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CC 2015] 효율적이면서도 안전하고 개방적인 통합 클라우드 OS, 화웨이 퓨전스피어Cloud service 2015. 9. 24. 00:01반응형
9월 18일 ~ 19일, 이틀간 중국 상해의 엑스포 센터(메르세데츠 벤츠 아레나)에서는 화웨이에서 주최하는 화웨이 클라우드 콩그레스(Huawei Cloud Congress, HCC) 2015가 진행되었다. 화웨이에서 이 블로그도 미디어 자격으로 초청을 해준 덕분에 블로거 자격으로 상해에 가서 직접 HCC 2015의 내용을 들을 수 있었다.
우리가 알고 있는 화웨이라는 기업은 네트워크 장비, 특히 유선 기간망에 들어가는 PBX(Private Branch eXchange)를 만드는 기업으로 알고 있다. PBX 분야에서는 유럽의 에릭슨과 경쟁하고 있으며 이미 세계 No.1의 점유율을 지니고 있는 기업이다. 그런데 화웨이는 PBX 말고도 서버와 스토리지 등 우리가 알고 있는 엔터프라이즈 장비도 함께 만들고 있으며 이 분야에서도 세계 5위권 안에 들어가는 기업이다. 이런 화웨이가 최근 클라우드 분야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으며 수년전부터 HCC를 개최하여 클라우드 시장에서의 화웨이의 영향력을 알리고 있으며 클라우드 시장에서 나름 그 영역을 넓히고 있는 중이다.
오늘은 HCC 2015의 첫날 오후에 있었던 퓨전스피어(Fusion Sphere)에 대한 HCC2015 Media Roundtable에서 있었던 이야기를 해보려고 한다. 여기서 화웨이는 클라우드 OS인 퓨전스피어 6.0에 대한 이야기를 언급했다.
효율적이면서 안전한, 그리고도 개방적인 통합 클라우드 OS, 화웨이 퓨전스피어
퓨전스피어는 화웨이에서 개발하여 배포중인 클라우드 OS다. 기본적인 성격은 MS의 윈도 에저(Windows Azur)나 아마존의 AWS(Amazon Web Service), VMware의 VMware Sphere, 시트릭스의 젠 서버(Xen Server)와 비슷한 성격의 솔루션이라고 보면 될 듯 싶다. PaaS(Platform as a Service) 영역에 속하는 솔루션이라고 보면 된다.
퓨전스피어의 특징을 살펴보면 가장 큰 2개의 특징을 얘기할 수 있는데 하나는 오픈스택(OpenStack) 기반의 클라우드 플랫폼이라는 것이다. 이번에 나온 것이 퓨전스피어 6.0인데 기존 퓨전스피어 5.0부터 오픈스택을 지원하기 시작했고 6.0에서 좀 더 완벽에 가깝게 오픈스택을 지원하고 있다고 한다. 그리고 하드웨어 자원을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기존 가상화 솔루션들처럼) 이미 구축된 가상화 시스템 위에 래퍼(Wraper) 형식으로 올려서도 지원할 수 있다. 즉, 이미 VMWare의 VMWare 스피어, ESXi나 시트릭스의 젠 서버, 도커(Docker) 등을 구축해서 사용하고 있더라도 그 위에 퓨전스피어를 올려서 기존 시스템을 그대로 활용하면서 퓨전스피어의 오픈스택 API를 이용할 수 있다는 얘기다.
앞서 얘기했다시피 퓨전스피어는 그 자체가 가상화 기능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OS이면서도 동시에 다른 가상화 솔루션을 관리(Management)할 수 있는 기능을 지니고 있다고 한다. VMWare나 Hyper-V, KVM 등과 같은 가상화 솔루션을 관리할 수 있고 도커와 같은 컨테이너도 관리할 수 있다고 한다. 또 직접 하드웨어 자원을 제어할 수 있는 베어메탈(Bare-metal) 방식도 제공한다. 각 가상화 솔루션은 그 기반이 되는 OS에 따라서 그 성능이 결정되기 때문에 윈도 OS를 사용한다면 Hyper-V가 가장 성능이 좋고 리눅스를 쓴다면 KVM이 좋고, 아니면 VMWare를 선호해서 해당 시스템을 도입해서 쓰는 경우도 많을 것이다. 이렇게 파편화되어 가상화 솔루션을 도입해서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다가 하나의 통일된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통합시키려고 할 때는 꽤나 애를 먹는 경우가 많은데 이럴 때 퓨전스피어를 통해서 통합할 수도 있을 듯 싶다. 또 IBM의 소프트레이어(SoftLayer)처럼 베어메탈 방식도 제공하기 때문에 더 높은 성능의 가상화 솔루션을 쓰길 원한다면 괜찮은 선택이 될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퓨전스피어는 앞서 얘기했듯 클라우드 OS며 그 안에서 다양한 가상화 자원들을 관리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가상머신(Virtual Machine, VM)의 관리와 각 VM들을 연결하고 외부와 연결하는 네트워크 관리, 또 VM 및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스토리지 관리까지 모두가 하나의 패키지 형식으로 묶여있는 솔루션이라고 보면 될 듯 싶다. 내부적으로는 SDN(Software Defined Networking)과 SDS(Software Defined Stroage)을 지원하는데 이기종 솔루션의 관리 기능이 들어있기 때문에 당연한 기능이라고 생각이 든다. 밖에서 보면 퓨전스피어만 보이지만 그 안에는 하드웨어를 직접적으로 연결할 수 있고 VMWare 시스템도 연결되어 있으며 Hyper-V 시스템도 연결되어 있고 다양한 스토리지들도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형식의 시스템을 하나로 통합해서 관리하고 제공해주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및 스토리지 관리의 통합이 필요하며 그것을 SDN, SDS로 해결한다는 얘기로 해석하면 이해가 빠르지 않을까 싶다. 물론 그 안에는 더 다양한 기술과 철학들이 내포되어 있겠지만 간단히 얘기하면 퓨전스피어는 PaaS를 제공하기 위한 클라우드 OS이며 직접 서버 자원을 제어할 수 있고 이미 구축된 가상화 시스템을 연결해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라고 보면 된다.
미디어 라운드테이블에서 나왔던 이야기를 좀 해보자면 퓨전스피어는 기본적인 컨셉 자체가 PaaS이기 때문에 MS의 윈도 에저나 아마존의 AWS와 동일한 선상에서 얘기를 해야 하는데 화웨이는 이들 에저와 AWS는 퍼블릭 클라우드 영역에서 제공되는 PaaS로 보고 있으며 퓨전스피어는 엔터프라이즈 영역에서의 프라이빗 클라우드용 PaaS라고 생각하고 있다고 얘기한다. 즉, 기업이 자체적으로 PaaS를 이용하여 SaaS를 만들어서 사용하거나 제공할 때 다양한 서버들과 스토리지들을 구매하고 그 위에 퓨전스피어를 얹어서 프라이빗 클라우드 시스템을 만들고 그 위에 퓨전스피어의 오픈스택 API를 이용하여 기업 내부에서 사용하는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이나 SaaS 솔루션을 만들어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목적이라는 얘기다. 그렇기 때문에 서로의 영역이 틀린 지금은 윈도 에저나 AWS는 자신들의 경쟁자는 아니라고 한다. 물론 향후에는 퓨전스피어를 통해 화웨이도 퍼블릭 클라우드 시장에 도전할 생각이 있는거 같다는 생각도 들었다.
화웨이의 경우 앞서 하드웨어 기반의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로 클라우드 시장에 집중하겠다고 했는데 퓨전스피어는 어쩌면 PaaS 시장까지 잡겠다는 의미로 들릴 수도 있다. 아마 화웨이의 클라우드 전략은 SaaS(Software as a Service)를 제외한 나머지 클라우드 영역에 모두 진출해서 클라우드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넓혀나가겠다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IaaS 기반으로 모든 클라우드 OS를 다 수용함과 동시에 또 PaaS 기반으로 모든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을 다 아우르겠다는 생각인 듯 싶다. 그러면서도 우리것만 고집하는 것이 아닌 플랫폼을 오픈시켜서 선택의 폭을 늘리겠다는 생각이 아닐까 싶다.
반응형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