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익스플로러
-
ActiveX 방식과 그 대안 방식인 EXE 방식의 문제점에 대한 고찰Security 2017. 7. 12. 07:30
현 정부가 들어서기 전에 문재인 대통령이 후보 시절에 대선 공약으로 공공웹서비스에서 공인인증서와 ActiveX를 없애는 방향으로 나가겠다는 내용을 발표했던 적이 있다. 물론 어떻게 없애겠다는 구체적인 내용은 나오지 않았지만 그 공약만으로 많은 사람들이 만세를 외친 것 같았다(뭐 내 주변에서도 그러니). 그리고 최근에 공공웹사이트에서 ActiveX의 대체 기술로 EXE 방식을 일단은 이용하겠다는 뉴스가 나왔다. ActiveX란? 일단 공인인증서와 ActiveX를 동일하게 생각하는 잘못된 생각은 버리고.. ActiveX에 대해서 먼저 알아야 할 부분이 ActiveX는 웹브라우저를 플랫폼으로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이라고 보면 된다. 원래는 ActiveX는 인터넷 익스플로러(IE)라는 MS에서 윈도 OS 기반으로..
-
ActiveX와 공인인증서! 그 역사적(?)인 배경과 앞으로의 대응 방법은?Security 2012. 12. 24. 08:00
최근 대선주자들의 IT 정책들 중에서 이런저런 정책들이 많이 나오고 있는데 그 중에서 눈에 띄는 정책이 있어서 좀 얘기를 해볼까 한다. 대통령 후보에서 사퇴한 안철수 박사는 IT 정책 공약으로 ActiveX 폐기(?)와 공인인증서 제도 폐지를 꺼냈다. 그리고 문재인, 안철수 단일화 이후에 이 정책은 고스란히 문재인 민주당 후보의 IT 공약으로 넘어가게 된다. 즉, 문재인이 대통령에 당선되면 현재 개인인증방법으로 쓰이고 있는 공인인증서 제도와 그동안 이래저래 말이 많았던 ActiveX는 내년부터 5년 안에 사라지게 될 상황에 놓인 것이다. 박근혜 새누리당 대통령 후보가 당선이 되었으므로 아마도 공인인증서와 ActiveX는 계속 살아남지 않을까 생각이 된다. 하지만 지금과는 분명히 다를테니 그런 것을 생각하..
-
대한민국의 인터넷 서비스의 질을 퇴보시키는 구시대 악습의 카르텔. 깨기 위해서는 큰 틀에서의 투자가 필요한데...Security 2012. 6. 29. 12:00
이 글은 전에 소개했던 남성잡지인 '에스콰이어' 6월호에 실린 글입니다. 원본을 공개합니다. 잡지에 실린 내용은 약간의 편집이 들어가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인터넷을 통해서 뭔가 물건을 사기 위해 컴퓨터를 켜고 인터넷 쇼핑몰에 들어가면 가장 먼저 뜨는 것이 뭔가를 설치하라는 다이얼로그 박스일 것이다. 쇼핑몰에서 뭔가를 사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설치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원하는 물건을 살 수 없기 때문이다. 인터넷 쇼핑몰에 들어와서 원하는 물건을 선택했고 그것을 사기 위해 결재를 시도하면 또 보안 플러그인을 설치하라고 다이얼로그 박스가 뜬다. 결재까지 끝난 다음에 웹 브라우저의 플러그인 검색을 살펴보면 하나의 사이트를 이용하기 위해 꽤 많은 보안 플러그인, 화면 지원 플러그인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볼 ..
-
왜 한국의 인터넷 뱅킹은 윈도 기반의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만 동작할 수 밖에 없었을까?Security 2012. 4. 18. 08:59
며칠 전에 지인과 메신져로 얘기한 내용들 중에서 왜 한국의 인터넷 뱅킹은 윈도 기반에 인터넷 익스플로러(IE)에서만 사용할 수 밖에 없게 되었을까라는 부분이 있었다. 요즘은 다양한 웹브라우저에 윈도 뿐만이 아니라 리눅스나 맥과 같은 타 OS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 환경인데 인터넷 뱅킹이나 관공서, 쇼핑몰 사이트는 윈도 기반에 IE에서만 동작하는 경우가 많아서 왜 그렇게 될 수 밖에 없었나에 대한 얘기를 좀 나눴다. 개인적으로는 보안업계에서 7~8년정도 있었기 때문에 지금의 이런 현상이 나올 수 밖에 없는 배경에 대해서 어느정도는 알고 있다. 그리고 그 배경을 설명해줬는데 지인은 꽤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해서 고마워하더라(나중에 저녁이나 얻어먹어야겠다 -.-). 그래서 오늘은 그때 지인과 한 이야기를 정리해..
-
Internet Explorer 9, 웹의 아름다움에 눈을 뜨게 해 줄수 있을까?IT topics 2010. 9. 23. 10:34
2010년 9월 17일 새벽 3시(미국 시간 오전 10시)에 전세계적으로 마이크로소프트의 차세대 웹브라우저인 인터넷 익스플로러 9 베타버전(이하 IE9)이 발표되었다. IE8 이후에 1년정도가 지난 시점에서 나온 차세대 MS의 웹브라우저다. 모질라의 파이어폭스4, 구글 크롬6와 더불어 향후 웹브라우저 경쟁을 치열하게 하게 될 MS의 차세대 웹브라우저를 17일 당일에 있었던 블로거 간담회를 통해서 살펴볼 수 있었다. MS는 IE9을 아래의 원칙(?)에 따라 만들었다고 한다. - 미래의 Web을 담을 수 있어야 한다. - 브라우저 보다는 웹사이트가 부각될 수 있어야 한다. - PC 하드웨어 성능을 100%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 그리고 안전해야 한다. 그리고 IE9은 Beauty of the Web이라..
-
[NT-N150-2010] N150 아디다스 스페셜에 잘 어울리는 웹브라우저는?Review 2010. 7. 11. 09:25
NT-N150 아디다스 스페셜(이하 N150)과 같은 넷북을 쓰다보면 아무래도 아톰이라는 넷북용 프로세서의 성능이 기존 데스크탑 프로세서에 비해 상대적으로 떨어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인지라 기본적인 작업 외에는 잘 못하게 된다. 웹브라우저를 이용한 웹서핑과 MS 오피스나 아래한글 정도의 문서작업 정도가 전부랄까? 동영상이나 음악감상도 충분히 할 수 있기에 간단한 컴퓨팅 작업은 할 수 있지만 그래픽 작업과 같은 무거운 작업은 못한다고 봐야 할 것이다. 또한 웹서핑 역시 웹브라우저의 성능에 따라서 잘 할수 있고 없고가 가려지는 부분도 있다. 오늘은 과연 어떤 웹브라우저가 N150에 어울릴지 살펴볼까 한다. 윈도가 탑재된 PC(그게 넷북이 되었건, 울트라씬이 되었건, 일반 노트북이 되었건간에)에는 무조건 설치되..
-
구글 크롬, 애플 사파리를 잡고 파이어폭스를 뒤쫓다... (그런데....)IT topics 2009. 12. 21. 08:28
데스크탑 웹브라우저 시장에서 구글 크롬이 애플의 사파리를 제치고 전체 3위를 차지했다고 한다. 통계조사회사인 넷어플리케이션즈는 12월 2주차(12월 6일부터 12일까지) 웹브라우저 사용률을 조사했더니 구글 크롬이 4.4%로 애플의 사파리의 4.37%를 제치고 파이어폭스에 이어 전체 3위를 차지했다고 컴퓨터월드가 전했다. 구글이 12월 8일에 맥과 리눅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구글 크롬 베타 버전을 내놓았는데 그 영향으로 점유율이 올라갔을 것이라는게 컴퓨터월드의 이야기다. 일단 전체 1등은 여전히 MS의 IE다. 63.6%로 아직까지도 웹브라우저 시장의 맹주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계속 점유율은 떨어지고 있는 추세이지만 말이다. 2등은 24.7%를 차지하고 있는 모질라 재단의 파이어폭스(FF)다. FF도 이..
-
불여우(파이어폭스) 탄생 5주년이 갖는 웹브라우저 시장에서의 의미는...IT topics 2009. 11. 14. 09:00
지난 11월 9일은 전세계적으로 사랑받는 웹브라우저인 파이어폭스가 탄생한지 5주년이 되는 날이었다. 2004년 11월 9일에 파이어폭스 1.0이 출시되었다. 그리고 지금은 파이어폭스 3.5가 나왔고 3.6 베타 버전이 나오고 있으며 내년 초에 3.6 정식버전이 나올 것이라고 한다. 모질라 재단에서 만들고 있는 모질라 웹브라우저 기반의 파이어폭스는 한때 인터넷을 호령했던 웹브라우저인 넷스케이프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물론 소스의 기반은 다르지만 컨셉은 넷스케이프에서 파생되었다고 봐도 좋을 듯 싶다(물론 넷스케이프는 파이어폭스 2.0이 나올때까지도 같이 AOL을 통해서 나오고 있으며 지금도 사용하는 사람이 있다). 넷스케이프가 MS와 웹브라우저 전쟁에서 패한 이후 IE6의 천하통일 세상이 수년간 지속되다가 ..
-
여전히 웹브라우저의 강자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하지만 경쟁자들도 만만치 않은데..IT topics 2009. 10. 18. 09:00
아직까지도 전세계에서 가장많이 사용되는 웹브라우저는 MS의 인터넷 익스플로러(IE)인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조사서비스인 넷어플리케이션즈에서 통계를 낸 결과가 그렇다. 넷어플리케이션즈의 통계는 웹브라우저 뿐만 아니라 플랫폼의 점유율도 나름 신뢰성있게 조사해서 통계를 내준다. 넷어플리케이션즈의 통계결과를 보면 IE가 65.7%로 여전히 5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는 거의 95% 이상이 IE를 사용하는 우리나라가 꽤나 한몫 했을 법 싶다. 다음으로는 꾸준히 20% 이상을 차지하는 파이어폭스(23.75%)가 차지했다. 애플의 사파리 역시 맥이 조금씩 되살아난 것과 동시에 모바일쪽에서의 아이폰의 선전으로 4% 정도를 차지해 3등을 마크했다. 무엇보다 눈에 띄는 것은 구글 크롬의 3%와..
-
가장 좋은 웹브라우저는 크롬? 5대 대표 웹브라우저 성능비교IT topics 2009. 10. 17. 09:30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웹브라우저의 성능은 어느정도 차이가 날까? 한국에서야 거의 MS의 인터넷 익스플로러(IE)가 대세를 이루며 메인 웹브라우저로 사용하고 있는 추세다. 뭐 전세계적으로도 아직까지는 IE가 50% 이상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가장 많이 사용하는 웹브라우저로 자리잡고 있다. 하지만 국내와 달리 해외에서는 파이어폭스(FF), 구글 크롬, 오페라, 사파리와 같은 비 IE 계열 웹브라우저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마루님의 블로그인 디자인로그에서 재미난 글을 봤기에 한번 관련된 내용을 적어볼까 한다. 웹 개발 및 웹 디자인에 유용한 정보를 종종 전달해주는 식스 리비젼스(Six Revisions)에서 메이저 웹브라우저의 성능 비교를 했다고 한다. 비교 대상 웹브라우저는 IE8, FF3.5, 크롬 3, 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