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지니스
-
애플의 비지니스로 인해 플래시와 HTML5는 의미없는 싸움 중?Mobile topics 2010. 5. 24. 10:18
최근 애플의 정책들 중에서 플래시 배척정책에 대해서 많은 비판을 이 블로그를 통해서 했다. 솔직히 애플의 플래시 배척정책은 누누히 말했지만 기술적인 이유 때문이 아니라 정책적인, 일종의 정치적인 이유 때문임은 이 블로그를 통해서 여러번 얘기했으며 다른 사람들은 몰라도 적어도 나는 그렇게 생각하고 있다고 여러번 언급했다. 지금도 그런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 정치적인 이유에 비지니스를 결합한 결과가 플래시 배척정책인 것이다. 애플의 비지니스이기 때문에 맘에 안들기는 하지만 그것때문에 애플을 욕해도 애플의 비지니스이기에 지들이 안바꾸면 어쩔 수 없다. 하지만 종종 헷갈리는 것들 중에 하나가 애플의 플래시 배척정책에 HTML5를 밀기 위함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부분이다. 즉, 애플은 향후 HTML5 vs 플래시 ..
-
드디어 베타딱지를 떼어버린 Gmail. 이제는 도전에서 안정으로 가려는가, 구글...IT topics 2009. 7. 8. 16:02
구글의 대표적인 메일 서비스인 Gmail이 드디어 베타딱지를 뗐다. 혹시나 싶어서 Gmail에 접속했는데 베타없는 Gmail 로고를 볼 수 있었다. 2004년 처음 서비스를 시작한지 5년만에 드디어 베타를 떼어버린 것이다. Gmail의 베타딱지 제거가 의미하는 것은 무엇일까? 구글은 그동안 여러 구글 서비스에서 베타 서비스임을 내세워 서비스 개선을 이뤄나갔다. 구글이 의미하는 베타는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베타의 의미가 아닌 지금보다 더 발전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베타의 의미는 아직 미완성이며 개선할 여지가 더 남은 어찌보면 부정적인 의미가 강한 베타라는 것을 감안할 때 비지니스 측면으로 봐서 베타가 상용 서비스(구글앱스와 같은)에 붙어있는 것은 여러가지로 안좋은 이미지로..
-
재미와 비지니스를 동시에 만족시킬려는 새로운 옴니아 시리즈들...Mobile topics 2009. 6. 16. 16:04
이번에 삼성에서 새로운 옴니아 시리즈들을 내놓았다. 그동안 LG가 아레나에 크리스탈(투명폰), 뷰티스마트 등 다양한 라인업으로 국내외에서 기세를 올리는 것에 자극을 받았는지 삼성도 이번에 삼성의 최상위 스마트폰인 옴니아 시리즈들을 다량으로 내놓은 듯 싶다. 삼성 뉴스룸을 통해서 받은 정보로 새로 출시되는 4가지 새로운 옴니아 시리즈들을 한번 만나보도록 하자. 모든 것을 다 넣었다. 옴니아 2 (I8000) 기존 옴니아의 후속판으로 만들어진 옴니아2는 윈도 모바일 6.1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스마트폰이다. 6.1 기반이지만 6.5로 무료로 업그레이드 할 계획도 갖고 있다고 한다. 그리고 세계에서 가장 큰 크기인 3.7인치 AMOLED 터치스크린을 채택했다고 한다. 해상도는 WVGA(800 x 480)을 지원..
-
구글비디오, 구글앱스에 편입되다.IT topics 2008. 9. 2. 17:56
오늘은 구글의 웹브라우저 크롬 발표로 시끄러워서 그런지 또 하나의 재미난 발표가 그냥 묻어가는거 같아서 잠깐 언급해본다. 구글은 이번에 비지니스용 구글 비디오를 런칭했다고 한다. 구글앱스 프리미엄 버전에 구글 비디오가 추가되는 것이다. 일단 구글앱스 프리미엄 버전에서 Gmail은 25GB를 지원하고 구글비디오는 3GB를 지원한다고 한다. 구글비디오도 YouTube와 같은 플래시 방식일테니 3GB면 충분하지 않을까 생각이 들기도 한다. 그런데 좀 이상한게 구글앱스 프리미엄 버전은 기업체를 대상으로 하는 비지니스 솔루션이다. 구글앱스에 있는 Gmail이나 구글독스, 구글캘린더, 개인화페이지, 사이트관리자 등은 기업에서 자체 인트라넷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글웨어들이다. 그런데 과연 구글비디오가 저기에 어떻게..
-
웹2.0 시대에는 기술보다는 철학을 먼저 도입해야 하는데..IT topics 2007. 12. 3. 10:10
현재 한국 웹 시장의 상황은 어떨까? 아니, 조금 더 범위를 좁혀서 웹2.0이라는 시장에서의 상황은 어떨까? 한국은 현재 Winner takes all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고 한다. 웹2.0 시대, 웹 기업의 미션 (ZDNet Korea) Winner takes all은 도대체 뭔가? 영어 그대로 해석하면 ‘승자가 모든 것을 다 취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뜻대로 현재 한국 웹 시장에서 각 분야에 따라 No.1 기업들이 시장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보통 50% 이상이며 심하면 80% 정도까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예를 들어서 포탈 사이트에서의 네이버가 그렇고 웹 소핑몰(혹은 마켓프라이스 시장)에서는 G마켓과 옥션이 그러하며 인터넷 구인 시장에서는 잡코리아가 그 대표적인 ..
-
비즈니스 블로그는 기업 문화의 도전자Blog 2007. 5. 30. 10:01
좀 지난 칼럼이지만 마가린에 북마크해두고 이제야 좀 읽었다. 기업에서 블로그를 어떻게 이용해야 좋을지에 대한 이야기다. 비즈니스 블로그는 기업 문화의 도전자 (ZDNet Korea) 기업 입장에서의 블로그 활용은 몇가지로 나눌 수 있다고 한다. 그 첫번째는 기업의 제품 홍보용 블로그다. 이미 기업에서 홍보용 웹 사이트가 있는데 뭐때문에 홍보용 블로그를 다시 만드냐고 반문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웹 사이트와 블로그는 그 기능성에서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웹 사이트는 단순히 한방향으로 자사 제품을 홍보만 할 수 있다. 즉, 고객들의 참여를 유도할 수 없다는 얘기다. 물론 게시판 등을 통해서 의사를 밝힐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홍보용 웹 사이트에서는 각 제품별로 게시판이 만들어지지는 않는다. 그에 비해서 블로그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