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CC
-
엠엔캐스트의 파산과 국내 동영상 UCC 업계의 현실..IT topics 2009. 3. 31. 08:23
한때 동영상 UCC 업체들이 마구잡이로 생겼던 때가 있었다. 적어도 작년 초까지는 그러한 분위기가 계속 되었다. 언론은 동영상 UCC가 미래의 킬러 컨텐츠 산업이 될 것이라고 분위기를 잔뜩 띄워놨다. 웹2.0 열풍이 국내에 상륙하면서 블로그와 함께 급성장한 것이 동영상 UCC 산업이다. 그만큼 동영상 UCC 공유 서비스를 하는 업체들도 많아졌다. 하지만 작년부터 시작한 경제위기는 이들 동영상 UCC 업체들에게도 심각한 상처를 남기게 된다. 트래픽 장사나 다름없었던 동영상 UCC 서비스는 그 엄청난 회선 인프라를 감당하지 못하고 제대로 된 수익체계를 세우지도 못한 채 마구잡이로 쓰러지기 시작했다. 그리고 결국 100만 명이 넘은 회원수를 보유한 동영상 UCC 업체인 엠엔캐스트 마저 문을 닫게 만든다. 엠엔..
-
YouTube, 너 마저 인터넷 실명제 적용을 받게 되냐..IT topics 2009. 3. 30. 13:55
조만간 구글 해방구라는 얘기는 없어질 듯 싶다. 작년 촛불집회 때 관련 동영상들을 국내 UCC 업체에 올렸을 경우 정부의 규제에 의해서 대부분 차단당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래서 국내법이 적용되지 않은 구글 YouTube로 많이 옮겨간 것으로 알고 있다. 그래서 붙은 말이 인터넷 해방구, 구글 해방구라는 얘기였다. 그런데 오늘 뉴스를 보니까 YouTube도 4월 1일부터 인터넷 실명제 적용을 받게 된다고 한다. YouTube 한국어판 서비스에 동영상을 올릴 때 실명확인을 반드시 거치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댓글 역시 실명확인을 거쳐야 한다. 인터넷 본인확인제(실명제)의 적용 범위가 4월 1일부터 10만명 이상의 사이트로 확대되기 때문에 YouTube도 그 적용대상에 들어간 것이다. 구글은 그동안 이러한 실..
-
무선인터넷없이 PMP로 YouTube를 즐길려면?Mobile topics 2008. 2. 15. 14:44
요즘같이 모바일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들이 많이 나오고 있는 시기도 참 드물다는 생각을 해본다. 애플의 iPhone부터 시작하여 국내에서는 출시하기 어렵겠지만 그래도 기대가 되는 구글폰이나 무선인터넷을 지원하는 각종 최신 휴대폰 등을 보면 참으로 지름신이 미워질 정도로 사고싶은 욕망이 마구 샘솟듯 하는게 요즘의 현실이다(곧 내 현실이기도 하다). 그렇다고 돈도 없는데 마구잡이로 지를 수는 없는 노릇이고 마냥 바라만 보기에도 너무 답답한 상황인지라 어떻게든 비스므래하게 해볼 수 없을까 하는 생각을 한다.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할 수 있는 여러가지 작업들 중에서 가장 매력적인 서비스는 VoIP가 아닐까 싶다. 휴대폰망이 아닌 일반 Wifi로 무선인터넷을 연결할 수 있으면 꽁짜로 스카이프 등의 인..
-
생산보다는 소비가 많은 웹2.0 서비스들..IT topics 2007. 12. 28. 13:49
오랫만에 한번 스프링노트를 이용하여 블로그에 포스팅해본다. 스프링노트를 잘만 쓰면 꽤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듯 싶은데 그게 생각보다 잘 안되는거 같다. 솔직히 내 주변에 스프링노트를 쓰는 사람들이 거의 없을 뿐더러 블로그를 통해서 알게된 사람들과 스프링노트로 협업해서 쓸 일이 없기 때문에 그냥 나 혼자만의 개인위키식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 덕분에 한동안 스프링노트에 많이 소홀한 것도 있고 말이다. 요즘들어 웹2.0에 대한 약간의 회의감이랄까 그런 생각이 들었다. 올해들어서 웹2.0에 관련된 서비스들이 많이 생겨나고 있고 나 역시 몇군데 가입해서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는데 과연 제대로 사용하고 있는게 맞는지 하는 생각이 들어서 말이다. 이런 생각이 드는 이유는 내가 사용하고 있는 웹2.0 관..
-
구글 넘는 국산 인터넷 플랫폼 개발 프로젝트「SW플래그십」가동IT topics 2007. 7. 31. 18:25
이제야 국내 포탈사이트들이 정신을 차렸는지 ETRI와 함께 뭔가를 만들 모양이다. 구글 넘는 국산 인터넷 플랫폼 개발 프로젝트「SW플래그십」가동 (ZDNet Korea) 기사에 따르면 국내에 급증하고 있는 대용량 동영상 컨텐츠 관리를 위해 ETRI를 중심으로 2012년까지 국내 주요 포탈인 NHN, 다음커뮤니케이션즈, KT, SK커뮤니케이션즈 등 15개 기관과 함께 저비용의 경쟁력있는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대규모 서버 시스템을 개발하는 정통부 주관 SW플래그십 프로젝트를 착수했다고 한다. 한마디로 저비용으로 운영할 수 있는 대규모 서버 시스템을 개발해서 국내 웹서비스 사업자들이 좀 더 서비스쪽에 퍼포먼스를 높히고 가격부분에서는 크게 신경을 안쓰게 해서 고품질 UCC를 많이 확보해서 서비스를 하도록 돕겠다..
-
웹2.0 기업이 궁금합니다.IT topics 2007. 6. 20. 14:45
올블로그에서 서비스중인 키워드챔피언을 통해서 다음의 질문이 나한테 들어왔다. 원래는 바로 답변을 할려고 했는데 나도 한번 정리할 필요가 있겠다 싶어서 포스팅으로 남겨본다. [질문요약] 웹2.0 기업들은 웹1.0을 넘어선 기업들을 말하시도 하는거라고 들었는데요 그러면 네이버나 다음 같은 국내 포탈 기업들도 웹2.0기업이라고 부를수 있나요? ^^ 웹2.0이라는 명칭은 O'Reilly에서 2004년 10월 웹2.0 컨퍼런스를 주최하고 2001년 버블닷컴 이후 살아남은 기업들의 특징들을 추려서 웹2.0이라고 부르자고 해서 생겨난 이름입니다. 그전까지의 인터넷 서비스 환경을 웹1.0이라고 부르자고 한것도 그때입니다. 우리는 흔히들 구글, 야후, MS와 같은 기업들을 웹2.0 기업이라고 부릅니다. 주로 인터넷 서비..
-
웹2.0을 대표하는 케이스, 블로그.Blog 2007. 5. 14. 13:49
가끔 블로그에 글을 포스팅하면서 느끼는 부분은 '과연 블로그를 통해서 내가 얻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가?'하는 것이다. 웹2.0을 대표하는 케이스로 많은 사람들이 블로그를 손꼽고 있다. 나 역시 논문 주제속에 블로그가 있고 블로그의 매력에 푹 빠져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과연 나는 블로그를 통해서 무엇을 얻고자 하는 것일까? 블로그를 얘기하면서 웹2.0을 대표하는 케이스라고 얘기했다. 왜 그런가? 사용자 참여와 공유, 그리고 확산이라는 3가지 원칙을 그대로 지키고 있는 것이 블로그라고 생각한다. 그럼 저 3가지를 어떻게 블로그는 지키고 있는 것인가? 블로그에 글을 포스팅을 한다. 즉, 블로거는 블로그에 글을 포스팅함으로 UCC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UCC란 무엇인가? 말 그대로 User Created ..
-
구글, 비아컴에 저작권법으로 1조원의 소송에 휘말리다.IT topics 2007. 3. 15. 11:44
구글이 비아컴에 1조원 상당의 대규모 소송에 휘말렸다. 유튜브, 10년 묵은 저작권법에 좌초 위기? (ZDNet Korea) 어제 MBC 뉴스데스크에도 구글이 비아컴에 대규모 소송이 걸렸다고 뉴스를 내보냈다. 그정도로 지금 구글과 비아컴의 소송에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한국의 많은 동영상 UCC 공유사이트(엠엔케스트, TV팟, 판도라TV 등)들이 현재 저 소송에 초점을 맞추며 지켜보고 있다. 왜냐하면 한국에서도 방송i 3사(이렇게 부르랜다. -.-)도 한국의 동영상 UCC 공유사이트에 비슷하게 소송을 낼려고 준비중이라는 소식 때문이다. 구글과 비아컴의 소송은 점점 뉴미디어(UCC로 대표되는 동영상 공유사이트 등)에 밀려 수익이 줄어든 기존 미디어의 대반격이라는 성격이 강하다. 웹2.0 시대에 맞춰 ..
-
UCC란 뭘까?IT topics 2007. 3. 9. 11:23
요즘 인터넷 인프라의 화두는 다름아닌 웹2.0, 그리고 UCC다. 아니, 웹2.0이라는 단어보다 UCC라는 단어가 더 많이 대중에게 알려진거 같다. 그만큼 주목받고 있는 단어다. UCC는 User Created Contents의 약자다. 말 그대로 사용자가 제작한 컨텐츠라는 얘기다. 그렇다면 컨텐츠란 무엇인가? 대중매체 등을 통해서 사람들에게 제공되는 정보(내용)가 바로 컨텐츠다. 그렇다면 우리네들은 UCC의 의미를 제대로 알고 쓰는 것일까? 한국에서 유행하고 있는 UCC는 도대체 뭔가? 위에서 정의한 것처럼 UCC는 사용자가 만든 컨텐츠며 그 컨텐츠는 전달되는 정보고 그 정보의 종류는 여러가지일 수 있다. 신문기사도 컨텐츠고 TV뉴스도 컨텐츠며 가수가 부르는 노래도 컨텐츠고 사진작가가 찍은 사진 역시 ..
-
어떻게 하면 사진을 공유할 수 있을까?IT topics 2007. 2. 6. 15:58
나는 사진찍는 것을 좋아한다(비록 요즘 사진기를 못들고나가서 집에서 썩고 있지만 -.-). 인물사진보다는 풍경, 배경사진들을 좋아한다. 특히 노을지는 저녁바다를 찍을 때 그 행복은 이루 말할 수 없다(와이프랑 같이 있는 행복에 비할바 못되지만). 이 블로그에도 내 사진을 몇장 실어놓았다(반응은 그다지 좋지 못했지만). 그래서 이래저래 좀 생각을 해봤다. 내 친구 차형이는 자기가 연주하는 모습을 동영상으로 찍어 YouTube에 올려서 많은 사람으로 하여금 자신의 연주하는 모습을 보도록 하고있다(말 그대로 UCC를 만들어서 활용중이다). 나도 명색이 IT업계 종사자이고 Web 2.0에 흥미를 가진 사람으로 뭔가 내가 만든 컨텐츠를 공유하고 싶은데 그럼 가장 좋은 것이 뭘까 하는 생각이 든다. 블로그에 좋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