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블로그
-
매력적인 팀블로그. 하지만 감수해야 할 것들도 많은데...Blog 2009. 4. 8. 06:33
최근 1~2년 사이에 국내 블로고스피어는 비약적으로 발전했다고 생각이 든다. 퀄리티 면으로는 잘 모르겠지만 적어도 규모면에서는 상당한 성장을 했다고 할 수 있다. 뭐 작년에 이미 싸이월드 미니홈피의 개수보다 블로그 개수가 더 많다라는 얘기도 나왔고 블로그를 이용한 미디어 사이트들도 많이 나온 상태이기에 확실히 양적 성장은 제대로 이뤘다는 생각이 든다. 이렇게 규모면으로 성장하다보니 다양한 성격의 블로그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그 중에 하나가 바로 팀블로그다. 이미 해외에서는 블로고스피어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블로그 타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 블로그에서 자주 소스로 애용하는 태크크런치나 인가짓 같은 사이트가 바로 팀블로그다. 그것도 일반 팀블로그가 아닌 기업형 팀블로그로 거의 언론사닷컴 수준의 ..
-
팀블로그와 블로그 네트워크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Blog 2009. 2. 22. 16:48
일전에 소규모 블로그 네트워크 구성에 대한 글을 쓴 다음에 이런저런 피드백들을 많이 받았는데 가장 많이 나오는 얘기가 팀블로그와 블로그 네트워크의 관계에 대한 부분이었다. 내 이야기는 블로그끼리 더 진득하게 뭉치기 위해서 서로의 최신 글들을 교환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자는 것이었는데 팀블로그로 그것이 가능하지 않겠느냐라는 이야기다. 일단 블로그 네트워크와 팀블로그의 차이점을 먼저 생각해봐야 할 듯 싶다. 블로그 네트워크는 말 그대로 개개인의 블로그가 어떤 방식으로든 연결되는 것을 뜻한다. 그것이 링크가 되었건 아니면 어떤 회사에 소속되었건간에 개개인의 블로그가 어떤 방식으로든 연결되는 것이 블로그 네트워크다. 그런 의미에서 이글루스나 네이버 블로그, 티스토리 블로그 들은 각기 이글루스, 네이버, 티스..
-
한국적인 블로그와 해외 블로그의 차이?Blog 2007. 6. 4. 14:07
블로그는 1인 미디어 시스템이다. 블로거가 스스로 기자가 되고 작가가 되면서 동시에 편집장의 역할까지 다 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 툴이 바로 블로그다. 이런 부분이 2000년대 초에 유행했던 개인 홈페이지와의 차이점이 아닐까 싶다. 가장 최근의 올린 글이 가장 먼저 나타나는 형식인데다가 디자인에 구애받지 않고 운영할 수 있다는 편리성까지 갖춘 CMS(Contents Management System)로서 최고의 기능을 갖춘 것이 블로그가 아닐까 싶다. 거기에 RSS를 이용한 컨텐츠 배급력까지 갖춰서 아마도 최고의 개인 컨텐츠 관리 시스템(PCMS : Personal Contents Management System)이 아닐까 싶다. 해외(미국, 유럽 등 서구권)에서 블로그는 전문성을 인정받는 미디어 시스템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