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급형
-
이제 MS도 태블릿PC에서 ARM을 버리고 인텔로 갔다. 아톰을 탑재한 보급형 태블릿PC, 서피스 3 발표..Mobile topics 2015. 4. 2. 10:01
MS에서 새로운 태블릿PC(라고 쓰고 노트북이라고 읽는다 -.-)를 내놓았다. 새롭다기 보다는 이전에 나왔던 모델의 후속 버전인데 리모델링을 했다고 보는게 좋을 듯 싶다. 새로운 태블릿PC는 서피스 3(Surface 3)로 기존에 나왔던 서피스 RT, 서피스 2의 후속제품이다. 하지만 이전의 서피스 제품과는 달리 이 새 모델은 서피스 프로 시리즈의 다운그레이드 버전이 더 어울리는 듯 싶다.서피스 3의 특징은 기존 서피스 시리즈가 탑재했던 CPU인 ARM 계열의 엔디비아의 테그라를 사용하지 않고 서피스 프로 시리즈와 같은 인텔 CPU를 사용한다는 점이다. 물론 서피스 프로 시리즈에서 탑재한 Core i5, i7은 아니다. 아톰(ATOM)을 쓴다. 서피스 3는 이번에 인텔에서 새로 발표한 쿼드코어 아톰 X7..
-
[MWC 2014] 갤럭시 시리즈의 보급형 모델들과 다양한 변화를 준 모델들Mobile topics 2014. 3. 5. 09:04
이번에 삼성전자는 MWC 2014를 통해서 다양한 갤럭시 시리즈의 보급형 모델들과 베이스 모델에 변화를 준 베리에이션(Variation) 모델들을 선보였는데 오늘은 어떤 갤럭시 시리즈들이 MWC 2014의 삼성 부스를 통해서 소개가 되었는지 잠시 살펴볼까 한다. 이 중에는 이미 국내에 출시가 된 모델들도 있고 또 조만간 출시가 될 모델들도 있다. 더 고급스러워졌다. 갤럭시 노트 3 로즈골드 에디션 MWC 2014 삼성 부스에 있었던 갤럭시 노트 3의 다양한 모델들 중에서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온 녀석은 다름아닌 갤럭시 노트 3 로즈골드(이하 로즈골드) 화이트 모델이다. 난 아무래도 골드를 너무 좋아하는 듯 싶다. 이렇게 골드 에디션만 나오면 눈이 돌아가니 말이다(^^). 테두리를 둘러 싼 골드바 디자인이 ..
-
[MWC 2013] 한국에서는 보기 어려운 유럽을 위한 갤럭시 시리즈. 익스프레스, 엑스커버 2, 영, 페임, 그랜드를 맛보자..Mobile topics 2013. 2. 26. 13:29
이번 MWC 2013에서 삼성전자는 국내에서 선보이지 않았던 갤럭시 시리즈들을 선보였다. 국내의 경우 주로 프리미엄급 모델을 중심으로 출시가 되는데 MWC 2013이 열리는 스페인 바로셀로나를 비롯한 유럽 지역에서는 국내보다는 좀 더 다양한 모델들이 출시되고 있다. 프리미엄급 뿐만이 아니라 보급형 모델 역시 많이 출시가 되는데 이는 국내에서 최근 운영되고 있는 자급제 휴대폰 정책이 유럽에서는 오픈형 모델이라는 이름으로 많이 활성화 되어있기 때문이다. 이번에는 국내에서는 보기 힘든 갤럭시 시리즈들의 유럽형 모델들을 살펴보자. 3G보다 훨씬 더 빠르다. 유럽형 LTE 모델, 갤럭시 익스프레스갤럭시 익스프레스라는 모델이다. 이름만 봐도 딱 알 수 있듯 고속형 모델인데 다름아닌 유럽형 LTE 모델이다. 한국에서..
-
제조사들은 왜 보급형 스마트폰을 출시하는 것일까? 보급형 스마트폰을 요구하는 제 3세계의 스마트폰 시장을 무시할 수 없는 제조사들의 전략적 선택.Mobile topics 2012. 2. 17. 11:50
블로그를 통해서 계속 얘기해오고 있는 내용 중에 하나가 국내 제조사들이 너무 많은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태블릿을 출시하고 있기 때문에 각 버전별 파편화 현상이 계속 이어지고 있고 각 모델별로 지속적인 이슈 관리나 업데이트 등이 어려워서 지원 포기 모델들이 속출하는 문제들이 반복되고 있기 때문에 이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1년에 전략모델 1~2개에 보급형 모델 1~2개쯤, 즉 적어도 3개 이하의 모델을 내놓는 것이 제조사 스스로를 위해서, 그리고 소비자들을 위해서 좋지 않겠느냐 하는 것이고 그런 관점은 지금도 계속 유효한 듯 싶다. 하지만 제조사들이 보급형 모델을 꾸준히 출시하고 있는 이유의 이면에는 나름대로의 고충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일단 한국에서는 보급형보다는 고급형 모델들이 더 많이 팔리는..
-
삼성전자의 안드로이드 4.0 아이스크림샌드위치 업그레이드 이슈와 맞물려 나온 보급형 스마트폰 갤럭시 M. 기대보다는 우려가 앞서는 것이 사실인데.Mobile topics 2012. 1. 5. 12:28
최근 삼성전자가 갤럭시 S와 갤럭시 탭 7인치 모델에 대한 구글 안드로이드 4.0 아이스크림샌드위치(ICS) 업그레이드 불가 입장 표명으로 인해 소비자들의 불만이 꽤나 고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업그레이드를 고려했는데 결국은 못하게 되었고 대신 다른 혜택을 준다는 기사가 나왔는데 다시 삼성전자에서 그런거 고려된 적이 없다는 반박기사가 나오는 등 혼란스러운 상태가 계속되고 있다. ICS의 구동을 위해서는 필요한 최소사양이 존재하는 것은 사실이고 그 최소사양을 갤럭시 S와 갤럭시 탭 7인치 모델이 못맞춰주기 때문에 업그레이드는 불가능하다고 하는 것이 삼성전자의 공식 입장임은 분명하다. 하지만 애플이 아이폰 3Gs에 iOS5를 업그레이드 할 때 Full 기능을 다 지원하는게 아니라 아이폰 3Gs에 맞게 몇개의 ..
-
MS의 윈도 폰 전략, 일단 저가라도 좋으니까 윈도 폰 플랫폼부터 많이 뿌려놓고 보자?Mobile topics 2011. 11. 27. 00:17
최근들어 MS의 모바일 전략 플랫폼인 윈도 폰 7의 국내 출시 소식들이 들려온다. 아직 정식적으로 국내에 출시된 윈도 폰은 없다. 국내에서 많이(?) 돌아다니고 있는 LG의 윈도 폰 7.5 망고 폰(이번에 업글되어가고 있다더라 -.-)인 LG-E900(이걸 옵티머스 7이라고 하는 분들도 있는데 옵티머스 7은 아닌 듯 싶다) 역시 국내에서 정식으로 출시된 윈도 폰은 아니다. 일단 국내에서 가장 먼저 출시되는 정식 윈도 폰은 다음 달(12월)에 KT를 통해서 출시될 예정인 노키아의 루미아 710이 될 것으로 보이며 그 뒤로 삼성과 LG에서 만든 윈도 폰이 출시를 기다리고 있다. 삼성의 경우 옴니아 W가 출시될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번에 미국에서 출시된 포커스 플래시가 국내에 SKT를 통해서 출시될 것으로 알려..
-
SNS와 메시징에 특화된 최초의 국산 안드로이드 폰인 안드로-1.Mobile topics 2010. 3. 11. 06:59
국내 최초의 국내산 안드로이드 폰은 LG전자의 안드로-1에게로 돌아갔다. 이번에 LG전자가 구글의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탑재한 안드로-1을 출시했기 때문이다. 모토롤라의 모토로이에 이어 LG의 GW620 이후의 3번째 국내 구글 폰이 된 안드로-1은 GW620과 마찬가지로 쿼티키패드를 갖춘 보급형 안드로이드 폰이다. 쿼티키패드를 장착했기 때문에 메시징과 SNS에 많이 특화된 스마트폰임을 알 수 있다. 보급형이면서도 스마트폰의 매력을 느낄 수 있는 SNS와 메시징에 타켓을 잡은 것은 잘한 일이라고 생각이 든다. 또한 디자인면에서도 쿼티키패드를 갖췄으면서도 유선형 외관을 채택해 딱딱한 느낌이 아닌 부드러운 느낌을 주도록 한 부분도 칭찬할 만 하다. 주요 사양을 살펴보면 트위터, 페이스북과 같은 SNS를 통합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