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후
-
버라이즌의 야후 인터넷 부문 인수 소식을 들으며..IT topics 2016. 7. 30. 20:49
며칠 전에는 손정의의 소프트뱅크가 영국의 칩셋개발회사인 ARM을 인수하더니 최근에는 미국의 이동통신사인 버라이즌 와이어리스가 야후의 인터넷 부문을 인수하겠다는 뉴스가 나왔다. 또, 좀 된 뉴스지만 MS가 인간관계형 SNS인 LinkedIn을 인수했다는 소식도 있었다. 올해 들려온 IT 기업들간의 빅딜, 대형 M&A 소식이 끊이지 않는데 그만큼 과거의 IT 세계의 영향력이 지금과 다르고 많이 변했다는 얘기다. 영원한 강자도 없고 이 세계에서의 롱런이 얼마나 힘든지를 잘 보여주는 예시라는 생각이 든다. 영원한 강자가 없는 인터넷 시장 야후의 인터넷 부문 매각은 어찌보면 이미 예견된 일이었다. 과거 MS가 야후를 인수하려고 했다가 안되었을 때도 그랬고 구글 출신의 마리사 메이어가 CEO가 된 이후 텀블러,..
-
5년만에 다시 미국 방문자수 1등을 차지한 야후. 마리사 메이어의 노력이 빛을 보는 순간인가?IT topics 2013. 8. 27. 13:42
최근 재미난 뉴스를 하나 봤다. 미국의 홈페이지 방문자 수 통계에서 그동안의 부동의 1등이었던 구글을 제치고 야후가 1등을 차지했다는 뉴스였다. 미국의 시장조사업체인 컴스코어의 2013년 7월 통계자료에 의하면 야후는 1억 9600만의 순방문자를 기록해 1억 9200만의 순방문자를 기록한 구글을 밀어내고 방문자수 1등을 차지했다고 한다. 이런 상황에 대해서 야후의 반격이라는 평가가 많은 것이 사실이기도 하고 말이다. 실제로 작년에 야후의 CEO가 된 마리사 메이어는 꾸준한 조직개편 및 M&A를 통해서 야후의 내부 구조를 바꾸고 생리를 바꿔나갔다. 텀블러의 인수나 록멜트의 인수 등 공격적인 M&A를 통해서 그동안 부족했던(빠져나갔던) 엔지니어들을 채우고 기술을 매꿔나갔다. 그 노력의 결과가 이번의 방문자수..
-
텀블러에 이어 록멜트까지.. 야후의 부족한 엔지니어와 기술을 채우는 방식은 M&A! 하지만 국내 대기업들은?IT topics 2013. 8. 5. 19:02
최근 야후의 M&A 소식이 계속 들려온다. 구글의 부사장이었던 마리사 메이어가 야후 사장이 된 이후 짧은 기간 안에 꽤 많은 기업을 인수하고 있는데 가장 최근에 들려온 M&A 소식은 소셜 웹브라우저인 록멜트(Rockmelt) 인수 소식이다. 이미 인수는 완료되었고 록멜트는 8월까지 서비스가 되고 록멜트에 있었던 엔지니어들은 야후 미디어쪽으로 배치될 것이라는 루머가 인터넷을 통해서 나오고 있다. 록멜트 인수는 마리사 메이어가 야후의 CEO가 된 이후 21번째로 인수한 기업이라는 얘기도 함께 말이다(21번째가 맞는지는 좀 더 확인이 필요할 듯 싶다). 마리사 메이어가 야후의 CEO가 된지 이제 2년도 채 안된거 같은데 그 사이에 정말로 많이도 인수했다. 가뜩이나 어렵다고 얘기가 나오고 있는 야후가 왜 이리도..
-
야후, 텀블러(Tumblr)를 인수가 의미하는 것은? 텀블러를 통해서 다시 부활의 날개를 달 수 있을까?Mobile topics 2013. 5. 21. 07:07
요즘 IT업계, 그 중에서 SNS를 뜨겁게 달구고 있는 핫이슈를 꼽는다면 아마도 야후의 텀블러(Tumblr) 서비스 인수 소식이 아닐까 싶다. 야후가 텀블러를 11억달러(1조 2천억원)에 인수한다는 소식이 들려오면서 과연 야후가 텀블러를 통해서 모바일 서비스 시장을 강화함으로 다시 부활할 것인지에 대해서 관심이 쏟아지고 있다는 뉴스들이 여기저기서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나 역시 텀블러를 사용하고 있는 입장에서 독립 서비스일때의 텀블러와 야후 소속일때의 텀블러가 어떤 차이가 있을지, 그리고 야후는 텀블러를 통해서 뭘 얻고자 하는지에 대해서 생각해보게 되었다. 텀블러는 어떻게 딱 정의하기가 애매한 서비스라고 할 수 있을 듯 싶다. 블로그 기반이라고 할 수도 있을텐데 네이버 블로그나 티스토리 블로그, 워드프레..
-
야후의 한국 시장 철수, 즉 야후 코리아의 퇴출이 의미하는 바는 뭘까?IT topics 2012. 10. 20. 14:35
최근 이런저런 IT 관련 소식들이 올라오고 있는데 요즘 들었던 소식들 중에서 압권은 역시나 야후의 한국 철수 소식이었다. 야후코리아는 올해 말을 끝으로 한국시장에서 철수한다는 보도자료를 낸 것이다. 1997년에 한국에 들어온 야후는 90년대 최고의 포탈서비스로 자리잡았다. 한국 포탈서비스의 중심은 다음부터 시작하여 엠파스, 그리고 야후에 이어 지금의 네이버의 계보로 이어져왔다. 그 중에서 야후코리아는 국내 서비스가 아닌 해외 서비스로 한국 시장을 주름잡았던 몇 안되는 존재였다. 야후코리아의 몰락. 엄밀히 따지면 야후 전체가 몰락함으로 인해 야후코리아도 같이 무너진 것이나 다름없다. 물론 2000년대에 네이버에 포탈 주도권을 빼앗긴 이후 지금까지 겨우 0.2%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시장에서 퇴출..
-
AOL과 야후의 인수합병이 논의되고 있다는데.. 아직까지 포탈서비스로서의 야후의 가치는 있다는 얘기일까?IT topics 2011. 9. 15. 08:30
최근들어 IT 관련 핵폭탄급 소식들이 자주 나오는 듯 싶다. 현재 AOL과 야후가 인수합병 협상을 논의중이라는 뉴스가 나왔다. 이 소식은 캐롤 바츠 전 CEO가 야후에서 해고된 후 3일만에 나온 뉴스다. 참고로 AOL은 야후를 작년에 몇차례 인수하려고 했지만 바츠 전 CEO에 의해 무산되었다. 바츠는 MS가 야후의 검색 부분을 인수하겠다고 할 때도 반대했었다. 이제는 그런 반대할 세력이 없으니 이런 뉴스가 흘러나오는 듯 싶다. 야후와 AOL의 인수합병이라. 어찌보면 쓰러져가는 인터넷 공룡들이 어떻게든 제 살길을 찾아보겠다고 발버둥치는 모습 가운데서 나온 상황이라는 것이 많은 전문가들의 평가인듯 싶다. 야후는 한참 전성기때는 시가 총액이 800만 달러에 달했지만 지금은 170만 달러를 마크하고 있다. 미국..
-
MS의 검색엔진 빙, 미국에서 10%까지 고속성장하고 있는데...IT topics 2009. 11. 18. 10:43
MS의 검색엔진인 빙(Bing)의 약진이 두드러진다. 작년에 런칭된 이후 꾸준하게 성장하면서 점유율을 상승시키고 있다. MS가 Live 검색에서 본 실패를 빙을 통해서 회복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적어도 미국에서는 그렇다. 빙은 지금도 그렇지만 초반부터 멀티미디어 검색(사진, 동영상 등의 검색)으로 구글과 차별포인트를 뒀다. 지금도 멀티미디어 검색은 구글보다 더 좋다는 평가가 여러 블로그들이나 전문가들, 혹은 주변 지인들 사이에서 들리고 있다. 거기에 MS는 페이스북, 트위터와 같은 SNS를 검색할 수 있도록 했다. 즉, SNS 실시간 검색을 도입한 것이다. 최근 MS는 트위터 검색을 위한 빙트위터 서비스를 내놓고 실시간 검색에도 피치를 올리고 있는 상황이다. 구글도 트위터와는 협약을 맺었지만 페이스북..
-
야후의 새로운 변신, 퍼플 야후!IT topics 2009. 11. 4. 19:32
야후가 변신 중이다. 아니, 변신이 아닌 새로운 재탄생을 하려고 하는 듯 보인다. 그동안 침체의 늪에서 허우적대고 있었던 야후가 CI를 바꾸면서까지 강력한 변화의 의지를 보이고 있다. 퍼플 야후! 보라색으로 로고를 색칠하고 뭔가 강렬한 의지를 보이려는 야후. 과연 보라색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그리고 그런 야후의 변화의 의지를 사용자들은 어떻게 받아들일지 참 궁금하다. 한때 전세계 최고의 포탈사이트로 우뚝섰던 야후였고 야후! 코리아 역시 몇년 전에는 No.1 포탈사이트였던 과거가 있는데 이번 퍼플 야후! 이벤트로 어느정도 회복할 수 있을지 관심이 간다.
-
본격적으로 이미지와 동영상 광고의 디스플레이 광고 시장으로 영역을 넓히는 구글IT topics 2009. 9. 23. 11:30
구글이 텍스트 중심의 문맥광고에서 본격적으로 디스플레이 광고로 점점 그 영역을 확대하려고 하고 있다고 한다. 구글 애드센스와 애드워즈로 대표되고 있는 구글의 온라인 문맥광고는 주로 포스트의 내용을 파악하여 그에 맞는 광고를 내보내는 텍스트 애드센스가 메인이었다. 검색광고 역시 주로 텍스트 광고가 메인이었고 블로그나 여러 사이트에서 보여지고 있는 구글 애드센스 역시 텍스트 광고가 주류를 이뤘다. 그리고 그 광고가 구글을 여기까지 키운 1등 공신이기도 했다. 하지만 구글은 꾸준히 텍스트 광고 이외에 이미지 광고나 동영상 광고와 같은 인터넷 디스플레이 광고부분도 신경을 쓰고 있었다. 디스플레이 광고를 위해 더블클릭을 인수한 일은 잘 알려진 사건이다. 하지만 그동안 구글의 디스플레이 광고는 야후나 MS에 많이 ..
-
조금씩, 야금야금 성장하고 있는 MS의 검색엔진, 빙!IT topics 2009. 8. 26. 11:50
MS는 과연 빙(Bing)의 효과를 좀 봤을까? 구글을 따라잡겠다고 야심차게 내놓은 MS의 검색엔진 빙. 5월 31일에 공개된 이후로 MS는 과연 얼마나 검색시장에서 선전을 하고 있을까? 미국의 통계조사회사인 컴스코어와 J.P. 모건에서 조사한 내용에 따르면 미국내에서의 MS의 빙은 만족할만큼의 성장은 아니지만 그래도 떨어지고 있는 점유율을 다시 회복시켜주는 효과를 가져왔다고 한다. 2009년에 MS는 빙을 공개하기 이전에는 8.5%에서 8%까지 0.5%나 점유율이 감소하고 있었다. 즉, 내리막 길을 계속 걷고 있었다는 얘기다. 상대적으로 구글은 63%에서 65%로 2%나 치솟았고 말이다. 야후 역시 21%에서 20%로 1%의 감소가 있었다. 하지만 빙을 발표한 이후 MS는 8%에서 7월에 8.9%로 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