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
키보드가 달린 iPhone이 과연 나올까?Mobile topics 2008. 7. 2. 22:01
CNet에서 재미난 기사를 하나 봤다. 애플이 슬라이더 스타일의 키보드가 달린 iPhone을 내놓을지도 모른다는 기사다. CNet이 The Register에 실린 글을 인용해서 쓴 글로 애플이 일부 비지니스 파트너들에게는 새로운 모델의 iPhone을 선보인 적이 있다는 내용도 함께 있다(물론 내용은 공개가 안되었다). iPhone을 보면 표면상으로 나와있는 버튼은 정면 하단의 메인 화면으로 돌아가는 버튼 뿐이고 나머지는 터치스크린 위에 나타나는 소프트웨어 버튼들이다. 즉, iPhone은 대부분의 기능을 터치스크린에 의존하다보니 번호 키패드나 문자 키패드들이 LCD 화면에 나타나서 손가락으로 터치함으로 동작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왜 애플은 키보드가 나와있는(글에는 하드웨어 키보드라고 되어있는데 그것은 터치..
-
휴대폰이 탄생한지 20년, 그래도 미래는 밝다...Mobile topics 2008. 7. 1. 16:18
그닥 신경을 안썼는데 블로고스피어나 IT 관련 기사를 보니 오늘로 국내에 휴대전화가 보급된지 20년이 되는 날이라고 한다. 한국이동통신(현재 SKT)이 처음으로 휴대전화를 개시한게 1988년 7월 1일이라고 하는데 오늘이 2008년 7월 1일이니 딱 20년이 되는 날이다. 20년동안 휴대전화는 정말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로 눈부시게 발전을 했다. 초창기의 휴대폰들을 보면 정말 그 크기와 무게에 압도당한다. 누구 이야기로 벽돌이라 불리기도 하고 무기라고 불리며 냉장고, 탱크라고도 불리기도 할 정도로 컸다. 그당시의 기술력의 한계때문에 작게 만들 수 없어서 어디 들고다니기도 좀 민망할 정도였다고 하니 오죽이나 그러랴. 하지만 지금의 휴대폰을 보면 폴더형이나 슬립형이나 딱 한손에 넣고 다니기도 좋고 어디 주..
-
과연 한국에서 언제쯤 스마트폰이 활성화 될까?Mobile topics 2008. 6. 24. 13:33
이 글은 윈도 라이브 라이터(WLW)를 이용해서 포스팅을 해본다. 실로 오랫만에 써보는 WLW이다. 전에는 OS가 서버 2003이어서 윈도 라이브 시리즈들(메신져, 라이터, 메일 등)이 설치가 안되었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었는데 OS를 XP로 바꾼 이후에 싹 설치했다. 어제는 MS의 스마트폰 및 휴대폰용 OS인 윈도 모바일 7이 과연 올해 안에, 아니면 내년 초쯤에 출시가 될 수 있을지에 대해 포스팅을 했다. 대만의 스마트폰 제조업체인 HTC가 내년 초에 윈도 모바일 7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출시하겠다고 했기 때문에 그 전에 윈도 모바일 7이 나오지 않을까 하는 예상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그와 동시에 MS가 윈도 모바일 7에 대한 자료를 좀처럼 내놓지 않는 이유로 iPhone과 안드로이드 때문일 가..
-
윈도 모바일 7, 과연 스마트폰 OS 시장을 다시 장악할 수 있을까?Mobile topics 2008. 6. 24. 09:39
윈도 모바일 7이 2009년 상반기쯤에 나올 듯 싶다. ZDNet Korea의 기사에 따르면 HTC가 2009년 1분기에 윈도 모바일 7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출시할 계획을 갖고 있다고 한다. HTC가 내년 1분기에 윈도 모바일 7 기반의 스마트폰을 출시한다면 그 전에 윈도 모바일 7의 베일이 벗겨질 수도 있다는 얘기다. 그동안 MS는 윈도 모바일 7에 대한 얘기를 극도로 자제해왔다. 스팩이나 기능, 심지어 베타버전 출시 일정 등에 대해서도 얘기를 삼가해왔다. 일단 알려진 얘기로는 멀티 터치와 몸짓 인식 등이 거론되고 있으며 UI도 사용자 친화적으로 바뀌었다는 정도다. 일단 MS에서 윈도 모바일 7에 대한 언급을 꺼리는 이유는 아마도 애플의 iPhone에 탑재된 Mac OS X 레오파드 모바일 버전..
-
왜 국내에서는 iPhone과 같은 매력적인 스마트폰이 안나올까?Mobile topics 2008. 6. 15. 22:59
최근 WWDC에서 발표한 iPhone 3G에 대해 많은 기대가 있었다. 일단 기존의 iPhone이 AT&T를 통해서만 통화가 가능했기 때문에 국내에서의 사용이 힘들었고(전화기로서의 기능은 못하고 거의 iPod touch 수준밖에는) 가격적인 부분에 있어서 좀 무리가 있었던게 사실이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번에 발표한 iPhone 3G는 국내 이통망이 3G로 많이 넘어간 상태이기 때문에 좀 손쉽게 적용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던게 사실이다. 그리고 떠도는 소문이었지만 KTF가 애플과 물밑접촉을 통해서 iPhone 3G를 서비스할 수 있을것이라는 기대가 작용했던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WWDC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70여개국에서 7월 11일에 동시출시가 되는데 한국이 쏙 빠져있었다. 즉, 한국..
-
iPhone 3G, 어서 국내 출시가 이뤄졌으면 좋겠다..Mobile topics 2008. 6. 10. 13:07
WWDC에서 있었던 iPhone 3G에 대한 스티브잡스의 키노트에 대한 이야기가 많다. 실황으로 들을 수 없는 것이 안타까웠지만 YouTube에 올라온 동영상이나 여러 사이트를 통해서 키노트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미 블로고스피어에 WWDC에서 잡스가 발표한 키노트에 대한 이야기가 많으므로 나는 그냥 이번에 나오는 iPhone 3G에 대한 이야기만 하련다. 개인적으로 상당히 관심이 가는 스마트폰이라 한다면 당연히 애플의 iPhone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일단 기존의 스마트폰에 대한 개념을 바꿔버린 신개념의 스마트폰이다. 다양한 기능 및 미려한 UI, 디자인 등이 나를 매료시켰다. 또한 무선인터넷과 풀브라우징도 매력적이다. PMP로도 PDA로도 MP3P로도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멀티미디어 기기..
-
셀러리맨의 필수품 '블랙베리', 국내에서 곧 출시!Mobile topics 2008. 5. 14. 10:11
해외, 특히 미국에서 사업하는 사람들이나 셀러리맨들에게는 거의 필수적인 도구가 되고 있는 블랙베리가 이제 국내에서도 판매된다고 한다. SKT를 통해서 서비스가 된다고 한다. 미국에서는 블랙베리를 이용하여 메일을 확인한다던지 무선인터넷을 한다던지 하는 경우가 많다(그런데 주 사용 목적은 메일이다). 평소에 알고 지내는 몇몇 미국인들과 얘기해보면 블랙베리는 거의 필수품처럼 여기는 경우가 많다. 어디서든지 메일을 확인할 수 있고 메신져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제는 한국에서도 어디서든지 블랙베리를 이용하여 Email을 송수신할 수 있어서 블랙베리를 들고 다니면서 메일을 확인하는 모습을 볼 수 있을 듯 싶다. 원래 블랙베리는 수입이 불가능했다. 스마트폰 등 국내에서 사용하는 무선인터넷을 사용하는 휴대폰류에는 위피..
-
소프트웨어 개발로 눈을 돌리고 있는 휴대폰 시장..Mobile topics 2008. 4. 7. 11:01
휴대폰 시장에서 개발 플랫폼의 중요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 그동안 터치스크린에 집중해온 삼성전자, 노키아 등의 휴대폰 제조업체들이 그 휴대폰을 이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개발에 눈을 돌리고 있다는 뉴스가 들려오고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휴대폰 제조업체들은 휴대폰의 기계적인 기능 부분에만 신경을 써왔다. 휴대폰에서 MP3를 재생할 수 있는 MP3P 기능이나 디지탈 카메라 내장 기능, 거기에 디지탈 캠코더 기능과 동영상 재생 기능 등은 소프트웨어가 동반한 기술이기는 하지만 하드웨어적인 부분이 강한 기술들이다. 그리고 최근에는 터치스크린 기술을 기반으로 휴대폰 시장의 주도권을 둘러싼 전쟁을 치루고 있다. 이렇게 휴대폰 제조업체들이 하드웨어에 신경을 집중하는 동안에 휴대폰에 들어가는 소프트웨어 부분은 상..
-
휴대폰의 진화, 스마트폰에 대한 바램Mobile topics 2008. 1. 3. 17:18
요즘들어 여러 디지탈 기기들을 다루면서 느끼는 것은 이런 기기들을 하나로 묶을 수 있으면 꽤 괜찮겠다 하는 생각이다. 내가 다루고 있는 디지탈 기기들은 휴대폰, 디카, 디캠, MP3P, PMP 등이다. 이외에 PDA도 있을 수 있고 NDS나 PSP와 같은 게임기도 있을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적어도 위에서 열거한 제품들중 하나 이상은 갖고 있을 것이라 생각이 든다. 내 경우에는 휴대폰, 디카, 디캠, MP3P, PMP를 각기 구매했다. 각 기능에 충실한 제품들이 더 좋기 때문이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이러한 기능들을 하나로 묶어있는 기기들을 선호하고 있는듯 싶다. 컨버전스 서로 다른 영역을 하나로 묶어서 시너지 효과를 내는 것. 이미 휴대폰의 경우 컨버전스가 활발히 진행된지 오래다. 휴대폰의 기본 ..
-
스마트폰이 국내에서 활성화되지 못하는 이유Mobile topics 2007. 12. 3. 10:14
ZDNet Korea에 재미난 기사가 떴다. 국내에서 왜 스마트폰이 제대로 활성화가 안되는지 잘 설명해주는 기사같다. 국내 스마트폰의 한계와 이동통신 (ZDNet Korea) 결론은 간단했다. 바로 이동통신사들이 스마트폰의 활성화를 방해하고 견제하기 때문이었다. 이통사들의 스마트폰 활성화 방해의 이유는 다른거 없다. 바로 이통사 서비스 수익이 떨어질까 겁나서였다. 스마트폰은 내부적으로 무선랜이 탑재되어 나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무선랜을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을 접속할 수 있고 그러면 VoIP를 이용한 무료 인터넷폰을 이용할 수 있다는 얘기다. 그것은 곧 이통사들의 서비스 수익 감소로 이어진다는 부분때문에 이통사들이 스마트폰의 활성화를 꺼려하고 있다고 한다. 현재 미국에서는 애플의 전설을 이어가고 있는 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