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M
-
기밀유출방지를 위한 문서보안시스템Security 2018. 6. 8. 08:00
이 글은 2달 전에 디지에코에 보냈던 보고서의 내용으로 이미 해당 내용이 공개되었고 시간이 지났기 때문에 블로그에 다시 공개를 한다. 디지에코 보고서를 받기 원하면 [여기]에서 PDF 파일로 다운로드 받으면 된다. Ⅰ. 엔터프라이즈 보안 시스템 기업을 운영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를 고려해야 하지만 요 몇년동안에 특히나 많이 신경을 쓰는 운영 요소가 있으니 보안 시스템의 도입이다. 보통 기업에서 도입하려는 보안 시스템을 통칭 엔터프라이즈 보안 시스템이라고 하는데 종류도 다양하고 보안의 범위도 다양하기 때문에 어떤 보안 시스템을 도입해야 안전하게 기업을 운영할 수 있을지 궁금해하는 경우도 많다. 보통 엔터프라이즈 보안의 종류를 3가지, 혹은 4가지로 나누는데 먼저 사람의 출입을 관리하는 출입관리시스템이 있다...
-
HWP에서 ODT로.. 정부의 공문서 문서 형식 변경이 가져올 국내 IT 환경의 변화는?IT topics 2017. 10. 25. 18:40
확실히 문재인 정부는 기존의 카르텔, 혹은 틀을 깨는데 뭔가 일가견이 있는 정부인 듯 싶다. 재미난 뉴스가 하나 떴는데 정부가 공문서에 아래아한글의 문서형식인 HWP 대신에 공개문서형식(오픈도큐먼트)인 ODT를 쓴다는 뉴스다. 참고로 ODT는 ODF(Open Document Format) 형식 중 워드 형식(Open Document Text)에 해당하는 것으로 제목 그대로 해석하자면 아래아한글이 워드프로세스이고 여기서 사용하는 형식이 HWP이니 이것을 ODF의 워드파일인 ODT를 쓰도록 하겠다는 얘기다. 특정 기업, 특정 형식을 강요했던 정부, 공공기관의 문서 정책 현재 정부기관을 비롯하여 공공기관에서 사용하는 문서형식은 한글과컴퓨터(이하 한컴)에서 만든 한컴오피스 안의 워드프로세스 솔루션인 아래아한글이..
-
CJ헬로비전의 보안 미숙에 대한 안일한 대처. 이를 통해 살펴본 기업 보안의 핵심은 외부 보안보다는 내부 보안에 있는데..Security 2015. 1. 27. 09:46
페이스북으로 이런저런 글들을 보고 있는데 아래와 같은 기사가 하나 올라왔다. 보안관련 기사여서 좀 살펴봤는데 제목도 그렇고 내용도 그렇고 어이가 없는 기사다. CJ헬로비전, 고객정보 23만명 유출…"회수 완료" (디지탈타임즈) 솔직히 기자를 탓한 생각은 없다. CJ쪽에서 보내온 보도자료가 아마도 저랬을 것이며 제목 역시 내용보고 뽑았을테니 말이다. 하지만 좀 생각해봐야 할 것이 넘어간 고객정보를 회수했다는 표현 자체가 과면 맞는 것인가 하는 부분이다. 일단 넘어가면 원본은 여러 방식으로 복제되어 사용될텐데 어떻게 다 회수되었다는 것인지, 또 종이가 아닌 디지털 파일 형식으로 되어있을텐데 손쉽게 다량으로 복제가 가능한데 어떻게 회수했다는 것일까? 유출된 자료가 고객이름과 전화번호 뿐이라고 하지만 그것만을 ..
-
카드사 고객정보 유출 사건을 보면서 기업 내부에서 이제는 필요로 하는 내부 보안 시스템은 어떤 것이 있을까? (1부)Security 2014. 3. 3. 15:29
최근 카드사 고객정보 유출로 인해 수많은 사람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저 역시도 예전보다 더 많은 스팸문자들이 들어오는 것을 보고 내 정보도 유출되었구나 하는 생각을 했습니다(참고로 저는 이번에 문제가 되었던 농협카드, 롯데카드, 국민카드 사용자가 아닙니다만 유출된 듯 싶더라고요). 왜 이런 상황이 벌어졌는지, 그리고 이런 상황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깊이 생각해봐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일단 이런 상황이 연출된 원인은 유출한 사람의 도덕적, 불법적 행위, 즉 사람의 행위가 문제가 되고 그 행위를 하지 못하도록 도덕적, 윤리적, 보안적 인식을 갖도록 지속적인 교육을 하는 것이 우선시 되겠지만 그 교육, 계도와 병행으로 현재의 상황에서 어떻게 대처하는 것이 좋은지를 살펴보는 것도 중요하다고..
-
기업의 내부 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도입하는 DRM. 사용자는 불편을 느끼지만 기업에게는 어쩔 수 없는 방어책일 수 밖에 없는데..Security 2013. 7. 18. 07:51
DRM이라고 들어봤나요? Digital Rights Management의 약자로 한글로 풀어보면 전자 권리 관리입니다. 간단히 얘기해서 디지털 저작물 보호 및 관리를 의미하는 얘기입니다. 디지탈 저작권에 관련된 이야기라고 보면 될 듯 합니다. 오늘은 이 DRM에 대해서 얘기해볼까 합니다. 생각보다 DRM의 분야도 다양하고 알려진 부분 이외의 다양한 이야기들도 많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보통 알고 있는 DRM은 2가지라고 봅니다. 하나는 기업에서 사용하고 있는 문서를 저장할 때 보안을 걸어서 사용자 인증을 받지 못한 사람에게는 문서를 열람조차 못하게 하는 이른바 문서 DRM이라 불리는 문서 보안 솔루션이고 또 하나는 멜론, 도시락 등 음원 서비스에서 제공하고 있는 음원 DRM이라 불리는 디지탈 음원 보안 솔..
-
[세미나 안내] 젖과 꿀이 흐르는 저작권 컨퍼런스...Security 2010. 10. 14. 09:08
창작과 늘 대치되는 지점에 있는 것이 다름아닌 저작권이다. 원래는 창작과 저작권은 같은 선상에서 서로 함께 나가야 하는 것인데 이상하게 창작의 가장 큰 장애물로 저작권이 대두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잘못된 인식임은 분명하지만 제대로 된 저작권에 대한 인식이 없는 상황에서는 계속 이런 논란이 계속될 듯 싶다. 이런 가운데 인터넷 주인찾기 두번째 컨퍼런스가 진행된다. 저작권은 창작의 무덤이라는 좀 과격한 주제를 다룬다. 지인이 진행(?)하는 행사이기에 소개해볼까 한다. 시간만 맞으면 나도 가보고는 싶으나 저번 시즌 1과 마찬가지로 내가 움직일 수 없는 시간대인지라 관심있는 분들이 있을 듯 싶어서 소개한다. 참고로 본인이 지금 다니는 회사가 문서 및 컨텐츠 보안 솔루션(DRM)을 다루는 회사며 본인 역시 이..
-
스마트폰 증가. '모바일 오피스' 활상화 될까?Mobile topics 2010. 8. 17. 09:00
스마트폰이 활성화된 이후 개인이든 회사든 사용패턴과 함께 삶의 방향도 많이 바뀌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먼저 개인의 경우 스마트폰을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하여 생활에 도움을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간단하게는 메모관리나 일정관리부터 시작해서 해야 할 일 등을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관리하기도 하고 이메일을 주고받기도 합니다. 지도 서비스를 이용해서 내가 모르는 장소를 찾거나 대중교통을 이용해서 어떻게 목적지에 갈 수 있는지 알아낼 수 있으며 또 버스가 도착하는 시간을 체크하기도 합니다. 또한 무선 인터넷을 이용해서 온라인으로 신문을 읽고, 전자책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서 독서를 할 수도 있습니다. 트위터나 페이스북과 같은 SNS를 사용해서 지인과 소통을 하기도 하고 또 심심하면 게임도 즐길 수 있습니다. 이렇듯..
-
스마트폰의 확대로 각 기업, 개인 모바일 보안 중요Security 2010. 7. 26. 08:30
모바일 시장이 변화하고 있다. 과거 피쳐 폰을 중심으로 형성되던 모바일 시장이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는 것이다. 스마트폰이 과거에 없었던 것은 아니다. 삼성전자, HP 등을 중심으로 PDA 폰이라 불리는 스마트폰이 존재하고 있었으나 일부 매니아들, 혹은 일부 사람들을 중심으로만 사용하고 있어서 그 점유율이나 사용량이 모바일 시장에서 매우 미약했다. 하지만 재작년에 출시한 T*옴니아가 모바일 시장에 스마트폰 바람을 일으킬 준비를 하게 만들었고 작년 12월에 국내에 드디어 출시한 애플의 아이폰으로 인해 스마트폰은 이제 바람에서 태풍으로, 그리고 지금은 대세로 굳혀지고 있는 상황이다. 아이폰의 출시로 인해 올해 안드로이드를 탑재한 구글 폰들이 대거 출시되었고 또 출시를 준비하고 있는 상황이다. 스마트..
-
휴대폰의 발달로 시장에서 쫒겨날 처지가 된 5가지 디지탈 기기들이라..Mobile topics 2008. 11. 24. 16:00
휴대폰이 미운 5가지 IT 기기에 대한 글을 읽게 되었다. Five Gadgets That Were Killed by the Cellphone라는 Wired의 글인데 여기서 언급한 5가의 기기는 PDA, 카메라, UMPC, 유선전화, MP3P다. 그리고 다음으로 노트북도 같은 운명이 될 것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PDA PDA의 기능을 어디까지 한정해야 할 것인가에 따라서 틀리겠지만 대부분의 휴대폰에는 PDA 기능이 들어가있다. 여기서 말하는 PDA 기능은 PIMS(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을 의미한다. 일정관리와 전화번호부, 메모 등의 기능은 대부분의 휴대폰에 다이어리 기능과 전화번호부 기능으로 들어가있다. 물론 PDA에는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으..
-
휴대폰에서는 지원하지 못하는 DRM Free라..Mobile topics 2008. 7. 30. 17:08
좀 웃기는 상황이 연출되고야 말았다. 30일부터 DRM Free 음원을 내놓겠다고 하던 멜론과 도시락의 DRM Free가 휴대폰에서는 적용되지 않을 듯 싶다. 음악저작권업체들이 휴대폰의 DRM Free 정책에 반대하기 때문이다. 만약 MP3P나 PMP등의 멀티미디어 기기에는 DRM Free가 적용되고 휴대폰에는 그대로 DRM 정책이 적용된다면 DRM Free 정책은 말 그대로 반쪽짜리 정책밖에 안될 것이다. 음악저작권업체들은 휴대폰에서 음악을 들을 때 DRM이 적용되지 않은 일반 MP3 파일을 바로 들을 수 없도록 하는 지금의 방식을 계속 유지하기를 바라고 있다고 한다. SKT 서비스를 사용하는 휴대폰은 멜론 DRM이 적용된 파일만을 들을 수 있고 KTF 서비스를 사용하는 휴대폰은 도시락 DRM이 적용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