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세계 Top 데이터센터와 어깨를 겨루는 LG CNS의 부산 데이터센터
    IT topics 2015. 9. 9. 22:37
    반응형

    인터넷 비즈니스의 성장과 데이터센터의 중요성


    요 몇년 사이에 인터넷 비즈니스가 많이 성장했다. 인터넷 비즈니스는 인터넷을 이용한 웹 서비스 뿐만이 아니라 웹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구성요소들이 다 포함된 통합 경제를 의미한다. 웹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웹 서버와 그 웹 서버를 실제로 구동시키기 위한 하드웨어, OS, 내부 소프트웨어 뿐만이 아니라 데이터들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과 보안을 위한 다양한 시스템까지 인터넷 비즈니스의 성장에는 이런 모든 구성요소들의 성장도 한몫을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런 인터넷 비즈니스는 기업의 전산실에 해당 장비들을 세팅하고 전용망이든 초고속 인터넷망이든 연결해서 서비스를 진행한다. 어느정도 규모가 작은 인터넷 비즈니스라면 충분히 기업 안에 있는 IT 자원만으로도 커버가 가능할 것이다.


    하지만 규모가 어느정도 커지게 되면 내부적으로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이 오게 된다. 24시간 지속적으로 꾸준히 전력을 공급해야 하며 장비에서 나오는 열을 또 식혀야 한다. 그리고 내부 네트워크의 유기적인 연결과 동시에 외부의 인터넷망과의 연결도 원활해야 한다. 각 장비의 상태를 꾸준히 체크하는 관제 시스템도 갖춰야 하며 이것들을 체계적으로 관리를 해야 하는 상황이 온다. 이런 시스템을 기업 안에다 둘 수도 있지만 구축 비용도 만만찮을 뿐더러 관리 비용 역시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다. 이런 역할을 체계적으로 할 수 있게 서포트를 해주는 것이 데이터센터의 역할이다.


    데이터센터의 내부


    과거에는 IDC(인터넷 데이터센터)라고 불리웠지만 단순히 인터넷용으로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최근에는 인터넷이라는 단어를 빼고 DC(데이터센터)라고 불리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데이터센터에 서버를 유치할 수 있는 공간 및 여러 부대 시설에 대한 비용을 내고 자사의 서비스 서버를 유치한다. 데이터센터 안에는 앞서 얘기한 인터넷 비즈니스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다양한 시설들이 구축되어 있어서 고객들의 인터넷 비즈니스를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 국내에는 이런 데이터센터들이 여러군데 존재하는데 SKT, KT, LG U+ 등과 같은 이통사에서도 데이터센터를 운영하고 있고 2년 전에 LG CNS가 부산에 세운 부산 데이터센터 역시 이런 역할을 하는 데이터센터라고 할 수 있다.


    브릴 어워즈의 의미와 LG CNS 부산데이터센터의 수상 의미


    브릴 어워즈라는 상이 있다. 브릴 어워즈는 업타임 인스티튜트(Uptime institute)에서 최고의 데이터센터를 선정하여 내리는 상이라고 보면 된다. 참고로 업타임 인스티튜트는 데이터센터 디자인, 구성, 운영에 대한 등급을 만들고 관리하는 유일한 국제 기관이다. 업타임 인스티튜트는 포춘지 선정 100대 기업 85% 이상이 회원으로 등록한 협회로 데이터센터 컨설팅, 교육, 세미나를 주관 하고 데이터센터 기반시설에 대한 국제 공인 인증인 Tier 인증을 부여하며 미국 뉴욕이 본사로, 브라질, 영국, 두바이, 러시아, 싱가포르 등에 사무실을 두고 있다. 업타임 인스티튜트는 2008년부터 GEIT(Green Enterprise IT) Awards로 전세계 우수 데이터센터를 선정해 왔으며, 올해부터 브릴 어워즈로 격상했다. 브릴 어워즈는 데이터센터 분야 최고 권위상으로, 매년 디자인, 시설 관리 등 5개 분야의 최고 데이터 센터를 선정한다. 올해에는 23000여개의 데이터센터를 대상으로 심사를 해서 19개 국가의 100개의 데이터센터를 1차로 추리고 그 중에서 80명의 심사위원들이 엄격한 심사를 통해 18개의 우수 데이터센터를 뽑아 브릴 어워즈를 수상하게 되었다.


    왜 앞서 브릴 어워즈의 이야기를 했는가 하면 LG CNS의 부산 데이터센터가 브릴 어워즈를 수상함으로(앞서 얘기한 18개의 우수 데이터센터 안에 들어갔다는 얘기다) 전 세계적으로 우수한 데이터센터로 인정을 받았다는 얘기다. 브릴어워즈를 수상한 데이터센터들을 보면 대부분 미국 이베이(eBay), 스페인 텔레포니카(telefonica) 등 미주/유럽이 주축을 이루고, 아시아에서 선정된 기업은 한국의 LG CNS와 대만의 타이완 모바일(Taiwan Mobile) 뿐이다. 데이터센터의 경우 미국와 유럽에서 강세를 보이는데 데이터센터의 볼모지라고 할 수 있는 아시아권에서 선정되었다는 것은 나름 의미가 있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세계적으로 우수한 데이터센터들은?


    그렇다면 세계적으로 유명한 데이터센터들은 어떤 것들이 있으며 이들 데이터센터들과 겨루고 있는 LG CNS의 부산데이터센터는 어떤 시설을 갖추기 있기에 브릴 어워즈를 수상했는데 살펴보자. 대부분 우수한 데이터센터라고 불리는 데이터센터들은 대형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에서 자사의 서비스를 위해서 만든 데이터센터이거나 클라우드 플랫폼을 갖고 있는 기업에서 자사의 클라우드 플랫폼을 활용할 수 있도록 구축한 데이터센터들이 많다. 우수한 데이터센터들을 살펴보면 구글 데이터센터, 아마존 데이터센터, 페이스북 데이터센터, MS 데이터센터로 앞서 얘기했다시피 대형 인터넷 서비스를 운영하거나 클라우드 플랫폼을 지닌 기업들의 데이터센터임을 알 수 있다.


    구글 데이터센터의 모습


    먼저 구글 데이터센터에 대해서 살펴보자. 구글은 전세계적으로 여러 곳에 대형 데이터센터를 구축해서 운영하고 있다. 구글의 경우 구글 자체의 클라우드 플랫폼 뿐만이 아니라 구글 검색부터 시작하여 유튜브, 지메일, 구글 드라이브 등 다양한 구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이런 구글 서비스와 클라우드 플랫폼을 유치하기 위해 구글은 대형 데이터센터를 미국 뿐만이 아니라 유럽을 포함해 전 세계적으로 여러 개를 두고 운영한다. 구글 데이터센터의 특징 중 하나는 에너지 충당 방식이 친환경적이라는 것이다. 이미 몇 년 전부터 풍력을 이용한 에너지 충원 방식을 도입해서 적용하고 있다. 또한 구글은 자체적으로 서버를 만들고 또 서버랙도 자체적으로 만들기 때문에 무정전 시스템을 위해 대부분의 데이터센터가 설치하는 UPS를 사용하지 않고 각 서버에 보조배터리를 둬서 운영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 덕분에 구글은 기존 데이터센터에 비해 15% 정도의 전력 소비를 막을 수 있었다고 한다.


    아마존 데이터센터는 최근 들어 얘기가 많이 나오고 있는 데이터센터다. 이유는 아마존이 AWS(아마존 웹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기 때문이며 AWS는 현재 클라우드 플랫폼 중 가장 규모가 큰 플랫폼이기 때문이다. 아마존은 AWS를 통해 인터넷 비즈니스를 하고자 하는 고객들을 유치하기 위해 대규모의 데이터센터를 만들어 운영하고 있는데 아일렌드와 버지니아 북쪽, 그리고 오레곤에 아마존 데이터센터를 확장하고 있는 중이다. AWS를 통해 인터넷 비즈니스를 하고자 하는 고객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는 추세인지라 데이터센터의 확장은 더 일어날 것으로 보인다. 46,000여개의 서버를 유치하고 있으며 아마존 데이터센터에서 사용하는 전력 충원 방식은 앞서 소개한 구글 데이터센터가 사용하고 있는 전원 충원 방식을 커스터마이징해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하지만 아쉽게도 전력 소비 효율(PUE)에 대해서는 알려진 정보가 거의 없다.


    페이스북 데이터센터의 모습


    페이스북 데이터센터는 어떻게 보면 구글 데이터센터와 비슷한 컨셉의 데이터센터라고 보면 된다. 다만 구글은 구글의 클라우드 플랫폼이 있기 때문에 아마존 데이터센터(아니면 밑에서 소개할 MS, IBM 데이터센터)의 성격도 함께 있는 반면 페이스북 데이터센터는 페이스북 서비스와 그 연계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센터라고 보면 이해하기가 쉬울 것이다. 하루 9억명의 실 사용자가 시도때도 없이 열람하는 페이스북의 서비스 성격 상 그 안에서 만들어지는 데이터들의 저장 및 열람 등을 제대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앞서 소개한 데이터센터들 못잖은 규모의 만만찮은 데이터센터가 필요한 것은 사실이다. 오레곤과 노스캐롤라이나의 포레스트 시티, 스웨덴의 룰리아에 데이터센터가 있으며 적어도 60,000개 이상의 서버가 운영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참고로 페이스북 데이터센터의 PUE은 PUE 2.0이다. 그렇게 효율적이지는 못하다(밑에서 얘기하겠지만 세계 평균은 PUE 1.8이다).


    MS 데이터센터의 모습


    MS 데이터센터는 구글 데이터센터와 아마존 데이터센터의 성격을 합친 것과 같다고 보면 되는데 오피스 365, 원드라이브 등과 같은 MS의 자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뿐만이 아니라 MS의 클라우드 플랫폼인 에저(Azur)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센터다. 유럽에서 가장 큰 데이터센터 중 하나가 아일랜드의 더블린데 있는 MS 데이터센터인데 550,000 sq. ft.의 면적을 자랑한다. 내부에 몇대의 서버가 돌아가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자세히는 알려진 부분이 없지만 PUE는 1.25로 상당히 우수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LG CNS의 부산데이터센터의 특징은?

     

    앞서 얘기한 데이터센터들은 전세계적으로 우수하다고 알려진 데이터센터들이다. 그리고 이들 데이터센터들과 함께 어깨를 겨루고 있는 LG CNS 부산데이터센터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자.


    LG CNS 데이터센터의 풍도 시스템


    부산 데이터센터의 특징은 자연의 차가운 바람을 이용한 친환경 항온항습 시스템인 풍도와 국내 최초의 면진 시설을 갖췄다는 점이라고 볼 수 있다. LG CNS는 부산데이터센터를 풍도를 통해 기존과 다른 설계를 통해서 서버와 발전기 등 내부 시설로 인해 뜨거워진 내부 공기를 정수리로 내뱉고 바깥의 차가운 공기를 코로 들여마시는, 말 그대로 사람이 숨을 쉬듯 숨쉬는 혁신적인 친환경 데이터센터로 만들었다. 그리고 풍도와 함께 특허 출원한 빌트업 공조 설계를 도입해서 외부의 찬 공기를 유입하여 전산실 냉각에 적합한 서늘한 공기로 만들도록 했다. 빌트업 공조 설계의 특징은 밖의 차가운 공기를 유입시키고 안에 있던 뜨거운 공기를 풍도로 내보내면서 서버를 식히는데 필요한 서늘한 공기를 만드는 것이다. 여기에 적절한 온도와 습도 유지를 위해 풍도로 내보내는 뜨거운 공기와 외기에서 들어온 차가운 공기를 적절히 섞는 기술도 함께 적용되어 항온항습기를 이용한 냉각을 자연의 힘으로 해결하는 혁신을 거두게 된다. 이것 덕분에 PUE 1.4에 근접하게 접근하고 있다고 한다(참고로 전 세계 데이터센터의 PUE는 1.8이라고 하며 1.4로 낮출 경우 일반 가정집의 5840가구가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막대한 양의 전력을 절감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부산데이터센터의 또 하나의 특징은 국내 최초의 면진 설비를 갖춘 데이터센터라는 점이다. 부산데이터센터가 있는 부산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지진안전지대로 일본과 대만의 글로벌 네트워크 우회경로로 활용되는 것으로 유명하며 조금의 안전사고에도 대비할 수 있도록 면진 설비(지진 방지)를 적용, 리히터 규모 8.0의 강진에도 끄떡없는 무중단 시스템을 제공하도록 설계하고 만들었다. 면진 설비는 지진의 진동에너지를 흡수하는 고무기둥인 댐퍼(Damper)를 설치해 건물과 지상 사이를 분리시키는 첨단 기술로 지진으로 인한 진동이 댐퍼에 흡수되 데이터센터안에 있는 서버 등의 장비가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게다가 최근 일본에 쓰나미로 인해 피해를 입은 것을 통해서 볼 수 있듯 수해에 대한 대비책도 나름 세워뒀는데 해안도시인 부산의 입지를 고려해 일본의 평균 쓰나미 수위인 해발 4.5m는 물론 백년 주기의 대홍수에도 안전하도록 홍수경보수위인 해발 5.5m보다 더 높은 해발 6m 이상의 높이에 데이터센터를 세웠다. 이렇게  지진과 수해로부터 안전하다는 것이 부산데이터센터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이유로 친환경적이며 우수한 보완 시설로 인해 세계적으로 우수한 데이터센터로 이름을 얻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인터넷 비즈니스가 계속 발전하면서 데이터센터에 대한 요구사항들이 많아지고 있는 시점에서 해외의 데이터센터가 아닌 국내의 데이터센터가 이렇게 인정받고 우수하다고 평가를 받는다면 국내에서의 인터넷 비즈니스도 훨씬 수월하게 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이 글은 LG CNS 블로그에 기고했던 글의 원본입니다. 기고한 글은 [여기]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