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MS
-
카카오은행의 주전산시스템 DBMS 구축 정책 중 탈 오라클 정책에 대해서.. (하지만 이변은 없었다 -.-)IT topics 2016. 4. 7. 10:09
* 밑에 추가로 언급을 했지만 카카오은행의 주전산시스템 DBMS가 오라클로 결정이 될 듯 싶다. (4/7 수정) 이제 본격적으로 인터넷전문은행의 본 인가를 향해 가는 듯 싶다. KT를 중심으로 하는 K뱅크와 카카오를 중심으로 하는 카카오은행의 실질적인 시스템 구축 방안들이 언론을 통해서 조금씩 나오고 있는데 흥미있는 내용들이 좀 보여서 나름대로 그냥 생각나는 부분만 내 생각을 적어보려고 한다. 카카오은행의 DB 인프라를 외산 DBMS인 오라클이 아닌 국내 DBMS, 혹은 오픈소스로 된 DBMS를 선택할 것이라는 뉴스가 나왔다. 그 동안의 국내 은행권의 메인 DB 인프라는 대부분 오라클 DBMS를 사용해왔다. 아무래도 오랜기간동안 기술을 축적해왔고 꾸준히 버전업이 된 오라클이 안정성 부분이나 성능 부분에서..
-
IBM Cloudant DBaaS 서비스의 특징 및 장점Cloud service 2016. 2. 1. 21:13
이 블로그를 통해서 몇번 IBM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클라우드 DB 솔루션인 Cloudant에 대해서 소개한 적이 있다. 간략하게 직접 써보고 후기를 써보기도 했다. IBM은 Cloudant를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에서 제공하기 때문에 DBaaS(Database as a Service)라고 정의하고 있는데 실제로 클라우드 환경 안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클라우드 서버에 데이터를 저장하기도 하지만 로컬 스토리지에 동기화 시킬 수 있는 기능도 있어서 양쪽에서 편한 접근 방법으로 DB 서비스를 제공받고 그에 맞는 서비스를 만들수 있다는 것이 Cloudant의 장점이라고 할 수 있을 듯싶다. 이제부터 간단하게 IBM의 DBaaS인 Cloudant의 특징과 장점에 대해서 얘기를 해볼까 한다. Cloudant는 ..
-
NHN, 국산 DBMS인 큐브리드 업고 자체 솔루션 성능향상에 나서다..IT topics 2008. 10. 2. 10:33
뭐 간단한 단상정도 되는 정보라겠지만 국산 DBMS 개발업체인 큐브리드를 NHN이 인수했다는 소식이다. NHN의 계열사인 서치솔루션이 큐브리드 지분 100%을 인수함으로 큐브리드는 NHN의 계열사로 편입된 것이다. 생각해보니 작년에 NHN이 큐브리드와 협력하여 네이버 및 인터넷 서비스용 DBMS를 개발한다고 했고 그 이후에는 계속 개발자를 모집하더니 NHN인 자체 DBMS 시스템 구축을 위해 그냥 가져와버렸다는 의미로도 해석할 수 있을 듯 싶다. NHN이 커스터마이징하기 귀찮고 AS도 짜증나는 외산 DBMS인 MySQL 대신에 국산 DBMS인 큐브리드를 가져감으로 MySQL이 있었던 자리를 대체시킬려고 하는거 같다는 생각도 든다. 자기네들 자체 솔루션이니 NHN 서비스에 맞게 커스터마이징이 쉽고 AS도 ..
-
MySQL, Sun에 팔리다.IT topics 2008. 1. 17. 10:15
Open Source Database로 유명한 MySQL이 선 마이크로시스템에 10억달러에 팔렸다는 소식이 들어왔다. Sun Picks Up MySQL For $1 Billion; Open Source Is A Legitimate Business Model (TechCrunch) 그동안 MySQL이 선에 팔린다는 소문은 꾸준히 돌았는데 선 마이크로시스템의 공식 홈페이지에서 그 내용을 드디어 확인할 수 있었다고 한다. Sun Microsystems Announces Agreement to Acquire MySQL, Developer of the World's Most Popular Open Source Database (Sun Microsystems Press Room) 선은 MySQL의 인수로 150억달..
-
MySQL의 습격「MS, 오라클 게 섯거라!」IT topics 2007. 12. 3. 10:16
좀 예전 기사이기는 하지만 나름 생각해볼 기사가 있어서 소개해본다. 물론 IT업종, 특히나 웹 서비스 관련 업종이 아닌 일반 엔지니어들은 그다지 큰 관심은 없을지도 모르겠다. MySQL의 습격「MS, 오라클 게 섯거라!」(ZDNet Korea) 아마도 국내에서 웹 서비스용 DB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를 얘기하자면 MySQL을 들 수 있을 것이다. 국내 웹 호스팅 업체 대부분이 채용하고 있으며 LAPM(Linux + Apache + PHP + MySQL)라는 무료 오픈소스 웹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있어서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 바로 MySQL이다. 이런 MySQL이 국내에 본격적으로 상용 지원 서비스를 갖춘다고 한다. 지사가 들어오는 것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