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
-
EMC를 인수한 델. 자신들의 솔루션만으로 구성된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를 만들어보는 것은 어떨까?IT topics 2015. 11. 9. 08:51
조금 지난 뉴스일 수도 있겠지만 최근 델(Dell)이 스토리지 전문 기업인 EMC를 인수했다. 그것으로 인해 IT 세계의 지형이 꽤 많이 바뀔 수 있다는 예상들이 전문가들 사이에서 나오고 있는 중이다. 델의 EMC 인수는 오라클이 선마이크로시스템즈를 먹은 것이나 과거 HP가 컴팩을 먹은 것과 같은 비슷한 효과를 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EMC가 보유하고 있던 솔루션 브랜드를 보면 알 수 있다. 델은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듯 PC 제조회사다. 다른 제조회사와 달리 델은 주문형 다품종 소량생산을 해왔다. 데스크탑이나 노트북이나 상관없이 사용자가 선택한 사양으로 만들어서 팔아온 회사다. 물론 스마트폰과 태블릿도 함께 생산하면서 종합 디바이스 제조회사로 거듭나기는 했지만 어찌되었던 델은 PC를 만드는 기업이..
-
IBM z Systems를 통해 데이터 통합 및 실시간 분석의 중요성을 깨닫다IT topics 2015. 8. 25. 08:00
메인프레임의 장점, 하지만 현실은.. 일반적으로 엔터프라이즈 시장에서 서버 시장은 상당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서버는 IT 서비스를 제공하는 있어서 가장 중요한 하드웨어 플랫폼 및 OS 플랫폼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어떤 서버 시스템에서 어떤 OS를 사용하는가가 무척이나 중요한 이슈가 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서버 시장은 x86 서버, UNIX 서버, 그리고 메인프레임로 나뉘는데 x86 서버는 Intel이나 AMD에서 제공하는 Xeon이나 ix core CPU를 이용해서 만든 서버로 우리가 사용하는 PC의 고성능 버전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x86 서버의 경우 일반 데스크탑을 조립하듯 조립해서 쓰는 경우도 종종 있다. x86 서버는 Windows나 Linux를 메인 OS로 사용하며 Sola..
-
지진과 수해에도 안전한 친환경 기술을 총동원한 데이터센터를 맛보다. LG CNS 부산데이터센터 견학기IT topics 2013. 4. 29. 10:00
과거 웹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보통 IDC(인터넷 데이터센터)라 불리는 공간에 서버를 설치하고 거기에 웹서버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 등을 설치해서 서비스를 하곤 했다. 이런 IDC를 각 기업의 내부에 두던지, 아니면 전문 기업에서 만든 IDC에 장소를 임대해서 두던지 하는 방식으로 그동안 서비스를 해왔다. 지금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포탈 서비스들이 다 그런 식으로 운영되어오고 있으며 국내 뿐만이 아니라 해외의 유명 서비스들도 자체적으로 IDC를 만들어서 운영하던지, 아니면 역시나 전문 기업이 만든 IDC에 서버를 유치해서 서비스를 하곤 한다. 자체적으로 IDC를 만들어서 운영하는 경우는 보통 서버를 자체적으로 관리를 하다보니 보안 등의 우려가 덜한 것이 사실이다. 물리적인 서버 보안을 기업 스스로..
-
IBM과 HP의 양강구도의 엔터프라이즈 서버 시장. 오라클의 반격이 기다리는 올해의 엔터프라이즈 서버 시장은 과연 어떤 변화가 있을까?IT topics 2012. 2. 13. 08:27
개인적으로 엔터프라이즈 IT 시장을 좋아한다. 대규모 시스템을 운영하고 B2C보다는 B2B라는, 기업대 기업간의 솔루션이라는 부분에서 많은 매력을 느낀다. 그리고 이쪽에서 일하다보면 사람들에게 많이 알려지는 부분은 B2C 시장부분이지만 실제로 돈이 많이 돌아다니는 부분은 B2B임을 알 수 있다. 아무래도 기업간의 거래다보니 금액도 천문학적으로 나오곤 하는게 바로 이 엔터프라이즈 시장이다. 이 엔터프라이즈 시장에서의 핵심은 역시 대용량 데이터 처리 및 서비스 처리며 그 중심에는 역시나 서버와 데이터베이스가 자리잡고 있다. 그 중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수행하고 서비스를 실행하는 그 메인이 되는 서버가 엔터프라이즈 시장에 있어서는 중요한 요소임은 분명하다. 이 서버 시장이 작년에 많이 요동친 듯 보였는데 작년 말..
-
맥 미니 서버를 진짜 서버처럼 쓰고 싶은가? IDC에 어울리게 맥 미니를 변신시켜주는 RackMacIT topics 2011. 9. 27. 12:31
재미난 아이템이 하나 나와서 소개해볼까 한다. 인가짓에 소개된 제품인데(생각해보니 인가짓에 나온 제품을 다시 여기서 소개해보기는 오랫만이구나 -.-) 나처럼 서버 프로그래밍을 하는 사람과 맥을 좋아하는 사람에게 있어서는 꽤나 흥미가 있을만한 물건이다. 애플은 신형 맥북에어를 내놓으면서 같이 맥 미니도 내놓았었다. 라이언이 기본으로 탑재되는 버전인데 라이언 서버 버전이 설치되는 맥 미니 서버도 함께 내놓았다. 맥 미니는 내가 아이맥을 지르기 전에 구매 대상에 올려놨던 녀석인데 작은 사이즈에 모니터와 키보드, 마우스만 연결하면 괜찮은 맥 시스템을 만들어주는 그런 녀석이다. 보통은 TV에 연결해서 많이 쓴다고 하는데 이번에 나온 맥 미니를 보니 라이언 서버 버전을 설치해서 맥미니를 맥 서버로 만들어서 쓸 수 ..
-
2009년 최고의 빅딜이 추친될 것인가? IBM의 Sun 인수…IT topics 2009. 3. 22. 08:58
작년 초에 우리는 오라클의 웹로직 인수와 선 마이크로시스템즈(Sun)의 MySQL 인수 소식을 들었다. 이들 인수 소식은 IT 업계에 있어서 가히 메가톤급 폭탄과 같은 효과를 주는 뉴스들이었다. 뭐 MS가 열심히 야후를 인수하려 했으나 실패로 돌아갔고(지금도 열심히 구애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 만약 MS의 야후 인수가 성립되었다면 그게 가장 큰 IT 업계 인수합병 소식이 되겠지만 일단 적어도 작년과 올해 들어 가장 큰 인수합병 뉴스는 작년 초의 웹로직을 먹어버린 오라클과 MySQL을 꿀꺽해버린 Sun 일 것이다. 그리고 그 두 주인공 중 하나가 지금 딴 데 먹힐려고 하려는거 같다. IT 세계의 빅블루, IBM이 바로 Sun을 먹을려고 준비 중이라는 얘기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IBM이 Sun을 65..
-
블로그 서버를 이전했습니다.Blog 2009. 2. 10. 21:43
블로그툴을 옮겼습니다. 그동안 티스토리를 사용해왔는데 이번에 칫솔님께서 제공해주신 서버로 이전을 하게 되었습니다. 블로그툴 역시 티스토리에서 텍스트큐브로 옮겨지게 되었습니다. 뭐 겉보기에는 바뀐게 거의 없지만 내부적으로는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일단 블로그툴이 바뀌니 어드민 화면부터 바뀌는군요. 그동안 익숙해졌던 티스토리 어드민 화면에서 텍스트큐브 어드민 화면으로 오니 예전에 썼음에도 불구하고 꽤나 어색합니다만 뭐 곧 익숙해지겠죠. 그동안 잦은 티스토리 서버 다운으로 인해 맘고생이 심했는데 앞으로는 그런 경우는 없었으면 합니다. 물론 칫솔님 서버가 트래픽 폭주로 불안해질 수도 있겠지만(저 말고도 여러 블로그가 입주했거든요) 나름 잘 버티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제 블로그의 트래픽은 그리 높은 편이 아..
-
철저히 기업을 위한 기술, 가상화IT topics 2008. 10. 16. 10:11
요즘 데스크탑 PC나 서버, 노트북 등 하드웨어 시장에서 유행되다시피 각광받고 있는 기술이 하나 있다. 아마 많이들 들어봤을 것이다. 가상화(Virtualization)라 불리는 기술로 개발자들 사이에서는 VMVare나 VirturePC 등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접해봤을 기술이다. 이게 요즘 하드웨어 업계에 화두로 떠올랐다. VMware나 VirturePC 등의 어플리케이션은 예전부터 존재해왔던 가상화 어플리케이션이다. 그런데 최근 다시 기업환경에서 IT 정책에 하나의 핵심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왜일까? 예전에는 어플리케이션 레벨에서 지원을 했으나 이제는 CPU와 같은 하드웨어 레벨에서까지 가상화를 지원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예전과 같은 성능상의 문제가 최근에는 많이 좋아졌다는 것이며..
-
구글, 검색 얼라이언스의 성능을 향상 시키다..IT topics 2008. 8. 8. 15:59
구글도 서버장사를 하나? 뭐 내가 잘못 해석한 이야기일 수도 있겠지만 구글이 인덱싱 서버를 엔터프라이즈 시장에서 구글 엔터프라이즈 솔루션을 도입할려는 회사에 납품(?)하는 것처럼 보이는 뉴스를 하나 발견했다. 현재 구글은 2만개의 기업에게 기업솔루션을 납품(?)했고 이들은 구글 검색 얼라이언스를 사용한다. 그런데 구글 검색 얼라이언스라는게 결국 서버형식이고 인덱싱을 하고 검색을 하는 역할을 맡는다. 결국 구글은 기업고객에게 구글 자체적인 데이터 센터를 제공해주기도 하지만 기업 자체적으로 검색엔진을 사용할 수 있는 자체 서버 형식의 검색 어플라이언스를 제공한다는 얘기다. 그런데 이번에 새로운 모델로 검색 어플라이언스를 교체했다는 뉴스다. 검색 어플라이언스를 서버라고 보기에는 좀 골때리기는 하지만 어차피 검..
-
매력적으로 다가오는 저가의 리눅스 PCIT topics 2008. 1. 28. 19:29
국내와는 달리 해외의 경우 리눅스 OS가 국내에 비해서 데스크탑용으로 꽤나 활성화가 되어있다. 뭐 윈도의 점유율이 90% 이상인 것은 마찬가지지만 그래도 국내에서처럼 리눅스를 데스크탑용 OS로 사용할 때 느끼는 엄청난 불편함을 해외에서는 많이 못느낀다는 것이다. 이는 해외에서 윈도 비스타가 출시되었을 때에 국내와는 달리 해외에서는 ActiveX 관련 불만이 많이 없었다는 것으로 어느정도 이해를 할 수 있는거 같다. 위에서 얘기했듯 해외에서는 리눅스가 어느정도 활성화가 되어있다고 했다. 리눅스의 장점은 값싼 PC 사양에서도 무리없이 사용할 수 있는 OS라는 것이다. 윈도가 시스템 자원을 많이 먹는 것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리눅스가 먼저 서버급 OS로 대성공을 거둘 수 있었던 이유중에는 유닉스에 호환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