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Mob
-
왜 애플과 구글은 스마트폰을 통해서 개인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려는 것일까?Mobile topics 2011. 4. 25. 08:04
이번에 애플이 아이폰을 통해서 위치정보를 쭉 저장해왔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위치정보, 엄밀히 따지면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이슈들이 많이 나오고 있는 듯 보인다. 애플뿐만이 아니라 구글 역시 안드로이드를 통해서 구글 본사로 사용자들의 위치정보가 전송되고 있다는 내용도 밝혀지면서 아이폰, 안드로이드가 아닌 스마트폰 자체의 위치정보 저장에 대한 이슈로 번지고 있는 듯한 느낌이다. MS의 윈도 폰 7이나 노키아의 심비안은 어떨련지 모르겠지만 말이다. 여하튼간에 이런 개인정보에 해당하는 위치정보가 폰에 비밀스럽게 저장이 되던지, 아니면 클라우드를 통해서 구글 본사로 전송이 되던지 하는 일련의 모습들은 그동안 기업들이 개인정보를 통해서 뭔가 이득이 될만한 것들을 이끌어내려고 하는 수십년간의 행위가 지금도 여전히 이어져..
-
이제 아이폰에는 iAd 외에는 딴 광고를 붙이지 마! 애플의 새로운 개발자 조건..Mobile topics 2010. 6. 14. 09:08
애플은 WWDC를 통해서 iPhone 4와 iOS4를 세상에 선보였다. 하지만 다른 한쪽으로 새로운 개발자 조건(new developer terms)을 7일(월요일, 미국시간)에 발표한다. 새로운 개발자 조건에는 AdMob과 같은 다른 광고 플랫폼을 사용할 수 없도록 제한을 걸어뒀다. 간단히 말해서 iOS4와 함께 공개된 iAd 말고 구글의 AdMob과 같은 서드파티 광고 플랫폼을 사용하지 말라는 얘기다. 정확히 말하면 서드파티 광고 플랫폼을 사용할 수는 있지만 해당 서드파티 광고 플랫폼은 애플 제품에서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결국 애플은 애드몹을 앱스토어에서 퇴출시키기 위해 칼을 뽑았다고 생각하면 된다. 애플은 구글과 경쟁하며 모바일 광고 플랫폼인 애드몹을 인수하려고 많은 노력을 했다. 그런데 결국..
-
종교전쟁과 같은 아이폰, 안드로이드의 플랫폼 전쟁! 맘 편하게 즐기면 안되나?Mobile topics 2010. 5. 12. 11:50
이번에 NPD에서 미국에서 안드로이드의 판매량이 아이폰을 넘어섰다는 내용의 자료를 발표했고 여러 언론사들이 그 내용을 바탕으로 안드로이드가 미국에서 아이폰을 앞질렀다는 기사를 썼다. 국내에서도 여러 언론들과 블로거들이 그 기사들을 바탕으로 안드로이드의 선전에 대한 내용을 썼고 이로 인해 안드로이드 진영이 상당히 탄력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안다. 이 블로그를 통해서 애드몹 트래픽 데이터 기반의 자료를 바탕으로 안드로이드가 향후 대세를 이어나갈 것이라고 썼는데 같은 맥락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이런 기사와 반응에 대해서 일부 사람들이 내용을 제대로 알아야 한다, 안드로이드의 허상에 속으면 안된다 등의 반응을 보이고 있다. 물론 맞는 부분도 있지고 아닌 부분도 있기에 뭐라고 딱히 말할 부분은 못되는 듯 싶다. ..
-
아이폰을 넘어 스마트폰 시장을 이끌기 시작한 안드로이드?Mobile topics 2010. 5. 10. 08:40
3월 자료를 바탕으로 5월에 이런 얘기를 하는 것이 우습기는 하지만 보통 통계자료는 해당 월의 통계치를 대략 한달쯤 뒤에 발표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례인듯 싶으니 이 블로그 역시 그런 관례를 따르기 위해 애드몹이 발표한 3월 모바일 플랫폼 별 트래픽 통계를 좀 살펴보기로 했다. 이번 3월의 애드몹에서 발표한 모바일 플랫폼 별 트래픽 통계에서 기념비적인 일이 일어났기 때문이다. 위의 그래프는 미국의 스마트폰 플랫폼별 트래픽 점유율을 나타낸 것이다. 2009년 12월부터 2010년 3월까지의 내용인데 전체를 100%으로 보고 비교했을 때 2010년 2월까지는 아이폰이 스마트폰 트래픽들 중에서 가장 많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작년부터 시작해서 미국의 모바일 트래픽을 이끌고 있는 것이 아이폰이라는 뉴스는 계..
-
구글의 애드몹 인수에 제동을 건 FTC. 애플의 아이애드에 기회가?Mobile topics 2010. 4. 13. 11:50
구글이 모바일 광고 시장 확장을 위해 인수하려는 애드몹 인수가 쉽게 이뤄지지는 않을 듯 싶다. 뉴스를 보니 미국의 FTC(연방무역위원회)가 구글의 애드몹 인수에 대해서 제동을 걸려고 하고 있다고 한다. 이유는 구글의 온라인 광고 시장 독점을 우려해서라고 한다. 현재 구글은 미국에서 온라인 광고 시장의 대부분을 잡아드신 온라인 광고 시장의 거의 독점적 지위를 누리고 있는 기업이다. 구글의 애드센스와 애드워즈는 온라인 검색 광고 시장 뿐만 아니라 문맥 광고 시장까지 싹 다 잡수시고 있으며 구글이 인수한 더블클릭의 배너광고 역시 온라인 배너 광고 시장에서 1등을 잡수시고 계시다(^^). 그 뿐만 아니라 동영상 광고 시장에까지 그 영역을 넓히고 있으며 구글은 이번에 인수하려는 애드몹을 이용해서 모바일 인앱광고 ..
-
모바일 광고 시장까지 노리기 시작한 애플. 구글과의 경쟁은 계속되나...?IT topics 2010. 1. 12. 11:29
최근 애플이 모바일 광고회사인 쿼트로 와이어리스를 인수했다는 뉴스를 듣게 되었다. 쿼트로는 전세계적으로 100여개 국가에 광고를 제공하는 회사로 NFL, Time등 영향력이 큰 클라이언트를 갖고 있는 대형 광고회사다. 애플은 그동안 구글이 인수했던 애드몹 인수에 꽤 공을 들여왔다가 구글에 빼앗겼던 경험이 있다. 그래서 쿼트로 와이어리스를 애드몹 대신으로 인수한 듯 보인다. 그렇다면 애플은 왜 모바일 광고회사를 인수했을까? 뻔한 이야기다. 애플도 모바일 광고를 통해서 수익을 얻어보겠다는 생각이다. 전세계적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고 스마트폰 시장을 리더해나가고 있는 아이폰을 갖고 있는 애플로서는 플랫폼과 하드웨어를 제대로 수익에 연결시킬 수 있는 뭔가가 필요했다고 보여진다. 구글의 경우 광고수익이 수익..
-
모바일 디스플레이 광고 시장까지 노리는가! 구글의 애드몹 인수의 의미...IT topics 2009. 11. 17. 11:50
최근 구글은 모바일 광고 플랫폼 회사인 애드몹(AdMob)을 7억 5천만 달러($750,000,000)에 인수했다고 한다. 애드몹은 모바일 디스플레이 광고 서비스 업체로 우리가 흔히 아이폰용 어플에 붙는 배너 광고는 상당수가 애드몹에서 제공하는 광고 플랫폼이라고 보면 된다(트위터 클라이언트인 EchoFon의 무료 버전에 붙는 광고를 생각하면 이해가 쉬울 듯). 그렇다면 구글은 왜 애드몹을 인수했을까? 구글이 생각하기에 이제 모바일에서의 본격적인 광고시장 전쟁을 시작하려고 하는 것일까? 구글은 모바일 애드센스 플랫폼을 갖고 있다. 구글 모바일 검색을 사용하면 검색결과에 모바일 애드센스가 붙어서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모바일 검색광고와 같은 택스트 중심의 문맥광고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고 이것으로도 ..
-
아이폰, 온라인 광고 매칭 No.1 휴대폰으로 선정 (AdMob 리포트)Mobile topics 2008. 11. 20. 10:14
매월 AdMob(a mobile advertising network)이라는 회사에서 전세계 6000여개의 모바일 웹사이트와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조사를 한다. 그리고 그 결과를 Mobile Metrics Report라는 리포트로 정리해서 발표한다. 이번 10월달 리포트에서는 애플의 아이폰이 가장 잘 나가는 스마트폰으로 선정되었다. 참고로 이 리포트에서 나오는 랭킹은 휴대폰의 판매량을 측정한 것은 아니다. 모바일 웹사이트와 어플리케이션에서 해당 제품에 대한 광고 노출 수, 클릭수, 댓글 등의 데이터를 집계한 것이다. 그렇지만 이것은 향후에 휴대폰의 진행방향을 가늠하는데 좋은 참고자료가 될 수 있다. 이후의 데이터는 AdMob 리포트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작성된 부분임을 먼저 생각하면 된다. Worldwid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