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센터
-
멀티 클라우드의 필요성이 부각되는 요즘, 왜 멀티 클라우드가 필요한가?Cloud service 2019. 1. 31. 19:50
AWS 서울 리전의 장애, 그리고 멀티 클라우드의 필요성 부각 2018년 11월 22일 오전 10시쯤, 인기 게임인 베틀그라운드에 접속이 되지 않는 황당한 일이 벌어졌다. 게임 자체가 접속이 안되는 것이다. 게임을 하고자 하는 사람들은 배틀그라운드 게임 자체에 장애가 있음을 인지했다. 배틀그라운드 공식 카페에 가보니 공지가 올라와 있었다. 오전 9시 30분부터 오전 11시까지 긴급 점검을 한다는 공지였다. 뭔가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바로 밝혀진 내용이지만 배틀그라운드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가 있는 아마존 웹서비스(AWS)의 문제로 인해 서비스 접속이 되지 않는 것이었다. AWS의 문제는 11시 조금 넘어서 해결이 되었다. 배틀그라운드 뿐만이 아니다. 국내 수많은 서비스들이 AWS의 장애로 ..
-
서버 유치형 데이터센터에서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로.. 그리고 이제는 둘을 합친 하이브리드 데이터센터가 대세가 될 듯 싶은데..IT topics 2016. 11. 7. 09:36
쉬는 날에 네이버 뉴스의 IT 세션을 살펴보는데 SK가 데이터센터 사업에 뛰어든다는 뉴스가 떴다. 이미 세계적으로 구글을 비롯한 아마존, MS, IBM, 페이스북 등 수많은 IT 대기업들이 자신들의 서비스를 위해, 혹은 수입원으로 데이터센터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상당한 효과를 보고 있다. 그리고 국내 역시 이통사들을 중심으로 데이터센터들이 구축되어 운영되고 있다. 여기에 SK도 그룹 차원에서 데이터센터 사업에 뛰어들어 차세대 먹거리 사업으로 만들겠다는 생각인 듯 싶다. 이미 포화상태에 가까운 서버 유치형 데이터센터 그런데 여기서 잘 생각해봐야 할 부분이 있다. 앞서 언급했듯 세계적으로 수많은 IT 기업들이 데이터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이미 많은 데이터센터들이 운영되고 있다. 그런데 그 데이터..
-
IBM+SK 클라우드 데이터센터의 한국 오픈과 Cognitive Cloud Connect 소개IT topics 2016. 8. 24. 20:31
IBM+SK 클라우드 데이터센터가 한국에 오픈한다는 소식이 들렸다. 한국IBM과 SK주식회사가 합작으로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를 구축해서 오픈한다는 얘기다. 이에 대한 소식을 이번 8월 25일 목요일에 Cognitive Cloud Connect 행사를 통해서 얘기한다고 한다. IBM+SK의 클라우드 서비스 일단 IBM+SK의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에 대해서 얘기를 해보자. 이 블로그를 통해서 IBM의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해서는 많이 언급을 했다. 미국 댈러스에 호스팅 회사인 SoftLayer를 인수한 IBM의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IaaS)를 비롯하여, 클라우드 기반의 개발 플랫폼인 Bluemix(PaaS),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자동화시키고 편하게 핸들링 할 수 있는 BPM on Cloud를 포함하여 NoS..
-
미래 IT 산업의 허브가 될 데이터센터 이야기IT topics 2016. 7. 22. 11:04
예전이나 지금이나 기업에서 서비스를 만들어 제공을 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서버에 해당 서비스를 만들어서 운영한다. 서버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서버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이 필요하며 외부에서 해당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도록 통신망에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보통 기업에서 서비스 서버를 운영하는 방법은 기업 내 서버실을 둬서 그 안에서 앞서 얘기한 전원 및 통신망 연결을 할 수 있게 만들어서 그 안에서 운영을 하던지 아니면 IDC(Internet Data Center)라 불리는 외부의 데이터센터에 서버를 설치하여 운영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를 설치하는 방식뿐 만이 아니라 기업 안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기업형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에도 서버실에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치하던지 데이터센터에 설치..
-
세계 Top 데이터센터와 어깨를 겨루는 LG CNS의 부산 데이터센터IT topics 2015. 9. 9. 22:37
인터넷 비즈니스의 성장과 데이터센터의 중요성 요 몇년 사이에 인터넷 비즈니스가 많이 성장했다. 인터넷 비즈니스는 인터넷을 이용한 웹 서비스 뿐만이 아니라 웹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구성요소들이 다 포함된 통합 경제를 의미한다. 웹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웹 서버와 그 웹 서버를 실제로 구동시키기 위한 하드웨어, OS, 내부 소프트웨어 뿐만이 아니라 데이터들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과 보안을 위한 다양한 시스템까지 인터넷 비즈니스의 성장에는 이런 모든 구성요소들의 성장도 한몫을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런 인터넷 비즈니스는 기업의 전산실에 해당 장비들을 세팅하고 전용망이든 초고속 인터넷망이든 연결해서 서비스를 진행한다. 어느정도 규모가 작은 인터넷 비즈니스라면 충분히 기업 안에 있는..
-
지진과 수해에도 안전한 친환경 기술을 총동원한 데이터센터를 맛보다. LG CNS 부산데이터센터 견학기IT topics 2013. 4. 29. 10:00
과거 웹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보통 IDC(인터넷 데이터센터)라 불리는 공간에 서버를 설치하고 거기에 웹서버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 등을 설치해서 서비스를 하곤 했다. 이런 IDC를 각 기업의 내부에 두던지, 아니면 전문 기업에서 만든 IDC에 장소를 임대해서 두던지 하는 방식으로 그동안 서비스를 해왔다. 지금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포탈 서비스들이 다 그런 식으로 운영되어오고 있으며 국내 뿐만이 아니라 해외의 유명 서비스들도 자체적으로 IDC를 만들어서 운영하던지, 아니면 역시나 전문 기업이 만든 IDC에 서버를 유치해서 서비스를 하곤 한다. 자체적으로 IDC를 만들어서 운영하는 경우는 보통 서버를 자체적으로 관리를 하다보니 보안 등의 우려가 덜한 것이 사실이다. 물리적인 서버 보안을 기업 스스로..
-
한국형 모바일 OS를 만들겠다고? 논의 자체는 좋은데 시작이나 할 수 있을까? (2부)Mobile topics 2011. 8. 30. 12:36
* 이 글을 읽기 전의 참고 사항. 글이 너무 길어져서 1, 2부로 나눠서 발행함. 이 글을 읽기 전에 먼저 1부를 읽어봐야 이해할 수 있을 듯 싶음. 1부는 여기를.. ^^; 자 그렇다면 본론으로 넘어와서 한국형 모바일 OS를 만들겠다는 그 취지에 대해서 좀 집고 넘어가보자. 분명히 한국형 모바일 OS를 만든다는 그 의미는 이해할 수 있다. 외국 기업이 만든 플랫폼에 국내 산업이 좌지우지되는 현실이 보기는 않좋을테니까 말이다. 그런데 위에서 언급했던 안정성과 에코시스템에 대한 준비를 제대로 갖추고 있을까? 들리는 바에 의하면 한국형 모바일 OS는 웹 OS 형식이라고 한다. 마치 크롬 OS 처럼 말이다. 플랫폼을 단말기에 직접 탑재하는 것이 아닌 서버를 두고 거기에 접속해서 사용하는, 이른바 클라우드 서..
-
EMC가 준비하고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Decho 말고 더 필요할 듯 싶은데...Cloud service 2009. 6. 15. 09:42
웹2.0이 붐을 일으킨 이후 웹 플랫폼들의 변화와 성장의 속도는 매우 높아져갔다. 기존에 프레임 구조를 통해서 구성되었던 메뉴 등은 AJAX 기술을 통해서 필요한 부분만 재구성(페이지를 필요한 부분만 다시 읽어들이는 등)하는 방식으로 효율성은 높혔고 블로그 등을 이용한 다양한 웹페이지 구성의 변화는 CMS(컨텐츠 메니지먼트 시스템)를 한단계 더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RSS 등의 자동화된 송수신 프로토콜은 각종 웹 서비스들의 생산성 및 사용성을 높혀주게 되었다. 그리고 구글 등의 웹서비스 회사들은 자기들이 갖고 있는 방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공개하기 시작했고 또 사용자들의 데이터들을 자신들의 데이터 센터에 유치하면서 그것들을 다시 자신들의 서비스로 재생산하기 시작했다. 그것의 최종 목적지는 다름아닌 클라..
-
미래를 여는 IT 기술, 클라우드 컴퓨팅Cloud service 2008. 10. 20. 08:12
요즘 웹2.0 세계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이라는 단어가 점점 각광을 받고 있다. 구글과 IBM, MS 등의 유수의 밴더들이 클라우드 컴퓨팅에 투자를 집중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서도 이런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솔루션들이 조금씩 모습을 보이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웹2.0 기술들 중에서 블로그, 온라인 오피스 등의 웹 어플리케이션의 전성기 뒤에 모습을 감추고 있었던 SaaS(Service as a Software) 기술과 PaaS(Platform as a Service) 기술, 그리고 그 뒤에 당당히 모습을 드러내고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은 웹2.0을 대변하는 기술로 점점 사람들과 업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는 중이다. 클라우드 컴퓨팅? 그렇다면 클라우드 컴퓨팅은 무언가? 제목 그대로 해석하자면 구름과 뭔가..
-
구글, 엔터프라이즈 서비스에 대한 키워드는 '클라우드컴퓨팅'Cloud service 2008. 6. 16. 19:49
엔터프라이즈 웹서비스의 미래는 클라우드컴퓨팅에 달렸다고 구글은 생각하고 있는듯 싶다. 클라우드컴퓨팅은 그럼 어떤 것인가? 간단히 얘기하면 SaaS(Service as a Sofeware)를 최대한 이용하여 기업의 IT 운용에 들어가는 리소스를 최소화 하는 것을 의미한다. 기업들은 대부분 회사 내부에 전산부서를 두고 거기서 서버를 운영하며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고 기업에서 사용하고 있는 여러 서비스들을 운용, 관리한다. 이러한 기업 소프트웨어를 운용하는데 들어가는 자원은 그 기업의 보안이나 규모에 따라서 차이가 매우 크다. 규모가 작은 회사일수록 기업용 소프트웨어를 운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클라우드컴퓨팅은 이러한 기업에서 소요되는 자원들을 대형 서비스 회사의 기업형 서비스를 이용하여 최소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