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s
-
시대를 역행하고 있는 금융권 인터넷 서비스들..Security 2008. 9. 9. 13:29
MS의 인터넷 익스플로러8(IE8)에 대한 이야기는 이미 한달전부터 나온 이야기다. 그런데 최근에 다시 이 이야기가 솔솔 나오고 있다. MS가 연말까지 IE8로 모두 업그레이드 하겠다는 얘기가 나온 다음에 금융권에서 IE8에 각기 사이트를 맞추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알려진대로 IE8에서는 그동안 잘 사용해오던 ActiveX의 제한이 더 강해지기 때문이다. MS의 윈도 비스타 출시때의 파장 만큼이나 큰 폭풍으로 다가오고 있다는 얘기로 들린다. IE8의 출시로 발등에 불이 떨어진 쪽은 다름아닌 금융권이다. 인터넷뱅킹을 비록하여 인터넷 주식거래 등등 온갖 금융관련 인터넷 서비스들은 보통 키보드 보안부터 시작하여 온갖 보안모듈을 줄줄히 달고 산다. 이러한 보안모듈은 대부분이 다 ActiveX로 구현되어 있으며 ..
-
윈도 비스타, 최대 라이벌은 다름아닌 윈도 XP...IT topics 2008. 6. 10. 14:03
MS의 비스타에 대한 시름이 꽤나 깊어가는거 같다. 윈도 XP의 다음 버전인 윈도 비스타가 출시된지 벌써 1년하고도 6개월이 지나가고 있는데 여전히 시장에서의 반응은 싸늘하기 그지 없는 상태다. 이러한 현상은 비단 국내에서 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비슷한 추세인듯 싶다. 작년 12월에 미국의 포래스터리서치가 5000개의 기업을 대상으로 윈도의 점유율을 조사했을 때 윈도 비스타의 점유율은 6.3%로 윈도 XP의 89%에 턱없이 모자랐다. 게다가 윈도 비스타의 점유율이 대략 3% 오른 수치인데 그것이 윈도 XP에서 업그레이드한 비율이 아닌 윈도 2000에서 윈도 비스타로 갈아탄 비율과 비슷하다는 것이 MS 입장에서는 더 골치꺼리라 할 수 있겠다. 이래서일까? MS가 최근 기업들을 대상으로 윈도 비스타를 찬양..
-
윈도 비스타의 차기버전, 윈도 7의 스크린샷 공개..IT topics 2008. 5. 28. 11:53
MS의 윈도 비스타의 차기버전인 윈도 7의 스크린샷이 공개되었다. TechCrunch와 CrunchGear를 통해서 공개된 윈도 7의 스크린샷을 보고자 하니 윈도 비스타에서 많이 발전되었다는 생각이 든다. 또 일부에서는 애플의 Mac OS X를 많이 따라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그런데 생각해보니 윈도 비스타 역시 Mac OS X를 많이 따라했다는 비판을 받지 않았나?). 그렇다면 공개된 스크린샷을 감상해보자. 많이 이뻐진 것은 사실이니 기대가 되기는 한다. 그와 동시에 윈도 비스타가 꼭 예전의 윈도 ME 꼴이 나는게 아닐까 하는 걱정이 된다. 윈도 비스타 출시가 아직 2년이 채 안된 시점에서 차기버전에 대한 이야기가 구체적으로 나오고 있으니 말이다. 하기사 일부에서는 거의 윈도 비스타는 윈도 ME 꼴이..
-
MS의 윈도, Vista보다 XP가 더 가치있는 OS? ^^IT topics 2007. 12. 5. 14:06
이제 짜증나는 정치이야기는 그만두고 재미난 소식을 하나 전할려고 한다. MS는 윈도 비스타의 해적판 비율이 윈도 XP의 절반정도의 수준이라고 3일 밝혔다고 한다. MS「비스타 해적판은 XP의 절반」 (ZDNet Korea) Microsoft: Vista piracy rate is half that of XP (CNetNews.com) 그런데 난 이 소식을 듣고 생각나는 것이 '해적질할 가치를 못느끼는 OS라서 그런가보다. 해적질할 가치는 XP가 비스타보다 많다는게 아닌가'하는 것이다. 기사에서도 이런 이야기가 나오기도 하다. 윈도 비스타를 가끔 사용해본다. 회사에서 비스타에 대응하기 위해 기존 어플리케이션을 수정하는 작업을 하기 때문에 내 PC에는 비스타와 XP가 모두 설치되어 있다. 멀티부팅을 이용하여..
-
맥 OS와 윈도우의 통계 이야기IT topics 2007. 7. 30. 21:31
웹 트래픽 조사 단체인 넷애플리케이션즈가 발표한 전세계 운영체계 점유율에 관한 통계 자료가 발표되었다. 그런데 발표 자료에 이상한 부분이 몇개 보인다는 게 재밌다. 맥 OS와 윈도우의 통계 이야기 (ZDNet Korea) Statistics, Mac OS and Windows (CNetNews.com) 일단 넷애플리케이션즈 발표 자료에 따르면 윈도 비스타의 사용률이 점점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고 한다. 애플의 Mac OS X(OSX)는 6.35%에서 6%로 떨어진데 반해 윈도 비스타는 0%에서 4.5%로 사용률이 증가했다고 한다. 이것은 곧 비스타가 OSX의 점유율을 야금야금 잡아먹고 있다는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다. 그에 비해서 NPD 그룹과 IDC의 견해는 달랐다. 이들 회사가 밝힌 자료를 보면 올해..
-
MS, Vista의 다음 버전인 Windows 7 개발 계획 밝혀.IT topics 2007. 7. 24. 09:24
MS가 내부적으로 차기 윈도 버전을 7이라고 불리는 Vista에 이은 다음 윈도를 3년안에 개발한다고 한다. 비스타에 이은 윈도우 차기 버전「윈도우 7」 (ZDNet Korea) Next version of Windows: Call it 7 (CNetNews.com) 정리를 좀 해보자. 뉴스에 따르면 MS는 플로리다 올란도에서 있었던 영업사원 컨퍼런스에서 윈도 7에 대한 언급을 했다고 한다. 아직 많은 정보가 풀린 것은 아니지만 MS은 현재 차기 윈도 클라이언트 버전인 윈도 7의 출시 일정을 구체적으로 수립하는 과정중으로 알려졌다. Vista의 경우 출시 지연을 여러번 미루면서 5년간의 개발기간 끝에 기업 버전을 작년 11월, 일반 버전을 올해 1월에 출시했다. 또한 출시까지 내부적으로 많은 변화를 겪으..
-
시장 지배적 기업으로서 MS의 이야기?IT topics 2007. 7. 16. 10:57
MS는 좋으나 싫으나 시장 지배적 기업이 되어버렸다. 그 때문인지 MS에 대한 비판적인 의견들이 많이 나오고 있는 요즘 추세다. 이래저래 독점 기업은 여러가지로 욕을 많이 먹고 있는것 같다. 그리고 요즘은 그 길을 구글이 걷고있는 듯한 모습이다. MS「오픈소스 아니라 오픈스탠더드 지향!」(ZDNet Korea) ZDNet Korea에서 한국MS에 현재 이슈들에 대해서 공개 인터뷰를 했는데 돌아온 답변은 말 그대로 원론적인 대답들 뿐이었다고 밝히고 있다. 자세한 것은 위의 링크에 들어가 해당 기사를 보면 알것이다. 그래도 내 나름대로의 정리를 해볼까 한다. 얼마전에 이 블로그에도 소개했던 MS의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미국 기업의 노력에 대해서 그들은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고 한다. MS를 지배적 기업으로 만..
-
MS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미국의 기업들..IT topics 2007. 7. 11. 16:00
CNetNew.com에서는 미국의 한 기업(Capital & Regional이라는 부동산 기업)이 MS의 공격적인 라이센스 정책 때문에 MS의 의존도를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Linux Desktop과 Apple의 Mac 도입을 고려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맥과 리눅스로 MS서 탈피하는 미 기업 (ZDNet Korea) Mac desktops are 'smarter money,' says CIO (CNetNew.com) 위의 회사는 700여대의 PC에 Windows XP Pro와 Office XP Pro를 구동중이라고 한다. 그런데 MS의 공격적인 라이센스 정책때문에 고민이 아주~ 많다고 한다. 특히나 Windows Vista로의 업그레이드에 대한 회의성을 나타내며 MS에 너무 종속적인 현재 상황을 탈피할..
-
MS에서 개발한 OS의 변천사IT topics 2007. 6. 22. 13:47
컴퓨터를 사용하기 위해 제일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은 다름아닌 OS다. 운영체제가 없는 컴퓨터는 존재하지 않는다. 운영체제는 컴퓨터에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연결해주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동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스케쥴링까지 도맡아서 하는 컴퓨터의 심장과 같은 역할을 한다. 예전에는 각 컴퓨터 제조회사마다 OS가 존재했다. 각 컴퓨터에 맞는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해 각 컴퓨터에 맞는 OS를 각기 설치해야만 했다. 원래 OS의 역할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원활한 조화를 도와주는 것이지만 그 외에도 각 하드웨어마다의 호환성을 유지시켜주는 역할도 해야한다. 그러나 초창기 OS에는 그러한 역할보다는 전자에 얘기했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화만을 생각했다. 그러다가 1980년대 I..
-
플랫폼의 진화, OS에서 웹으로..IT topics 2007. 6. 7. 15:14
웹2.0 시대에 들어서서 많은 부분에 변화가 왔다. 아마도 대표적인 부분이 프로그램 개발 플랫폼이 기존 OS에서 웹으로 넘어간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어떤 이야기일까? 기존 프로그램들은 윈도면 윈도, Linux면 Linux, UNIX면 UNIX, OSX면 OSX 위에서 해당 OS에 맞도록 구동되었다. 즉 윈도용 프로그램이 Linux에서는 실행되지 않았고, 마찬가지로 OSX용 프로그램이 윈도에 돌아가지 않는 것이다. 플랫폼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생기는 일이다. 여러 플랫폼에서 같은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해 개발자들은 각 플랫폼으로 소스를 수정해서 컴파일하고 테스트하는 과정을 거쳐서 같은 프로그램을 플랫폼 별 버전으로 만들어 배포하곤 했다. 그게 아니면 아예 하나의 플랫폼에서만 돌아가도록 프로그램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