다. 겉모습은 X10 미니와 ..
-
[Skype] 메신져와 통화를 마음껏 즐겨보자. 스카이프의 안드로이드 진출!Review 2010. 11. 18. 10:53
보통 Skype(스카이프)를 말할 때에는 VoIP를 이용한 전화서비스를 떠올릴 때가 많다. 나 역시 그렇게 지금까지 생각해왔고 지금도 이런 VoIP를 이용한 손쉬운 국내외 전화 서비스라는 생각을 갖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스카이프는 그런 단순한 인터넷 전화 서비스만은 아니라는 것을 최근에 많이 느끼게 된다. 특히 회사에서 더 많이 느끼는 중이다(뭐 그렇다고 스카이프가 여자라는 것은 아니다 ^^). 내가 다니는 회사는 보안 솔루션을 만드는 회사다. 그러다보니 기업에 많이 나가서 프로젝트를 하는데 국내 기업 뿐만이 아니라 해외 기업에도 종종 나가서 일을 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기업에 파견나가서 SI(시스템 통합) 작업을 하는 수행(우리는 보통 이런 기업형 커스터마이징 작업을 수행들이 나가서 한다...
-
정보의 흐름을 통제하려하는 국가와 블랙베리의 RIM의 싸움Security 2010. 8. 9. 15:05
최근 UAE나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블랙베리를 금지시키고 있다는 뉴스가 나오고 있고 이번에는 인도네시아에서도 블랙베리의 메시징에 대한 문제를 거론하고 있다는 뉴스를 들었다. 이에 대해서 캐나다 정부가 직접 나서서 중재하려고 하고 있다는 소식도 들었다. 블랙베리 메시지에 대한 관리, 감독권한을 국가에 지정하던지 아니면 국가에서 직접 블랙베리 메시지를 관리하는 서버를 두게 해달라는 요청에 블랙베리를 만드는 RIM이 거부하면서 생겨난 일이다. 이것을 보면서 블랙베리 메신져, 혹은 메시지 전송에 대한 정보의 통제가 문제가 되는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BES(블랙베리 엔터프라이즈 서비스)나 BIS(블랙베리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서 전송되는 블랙베리 고유의 메시징은 워낙 보안이 뛰어나 외부에서 훔쳐보거나 하지 못하도..
-
소셜기능을 강화한 윈도 라이브 웨이브4의 새로운 윈도 라이브 메신져IT topics 2010. 5. 26. 08:40
저번에 새로운 윈도 라이브 메신져에 대한 이야기를 잠깐 했다. 다양하게 변화된 윈도 라이브 메신져에 기대가 많았던 것이 사실이다. 오늘은 간단하게 스샷을 중심으로 새로 바뀐 윈도 라이브 메신져(이하 메신져)를 좀 살펴볼까 한다. 아직은 베타버전이고 내 경우에는 테스트할 수 있는 기회가 되어서 먼저 받아서 테스트를 할 수 있었다. 오픈은 조만간 되지 않을까 싶다. 새로 바뀐 메신져의 첫 화면이다. 예전에는 메신져의 친구 목록이 쭉 나오는 화면이 보였는데 웨이브4에 있는 메신져는 소셜기능이 강화되어 소셜창이 포함된 메신져 화면으로 나온다. 물론 뒤에서 설명하겠지만 이전버전과 같이 컴팩트하게 목록만 보이게 할 수도 있다. 메신져 소셜창에 보이는 내용들은 메신져에 등록된 친구들이 공개한 내용들이다. 윈도 라이브..
-
변방의 포탈서비스로 전락해버린 MSN, 뭔가 획기적인 변화가 필요한데..IT topics 2008. 12. 2. 00:34
자기전에 뉴스를 쭉 살펴보는데 재미난 뉴스가 하나 눈에 들어왔다. 한국MS가 인터넷 사업을 따로 독립법인화해서 MSN 등 인터넷 사업을 다시 한번 활성화시켜보겠다는 뉴스다. 물론 정확한 사실은 아닌듯 싶고 MS에 정통한 소식통의 말을 인용했으며 한국MS에서는 그런 사실은 없다고 일축했다고 뉴스는 전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루머가 나왔다는 것 자체도 꽤나 의미가 있다는 생각이다. 우리가 보통 국내 포탈사이트를 얘기할 때 네이버와 다음, 야후, 엠파스, 네이트 까지 얘기를 한다. 그리고는 MSN은 쏙 빠진다. MSN도 MS에서 운영하는 포탈사이트며 적어도 미국에서는 라이브 서치의 점유율처럼 적어도 3~4위권은 지켜주는 포탈사이트인데 국내에서는 완전 찬밥신세가 되어버렸다. 네이트의 경우 네이트온 메신져의 역..
-
MS의 원케어 무료배포.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뭘까?IT topics 2008. 11. 20. 10:47
MS가 자사의 보안 백신 프로그램인 원케어를 조만간 무료로 돌리겠다고 한다. 유료로 판매했던 원케어의 판매실적이 부진해서 그런듯 싶다. 실제로 원케어를 사용하는 경우는 메신져에서 파일을 다운로드 받은 다음에 검사할 때를 제외하고는 거의 안쓰는 듯 싶다. 물론 그때 사용하는 원케어 역시 무료버전이고 말이다. 좌우간 내 주변에서 MS 원케어를 제대로 쓰는 사람을 못봤으니 적어도 국내에서의 원케어 위상은 그닥 높은 편은 아닌듯 싶다. 그런데 MS에서 이걸 무료로 배포하겠다고 하니 세계적으로도 그닥 성과가 있었던 것은 아닌듯 싶다. 하지만 MS가, 윈도라는 플랫폼이 가지고 있는 위치나 점유율 등을 생각할 때 원케어의 무료공급이 백신사장에 미칠 영향은 의외로 클 수 있다고 본다. 뭐 속내는 안팔리는거 그냥 끌고 ..
-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는 웹 기반 인스턴트 메신저IT topics 2007. 7. 31. 15:46
현재 미국에서 가장 성장세가 두드러진 메신져 SW에 대한 통계가 나왔다.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는 웹 기반 인스턴트 메신저 (ZDNet korea) Study: Web-based instant messaging is growing fast (CNetNews.com) 미보(Meebo)라는 이 메신져 SW는 2006년 8월부터 2007년 6월까지 무려 354% 정도 성장을 했다고 미국의 전문 통계 회사인 닐슨/넷레이팅스에서 밝혔다. 참고로 기사에는 닐슨/넷레이팅스가 전설적인 통계 전문 회사로 나오는데 이 블로그 여러 부분에서 이 회사에서 나온 통계치를 이용한 포스트들이 많다(^^). 어떻게 이 미보라는 메신져가 이리도 빠른 성장세를 보일 수 있었는가? 신규 서비스라는 어떤 매리트도 있었지만 이처럼 초고속 성장..
-
온라인 서비스「연동」이 대세IT topics 2007. 5. 30. 19:09
요즘 컨버젼스라는 단어가 유행이다. 서로 다른 성격의 무엇인가가 만나서 시너지 효과를 내도록 하는 것이 컨버젼스라고 한다. 이러한 현상은 온라인 서비스에서도 일어나고 있다. 온라인 서비스「연동」이 대세 (ZDNet korea) ZDNet Korea에서 제공한 이 기사에서는 주로 MS 제품들을 중점으로 다뤘다. MS가 온라인 서비스를 전면으로 개편한 후 각 서비스마다 서로 연동하기 시작했다는 얘기다. 대표적인 것이 메일과 메신져 서비스다. 예전에도 Outlook Express를 통해서 핫메일에서 메일을 받을 수 있었다(그런데 그다지 안정적이지 못했다). 그런데 이번에는 윈도 라이브 핫메일에 Outlook 2003, 2007를 연동시킬려고 하고 있다(아직 연동은 안된다). 윈도 라이브 핫메일의 용량도 꽤 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