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HCC 2015] 클라우드 인프라 개방에 집중하는 화웨이의 클라우드 전략
    Cloud service 2015. 9. 24. 00:01
    반응형

    9월 18일 ~ 19일, 이틀간 중국 상해의 엑스포 센터(메르세데츠 벤츠 아레나)에서는 화웨이에서 주최하는 화웨이 클라우드 콩그레스(Huawei Cloud Congress, HCC) 2015가 진행되었다. 화웨이에서 이 블로그도 미디어 자격으로 초청을 해준 덕분에 블로거 자격으로 상해에 가서 직접 HCC 2015의 내용을 들을 수 있었다.


    우리가 알고 있는 화웨이라는 기업은 네트워크 장비, 특히 유선 기간망에 들어가는 PBX(Private Branch eXchange)를 만드는 기업으로 알고 있다. PBX 분야에서는 유럽의 에릭슨과 경쟁하고 있으며 이미 세계 No.1의 점유율을 지니고 있는 기업이다. 그런데 화웨이는 PBX 말고도 서버와 스토리지 등 우리가 알고 있는 엔터프라이즈 장비도 함께 만들고 있으며 이 분야에서도 세계 5위권 안에 들어가는 기업이다. 이런 화웨이가 최근 클라우드 분야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으며 수년전부터 HCC를 개최하여 클라우드 시장에서의 화웨이의 영향력을 알리고 있으며 클라우드 시장에서 나름 그 영역을 넓히고 있는 중이다.



    오늘은 HCC 2015의 첫날 오후에 있었던 HCC2015 Media Roundtable with Partner and Customer에서 있었던 이야기를 해보려고 한다. 여기서 화웨이는 클라우드 시장에서 어떤 전략을 갖고 나가려는지에 대해서, 또 파트너들과의 관계를 어떻게 가져가려는가에 대해서 얘기를 했다.

    하드웨어 기반의 IaaS에 집중하는 화웨이의 클라우드 시장 전략


    화웨이의 클라우드 시장 전략은 'Open(오픈)'이라고 할 수 있다. 플랫폼의 오픈이다. 그런데 우리가 알고 있는 PaaS(Platform as a Service)의 오픈이 아니다.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에서의 오픈이다. 화웨이는 클라우드 시장에서 인프라를 갖추고 그것을 고객들에게 제공하여 손쉽게 클라우드 플랫폼(PaaS) 및 서비스(SaaS)를 갖추게 만드는데 집중하고 있다.


    우리가 생각하는 IaaS의 대표주자는 역시나 아마존일 것이다. 아마존은 AWS(Amazon Web Service)라는 IaaS를 제공하고 있으며 고객은 AWS 위에 VM(Virtual Machine)을 만들고 거기에 리눅스나 윈도와 같은 OS를 올려서 서비스를 구동하고 운영한다. 즉, 아마존은 AWS를 통해 클라우드 인프라를 제공한다는 얘기다. 그런 관점에서 볼 때 화웨이의 경우에는 같은 IaaS라고는 하지만 AWS라는 클라우드 OS를 제공하는 것이 아닌 하드웨어 플랫폼 자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아마존의 AWS는 IaaS의 역할과 함께 PaaS의 역할도 함께 하지만 화웨이의 클라우드 전략은 철저하게 IaaS에, 그것도 하드웨어 인프라에 집중한다는 얘기다. 고객은 화웨이의 IaaS 위에 MS의 윈도 에저(Windows Azur)나 VMWare의 vSphere, 시트릭스의 젠 서버(Zen Server)와 같은 클라우드 OS를 얹어서 사용할 수 있다는 얘기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화웨이는 클라우드 플랫폼 중에서 하드웨어 기반의 IaaS를 제공하는데 힘쓰고 있다. 그러면서 소프트웨어 부분은 자신들의 몫이 아닌 파트너와 고객의 몫이라고 선을 긋는다. 밑에서 MS의 예를 들기도 하겠고 위에서도 언급했다시피 화웨이는 자신들의 IaaS를 위한 전용 클라우드 OS를 만들지 않는다. 다음 포스팅을 통해서 얘기할 퓨전스피어(Fusion Sphere)라는 화웨이의 클라우드 플랫폼이 있지만 앞서 얘기한 MS의 윈도 에저와 같은 범용적인 클라우드 플랫폼이지 화웨이의 IaaS만을 위한 클라우드 플랫폼은 아니라는 얘기다. 그렇기 때문에 화웨이는 자신들의 IaaS 위에 퓨전스피어와 같은 자신들의 클라우드 플랫폼 뿐만이 아니라 윈도 에저, VMWare vSphere, 젠 서버 등과 같은 다양한 클라우드 플랫폼을 얹어서 원하는 형태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만들 수 있게 했다.


    위와 같은 모형으로 클라우드 시장에 진출하다보니 화웨이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3가지 종류인 퍼블릭 클라우드(public cloud), 프라이빗 클라우드(private cloud), 하이브리드 클라우드(hybrid cloud) 중에서 프라이빗 클라우드, 특히 엔터프라이즈급 데이터센터 형 프라이빗 클라우드에 강세를 보이게 된다. 서비스 기반이 아닌 인프라 기반이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클라우드 인프라를 필요로 하는 기업 입장에서 화웨이의 IaaS 솔루션을 도입함으로 자체적으로 데이터센터를 구축하고 그 안에 화웨이의 클라우드 시스템을 두고 그 위에 위에서 언급한 윈도 에저나 VMWare, 젠 서버와 같은 클라우드 OS를 올리고 가상머신(Virtual Machine, VM)을 띄운 뒤에 그 위에 윈도나 리눅스와 같은 OS를 올려서 그 안에서 서비스를 구동하고 운영하는 방식으로 자사의 서비스를 구동할 수 있게 만드는 엔터프라이즈 급 프라이빗 클라우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구글이나 MS의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아닌 고객 자체가 클라우드 서비스를 만들 수 있게 IaaS를 제공하는 것이 화웨이의 클라우드 전략이라는 얘기다.



    함께 나온 파트너들 중에서 MS가 있었는데 MS는 화웨이의 하드웨어 플랫폼 기반 IaaS에 MS의 클라우드 OS인 윈도 에저를 올려서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을 만들고 그 위에 모바일 서비스 및 오피스 솔루션을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로 만들어서 제공하는데 화웨이와 함께 기술협력을 함께 진행하고 있다고 한다. 즉, MS는 화웨이의 IaaS를 통해 오피스 365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진행하고 있다는 얘기다. 그리고 화웨이의 클라우드 시스템용 하드웨어 안에 윈도 에저와 같은 클라우드 OS를 올려서 고객들에게 어플라이언스 형태로 제공하는 부분에 대해서 함께 협력하고 있다는 얘기도 했다.


    앞서 화웨이의 클라우드 시장 전략은 오픈이라고 했고 서비스 플랫폼으로서의 오픈이 아닌 클라우드 하드웨어 인프라로서의 오픈을 의미한다고 했다. 왜 오픈인지는 위에서 설명했던 것으로 충분히 얘기가 가능할 듯 싶다. 화웨이의 클라우드 하드웨어 인프라는 특정 클라우드 OS에 종속되어 있는 것이 아닌 어떤 클라우드 OS에도 모두 적용될 수 있게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를 오픈했다는 얘기다. 고객은 이런 하드웨어 기반의 IaaS에 원하는 스타일의 클라우드 OS를 올리고 그 위에 VM을 만들어 원하는 OS를 올린 후 서비스를 구동시켜서 운영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화웨이는 지금 시장에 나와있는 MS, VMWare, 시트릭스 등 PaaS 솔루션을 제공하는 업체들과는 경쟁관계가 아닌 협력 관계, 파트너 관계를 맺고 시장을 키워 자신들의 영역을 넓히는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