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속 인터넷
-
KT의 삼성 스마트TV 인터넷 접속 제한 조치. 망중립성을 무시하는, 그리고 인터넷 망을 볼모로 하는 KT의 편파적인 무리수는 과연 언제까지?IT topics 2012. 2. 14. 08:30
요즘 삼성전자와 KT가 스마트TV 때문에 싸움을 하고 있다. 엄밀히 따지면 스마트TV에서 발생하는 트래픽으로 인한 인터넷 망 사용료 지불을 두고 각기 다른 해석을 내놓으면서 싸우고 있는 것이다. KT는 스마트TV가 인터넷 트래픽을 유발하고 있으며 컨텐츠를 통해서 수익을 얻고 있기 때문에 망 사용료를 지불해야 한다는 것이고 삼성전자는 스마트TV는 스마트폰이나 PC와 같은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단말기일 뿐이며 삼성전자는 단말기를 판매할 뿐 내부의 컨텐츠를 통한 수익은 컨텐츠 개발자에게 돌아가는 것이기 때문에 망 사용료 지불은 말도 안되는 일이라고 맞서고 있다. 결국 KT가 스마트TV의 인터넷 접속을 막아버림으로 감정 싸움은 극으로 치닫고 있는 듯 싶다. KT가 주장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스마트TV는 HD급..
-
SKT를 사용하는 가족만 묶어도 되는 결합상품, 'TB끼리 온가족 무료'Mobile topics 2010. 10. 14. 16:54
요즘 유무선 결합상품이 붐인가보다. SKT, KT, LGT 등 모든 이통사들이 다 유무선 결합상품을 내놓으면서 마케팅에 집중하고 있다. 이동통신 상품을 쓰면서 좀 더 저렴하게, 그리고 편리하게 초고속 인터넷을 사용한다던지 아니면 집전화를 사용한다던지 하는 방식이다. 휴대폰도 쓰고 집전화도 쓰고 초고속 인터넷도 쓰는 가정의 경우 한번 쯤 생각해볼만한 상품들이 많이 나오고 있다. LGT는 '온 국민은 요!(yo)'라는 결합상품을 선보였다. 사용자와 가격을 지정한 다음 가격 범위 안에 전체 금액이 들어가면 지정한 가격만 내는 상품이다. 전화를 많이 사용하는 가족들이 많으면 그만큼 혜택이 많다고 얘기가 전해진다. KT는 QOOK 퉁, SHOW 퉁, olleh 퉁이라는 결합상품을 내놓았다. QOOK 퉁은 집전화(..
-
휴대폰 무선인터넷을 이용한 포탈서비스, 이제는 속도가 생명이다!Mobile topics 2008. 9. 26. 09:54
모바일 기기(휴대폰, 스마트폰, 무선인터넷이 지원되는 PDA, PMP 등)로 국내 포탈사이트에 접속하면 상당히 답답함을 많이 느끼게 된다. 모바일 웹페이지로 접속해도 마찬가지다. 뭐랄까 상당히 느리고 짜증이 난다. 모바일이라는, 또 무선인터넷이라는 환경적인 요인을 감안하더라도 느리고 답답해서 짜증나는 것은 어쩔 수 없는가보다. 네이버를 비롯한 다음, 파란과 같은 포탈서비스를 휴대폰의 무선인터넷을 통해서 접속할 때 가장 큰 문제점은 다름아닌 로딩속도다. 웹페이지가 다 뜨는데 들어가는 시간이 엄청나서 사용자들이 답답해하고 이미 초고속 인터넷으로 PC나 노트북 상에서 무지 빠른 로딩에 익숙해져있기에 서로 비교를 하며 휴대폰을 이용한 무선인터넷의 사용이 점점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당연히 휴대폰에서의 무선인터..
-
아마존, 이제는 TV와 영화 서비스로 안방을 노리나..IT topics 2008. 7. 18. 21:35
아마존이 파격적인 시도를 한다. 아마존 밀림이 아닌 미국의 유명 쇼핑사이트인 아마존닷컴을 얘기하는 것이다(^^). 그동안 음반이나 책, 가전기기 등 쇼핑몰 역할에 치중했던 아마존이 이번에는 TV 프로그램과 영화 등의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한다. 이름은 아마존 주문형 비디오(Amazon Video on Demand)이다. 아마존은 이미 Unbox라는 동영상 다운로드 서비스를 선보인적이 있다. Unbox 다운로드 서비스는 TV 프로그램이나 영화를 빌리거나 살 수 있는 서비스다. 즉, 다운로드할 때 빌리는 경우에는 기간제한을 걸어서 기간동안만 시청할 수 있도록 하고 사는 경우에는 무제한으로 시청할 수 있도록 제한을 풀어버리는 방식인듯 싶다. 아마도 DRM 기술을 적용해서 제한을 두지 않았을..
-
IT 경쟁력 세계 3위를 자랑하는 한국, 이제는 소비에서 생산으로..IT topics 2007. 7. 14. 01:00
각 나라별 IT 산업의 경쟁력 순위가 발표되었다. 최근 이코노미스트가 60여개의 나라를 대상으로 IT 산업 경쟁력을 조사해서 IT industry competitlveness index라는 보고서를 발표했는데 그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미국, 일본에 이어서 IT 경쟁력이 3위로 마크되었다고 한다. 한국, IT 경쟁력 세계 3위 (ZDNet Korea) Index ranks IT industries by nation (CNetNews.com) 전체 순위를 먼저 보면 1위가 미국, 2위가 일본이고 한국이 3위에 마크되어 있다. 그리고 그 뒤로 영국, 호주, 대만 순으로 마크되어있다. 점수도 함께 공개되었는데 점수는 국내 기업 환경, IT 인프라, 연구 개발 노력과 같은 요인에 대해 1점부터 100점까지 점수..
-
인터넷 코리아, 너 떨고 있니?IT topics 2007. 6. 1. 13:46
비슷한 이야기를 여러번 언급했고 블로고스피어에서도 종종 다루어진 내용이기는 하지만 미디어칸에서 약간 정리해서 글을 쓴 것을 봤다. 인터넷 코리아, 너 떨고 있니? (인터넷 경향신문 - 미디어 칸) , [김중태문화원] 여기서 언급하고 있는 인터넷 코리아의 위기의 원인으로 다섯가지를 얘기했다. 다섯 가지 위기징후 1 기반기술과 철학 다지지 못해 2 인터넷산업 포털중심 다양성 상실 3 포털, 폐쇄적인 자신의 성만 구축 4 사용자는 정보의 소비자로 전락 5 웹혁명, 소수 전문가만 열광대략적으로 보면 다음과 같다. 첫번째는 기초가 되는 기술을 다져야 하는데 한국은 '세계 최초, 세계 최고'라는 자만심으로 인해 그런 부분에 소홀했다는 점이다. 맞는 말이다. 한국은 모든 IT관련 시험장이 되어있는 상태다. 세계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