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구조
-
엠엔캐스트의 파산과 국내 동영상 UCC 업계의 현실..IT topics 2009. 3. 31. 08:23
한때 동영상 UCC 업체들이 마구잡이로 생겼던 때가 있었다. 적어도 작년 초까지는 그러한 분위기가 계속 되었다. 언론은 동영상 UCC가 미래의 킬러 컨텐츠 산업이 될 것이라고 분위기를 잔뜩 띄워놨다. 웹2.0 열풍이 국내에 상륙하면서 블로그와 함께 급성장한 것이 동영상 UCC 산업이다. 그만큼 동영상 UCC 공유 서비스를 하는 업체들도 많아졌다. 하지만 작년부터 시작한 경제위기는 이들 동영상 UCC 업체들에게도 심각한 상처를 남기게 된다. 트래픽 장사나 다름없었던 동영상 UCC 서비스는 그 엄청난 회선 인프라를 감당하지 못하고 제대로 된 수익체계를 세우지도 못한 채 마구잡이로 쓰러지기 시작했다. 그리고 결국 100만 명이 넘은 회원수를 보유한 동영상 UCC 업체인 엠엔캐스트 마저 문을 닫게 만든다. 엠엔..
-
구글의 수익구조에 문제가 있는 것일까?IT topics 2008. 8. 11. 11:23
구글의 수익구조에 점점 문제가 생기고 있는것 같다. 외형상으로 보이는 구글의 수익에 비해 구글의 실질적인 수익률은 상대적으로 더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테크크런치에서도 점점 떨어지는 구글의 실수익률 감소에는 뭔가 구글의 문제가 있는게 아닌가 하는 의문을 던지고 있다. 구글의 순수익이나 총수익이나 작년부터 계속 감소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순수익률의 감소는 눈에 띌 정도다. 표에서 보이듯 2007년 3분기에는 둘 다 57%의 수익률을 보였지만 1년뒤인 올해 2분기에는 전체수익률은 39%인데 비해 순수익률은 32%로 더 많이 감소했다는 것이 나타났다. 구글의 애드센스 수익이 점점 감소하고 있다는 얘기는 작년부터 나오고 있었는데 그게 사실로 드러나고 있다는 얘기다. 총수익률이 그나마 순수익률보다 높은 이유는..
-
국내 백신 서비스의 개인용 무료화 정책으로 어려워진 외산 백신 서비스들...IT topics 2008. 1. 16. 16:43
이번에 NHN과 안철수 연구소가 V3 백신 엔진을 네이버에 제공하게 되어 네이버의 PC그린을 통해서 무료로 실시간 검사기능을 쓸 수 있게 된 것에 대해서 여러가지 말들이 많은 모양이다. 국산 백신 무료「태풍」···외산은「조난」 위기 (ZDNet Korea) 이제 국내 백신서비스는 개인에게는 무료 서비스로, 기업에게는 유료 서비스로 수익구조를 바꾸는 작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고 봐도 좋을 것이다. 바이로봇으로 유명한 하우리까지 NHN과 거의 협상이 마무리되었다는 이야기가 들리니 대부분의 국내 백신서비스들은 포탈서비스와 무료 백신 배포에 동참한다고 봐야 할 것이다. 그러다보니 국내 백신 서비스와 경쟁하고 있는 해외 백신 서비스들은 이런 무료화 시류에 쫒아가지 않을듯 싶다. 노턴 안티바이러스의 시만택이나 트..
-
학생들의 호주머니까지 싹싹 긁어가는 기획사들의 얄팍한 상술Current topics 2007. 12. 5. 10:19
우리나라 음악계(엄밀히 따지면 음반계)는 거의 고사직전에 와있다고 많은 전문가들이 이야기를 한다. CD나 Tape(요즘 나오기는 하나?)등의 음반판매량이 예전(90년대)에 비해 엄청나게 떨어졌기 때문이다. 가수들이나 기획사, 음반제작사들의 주수익원이 주로 저런 음반쪽이다보니 수익구조가 악화된 지금 꽤나 힘들다고 이구동성으로 말하고 있는 상황이다. 가수나 기획사의 경우 해당 가수의 CF, TV 및 라디오 방송 출연, 콘서트 등으로 수익을 충당할 수는 있지만 아무리 그래도 역시나 주수익원은 음반판매라고 할 수 있다. MP3 등의 디지탈 음원들이 활성화된 요즘 CD판매로만 수익을 올릴려는 그러한 자세를 고수하는 뒤떨어진 음악계는 계속해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것이다. 그건 그렇다고 치고. 요즘 가요들을 보면..
-
네이버의 무료백신 중단을 보고Security 2007. 12. 3. 11:44
네이버가 실시간 감시기능이 추가된 무료백신 프로그램인 PC그린 개발을 중단하기로 했다고 한다. 네이버, 국내보안 업체들과 “상생”키로 (아이뉴스 24) 네이버 “무료백신 중단”에 보안업계 ‘안도’ (아이뉴스 24) 네이버는 기존의 PC그린 서비스에서 러시아의 카스퍼스키랩의 백신 프로그램을 제공했다. 거기에 바이러스와 악성코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기능을 넣어서 무료로 배포할려고 했는데 국내 보안업계들이 우려를 표시했다(좀 더 사실적으로 말하자면 안철수연구소나 하우리 등의 백신 프로그램 제공 업체들이 난리를 쳤다는 것이다). 포털이 무료백신 서비스를 앞세워 보안 서비스쪽으로 영역을 넓힐려는게 아니냐는 것이다. 일단 네이버가 한발 물러섰지만 아직도 불씨는 살아있는 셈이 된다. 난 저 기사를 보면서 과연 국내..
-
포털 사이트들의 수난시대IT topics 2007. 6. 21. 20:35
요즘 포털 사이트들이 수난을 겪고 있다고 한다. 오늘 나온 뉴스들을 보면 얼추 이해가 간다. 그 첫번째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온신협)에서 각 포탈 사이트에 제공하는 기사의 노출 시간을 1주일로 한정하고 해당 기사를 네티즌들이 퍼갈 수 없도록 막아달라는 조건을 제시한 것이다. 온신협 포털 뉴스공급 제한 '논란' (아이뉴스24) 위의 조치가 시행되면 조선닷컴, 조인스닷컴, 한국아이닷컴, 미디어칸 등의 뉴스 컨텐츠들은 1주일이 지나면 포털에서 볼 수 없게 된다. 그리고 네티즌들이 블로그나 Email 등으로 옮겨가거나 무단으로 출력해서 배포, 복제를 못하게 된다. 그리고 뉴스를 무단으로 가져가는 구글에 대해서 법적 소송을 준비하고 있다고 한다. 뉴스에 따르면 온신협의 컨텐츠 노출 시간 제한은 그동안 뉴스 컨텐츠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