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
WWDC 14에서 선보인 OS X Yosemite. 더욱 막강해진 맥이 온다..IT topics 2014. 6. 11. 05:02
이번 WWDC 14에 대한 평가는 어떻게 보면 극과 극으로 나뉘는 듯 싶다. 일반인 입장에서 새로운 하드웨어가 나오지 않았다는 점에서 실망했다는 평가가 있는 반면 개발자 입장에서 맥을 이용한 다양한 개발방식, 개발 툴, 그리고 모바일 보다는 맥 본연의 OS X에 대한 기대를 충족시켜줬다고 극찬하는 평가도 존재한다. 뭐 입장이라는 것이 다 다를테니까 말이다. 내 경우에는 후자에 더 높은 점수를 주는 편이다. 솔직히 아이폰6가 나오기를 바랬지만 그게 안나왔더라도 이번 WWDC에서 선보인 새로운 OS X 버전인 요세미티(Yosemite)에 대한 내용만 봐도 무척이나 알찬 WWDC였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WWDC에 대한 내용은 광파리님께서 정리한 내용을 보면 자세히 알 수 있으니 아래의 URL들을 참고..
-
WiFi Alliance가 제시하는 핫스팟 프로그램과 WiFi Direct..Mobile topics 2011. 5. 16. 14:31
최근 WiFi와 3G의 말도 안되는 경쟁아닌 경쟁이 TV CF를 통해서 벌어지고 있기는 하지만 WiFi의 속도 및 퍼포먼스는 결코 무시할 수 없다는 것은 누구나 다 인정하는 바다. 연결된 유선 랜 속도에 비례해서 확보되는 속도는 아무리 WCDMA가 빨라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넘을 수 없는 넘사벽이라는 얘기가 된다. 물론 무선 AP에 접속된 접속자 수에 따라서 그 성능이 결정되는 부분도 있기는 하지만 이는 기지국에 접속된 사용자 수에 따라서 성능이 결정되는 3G(WCDMA) 역시 마찬가지이기에 접근 조건은 비슷하다고 봐야 할 것이다. 최근 WiFi Alliance에서 다양한 WiFi 인증 프로그램을 갖고 한국에 찾아왔다. 핫스팟 인증 프로그램부터 시작해서 WiFi DIrect, WiFi Display, VH..
-
TV의 미래, 스마트TV에 대한 삼성전자의 스마트TV는 어떤 것일까?Mobile topics 2010. 10. 21. 12:13
요즘들어 IT 세계에서 화두는 단연 스마트TV가 아닐까 싶다. 스마트폰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그 컨셉을 그대로 TV에서 도입해서 이른바 스마트TV라는 개념으로 새로운 스타일의 TV가 나오기 시작한 것이다. 올해를 시작으로 앞으로는 3D TV와 스마트TV가 대세를 이룰 것이라는 많은 전문가들의 이야기가 나오고 있으며 각 제조사들은 여전히 집안의 중심으로 자리잡고 있는 TV를 어떻게 하면 더 확장시킬 것인가에 대해서 연구할 것임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최근 구글이 구글TV라는 스마트TV의 개념으로 서비스에 대한 컨셉을 밝혔고 애플은 iTV라는 셋탑박스 형식의 나름대로의 TV 확장모듈을 발표했다. LG도 스마트TV의 개념을 도입한 제품을 선보이기 시작했으며 삼성 역시 마찬가지다. 오늘 소개할 내용은 삼성에서..
-
소셜을 강화함으로 네이버 제국을 더 강화시키려는 네이버의 하반기 전략!IT topics 2010. 9. 30. 10:09
9월 28일. 네이버는 블로거들과 네이버 카페 관계자들에게 2010년 네이버 하반기 전략에 대해서 설명하는 시간을 가졌다. 많는 블로거들(특히 내 주변에 있었던 블로거들)이 왜 내가 초대되었을까 하는 의문을 가지기는 했지만 네이버의 앞으로의 전략에 대해서 잘 생각할 수 있는 기회가 되어서 나름 유익한 자리였다는 생각이 든다. 아무리 구글, 페이스북, 트위터 등의 해외 서비스가 국내에서 강세를 보이고는 있지만 네이버가 갖고 있는 영향력은 적어도 한국 안에서는 절대적이기 때문에 말이다. 네이버의 올해 하반기 전략은 소셜 서비스에 집중 투자한다는 것 같았다. 2010년 12월에 선보일 2개의 서비스와 기존에 인수해서 서비스하고 있는 미투데이(me2DAY)까지 합쳐서 3가지의 소셜 서비스를 통합하여 선보인다는 ..
-
페이스북과 트위터. 비슷하면서도 목표가 다른 SNS의 강자들...IT topics 2009. 11. 10. 21:34
페이스북과 트위터. 이 두 서비스의 공통점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라는 점이다. 지인들과의 연결을 고리로 자신의 영역을 넓히고 그 안에서 소통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이 두 서비스는 공통점을 지닌다. 그리고 이 두 서비스는 이제 SNS 영역에서 가장 파괴력이 있는 서비스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기존의 인터넷 시장을 뒤흔들 정도로 말이다. 전세계 No.1 SNS, 페이스북 페이스북. 말할것 없는 전세계 No.1 SNS다. 마이스페이스를 누르고 미국에서마저 No.1을 차지함으로 전세계적으로 가장 사용자가 많은 SNS로 성장했다. 그리고 그 성장세는 지금도 계속 이어지고 있다. 참으로 무서울 정도로 커지고 있다는 얘기다. 대학교에서 대학생들끼리 서로의 연결을 통해 이야기를 나누고 사진이나 동영상을 공유하기 위해 만들..
-
트위터에서 트윗으로 SNS의 미래를 논하다! 페이스북, 트위터의 미래는?IT topics 2009. 10. 6. 11:50
예전에 페이스북과 미투데이, 그리고 트위터에 글들이 모두 같이 올라오는 트위터 공동화(?)에 대해서 조금은 우려하는 내용의 글을 올린 적이 있다. 그리고 트위터에도 비슷한 성격의 트윗을 2건을 날렸다. 며칠 전 트윗이라 찾기 힘들었는데 다음과 같은 내용이었다(이거 찾느라 pbtweet+를 적용한 구글 크롬의 twitter 웹을 계속 스크롤해서 찾았다. 정말 찾기 힘들었다. 아래의 모든 트윗도 다 같은 방법으로 찾았으며 맨 앞의 ID를 클릭하면 해당 트윗으로 가도록 링크를 걸어웠다). jjoony1 : 페이스북과 미투데이, 트위터가 모두 하나로 짬뽕되어가고 있는 생각이 든다. 페이스북과 트위터에 같은 내용을 올리고 twi2me 서비스로 미투데이에 트위터 내용을 자동으로 넘긴다. 그 중심에는 트위터가 있다...
-
블로그의 규모를 키우고 싶다면 소규모 블로그 네트워크를 시도해보자.Blog 2009. 2. 20. 14:15
요즘 프로 블로거라는 책을 읽고 있다. 데런 로즈가 만들고 블칵의 주성치님이 번역한 책인데 주성치님 블로그의 이벤트에 당첨(^^)되어서 책을 받았다. 평소에 읽고 싶었던 책인데 딱 좋은 타이밍에 이벤트에 당첨되어서 즐겁게 읽을 수 있게 되어서 다행이다. 뭐 이 프로 블로거라는 책은 ProBlogger.net이라는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는 프로 블로거인 데런 로즈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블로그를 통해서 어떻게 수익을 얻을 수 있는가에 대한 내용을 담은 책이다. 최근 블로그마케팅이나 블로그 네트워크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는 때에 흥미있는 내용들이 많은 책이라 생각이 든다. 뭐 수익을 내는 방법은 여러가지겠지만 일단 블로그를 통해서 수익을 내기 위해서는 많은 트래픽이 있어야 한다는 것은 기본이다. 물론 쓸..
-
트랙백, 블로그간의 소통의 키워드Blog 2008. 5. 22. 17:11
오늘 이명박 대통령이 대국민담화를 발표했다. 내용을 보자면 국민과의 소통 부재로 국민에게 심려를 끼쳐서 죄송하고 한미FTA가 조속히 국회에 의결되기를 희망한다는 내용이다. 여러 언론에서는 대통령 취임 3개월밖에 안되었는데 벌써 담화를 발표하고 고개숙이는 모습을 보며 빨리 대통령이 제정신 차리길 원한다고 하고 있다(물론 조중동을 비롯한 경제지 등 보수언론(이라 칭하지만 꼴통언론이라 부른다)들은 야당 잘못으로만 몰고가고 있지만 말이다). 이렇듯 대국민담화의 주제는 국민과의 소통과 한미FTA 비준이다. 뭐 이런 이야기를 쓸려고 하는 것은 아니고. 대통령도 국민과의 소통이 중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당연한 이야기다. 살아가는데 있어서 상대방과의 원활한 소통은 필수라 할 수 있겠다. 이러한 소통은 실생활에서 뿐만 ..
-
왜 사람들은 SNS에 열광을 할까?IT topics 2007. 12. 3. 13:47
개인적으로 웹2.0에 관심을 많이 갖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블로그를 하면서 웹2.0 관련 자료들을 모으기도 하고 신문기사나 웹 칼럼, 관련 서적을 보면서 전반적인 웹2.0에 대한 지식을 넓히고 있는 상황이다. 물론 그 이유중에는 웹2.0에 관련된 부분에서 사업 아이템을 하나 만들어내서 내 나름대로의 서비스 사업을 해보고 싶다는 생각도 있다. 하지만 그 전에 먼저 왜 사람들이 웹2.0에 열광을 하며 기존의 웹1.0과는 어떤 차이점이 보이기에 이리도 사람들의 관심이 몰리는 것일까 하는 의문이 생겨서 이래저래 조금씩 공부하고 있는 상황이다. 웹2.0 시대를 지내면서 한가지 느끼는 점이 있다면 이것이다. 웹2.0이 낳은 대표적인 히트작으로는 블로그와 UCC가 있을 것이다. 원래 UCC 안에 블로그도 포함되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