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이드라인
-
문서를 모바일 단말기에 남기지 말라는 국정원의 업무용 스마트폰 보안 규격. 이제는 좀 바뀌어야 하지 않을까?Security 2013. 5. 9. 18:42
최근 2~3년동안 꾸준히 화제가 되고 있는 주제가 있으니 다름아닌 스마트워크다. 직장인이 되었건 자영업자가 되었건 일을 좀 효과적으로 하자는 것이 스마트워크의 핵심 주제고 그 배경에는 무선 인터넷의 활성화와 동시에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모바일 단말기 시장의 성장이 있었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혹은 휴대하기가 편한 울트라북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해서 사무실이 아닌 다른 곳에서 작업을 함으로 사무실로의 이동시간을 업무에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물리적인 공간을 차지하는 사무실을 축소하거나 다른 용도로 전용함으로 공간 제약에 대한 부분도 효과적으로 대처하자는 것이 스마트워크를 하고자 하는 정부의 의지가 아니었나 싶다. 어찌되었던 지금도 스마트워크는 여전히 정부를 비롯하여 산업 전반에 화두가 되고 있음..
-
애플, 구글로 인해 미래를 먹혀버린 한국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컨텐츠 산업. 글로벌 업체로의 식민지화는 이미 시작이 되었는데..Mobile topics 2012. 2. 9. 08:30
전자신문에 읽어볼만한 기사 하나가 올라왔다. "[긴급진단] '생태계 식민지' 시작됐다 애플·구글 리스크 공화국"이라는 조금은 자극적인 제목의 기사인데 내용을 보면 애플의 앱스토어와 구글의 안드로이드 마켓에 국내 어플리케이션 시장이 잠식당하고 애플과 구글의 횡포에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한다는 내용이다. 즉, 대한민국의 어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시장이 구글과 애플에 의해서 좌지우지되고 있는 현실이 비판하는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 글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직접 현업에서 서비스를 기획하고 개발하는 입장에서 보면 애매할 수 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최근 애플은 앱스토어에서 휴대폰 내 결재방식을 채택한 앱들에 대한 심의를 강화했다. 즉, 신용카드 이외의 결재를 허용하지 않겠다는 것이고 불응할 때에..
-
소셜 웹을 잘 접근할 수 있는 방법? 미래 비지니스 키워드! 소셜 웹 사용설명서Books 2010. 11. 2. 09:12
이 글을 읽고 있는 분들은 소셜 웹을 어떻게 보고 있을까? 트위터, 페이스북.. 최근 대한민국에 열풍 아닌 열풍으로 인터넷 시장을 확 휘감고 있는 소셜 서비스에 대한 나름대로의 자신만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는 책을 한권 소개할까 한다. 바로 '깜냥이의 웹2.0 이야기!'라는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는 윤상진님이 지은 '소셜 웹 사용설명서'라는 책이다. 이 책은 개인이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에 접근할 때 어떤 생각으로 접근하면 좋을지, 또 개인뿐만 아니라 기업에서도 이제는 소셜 웹 열풍에 빠져들게 되었는데 시대에 뒤떨어지지 않기 위해(물론 소셜 웹을 사용하지 않는다고 해서 시대에 뒤떨어진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다만 대세라고 불리는 어떤 그런 열풍에서 벗어나있으면 왠지 주변에서 그런 식으로 매도(?)하는 것..
-
넥서스 원 출시를 통해서 보여준 구글의 진정한 속내는 무엇일까?Mobile topics 2010. 1. 6. 19:49
오늘 새벽이라고 해야하나. 여하튼간에 미국시간으로 5일에 구글은 구글의 자사 브랜딩이 된 첫 번째 구글 폰인 넥서스 원을 발표했다. 그동안 수많은(?) 구글 폰들이 나왔지만 구글이 구글 자체브랜드로 구글 폰을 낸 것은 넥서스 원이 처음이기에 자사 브랜딩의 첫 번째 스마트폰이라는 표현을 썼다. 디자인이나 성능 등은 이미 알려진 대로인지라 놀랄 부분은 없다. 하지만 구글이 왜 자사 브랜드로 직접 구글 폰을 만들었는지에 대해서는 좀 생각을 해봐야 할 듯 싶다. 난 그동안 구글이 자체적으로 스마트폰을 만들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해왔고 이 블로그를 통해서도 그렇게 말해왔다. 이유는 MS가 왜 자체 윈도 폰을 내놓지 않느냐라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봤기 때문이다. 구글은 안드로이드라는 OS 플랫폼을 개발하는 회사다. M..
-
MS가 원하는 윈도 폰과 모바일 서비스를 위해서는 MS만의 스마트폰이 필요하다Mobile topics 2009. 5. 26. 10:39
Zune HD 컨셉 그림 MS의 윈도 모바일 7에 대한 이야기가 계속 나오면서 끊임없이 나오는 루머들 중에 하나가 바로 MS가 직접 스마트폰을 만든다는 얘기다. Zune Phone(준폰)이라고 불리는 것이 그 대표적인 예다. Zune은 MS가 아이팟을 겨냥해서 만든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로 국내에는 시판이 안되어있지만 북미를 중심으로 조금씩 그 점유율을 높히고 있는 중이다(라고 믿고 싶다. 통계를 보면 암울 그 자체다 -.-). 여하튼 그런 Zune에 최근 Zune의 다음 버전인 Zune HD(준HD)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면서 Zune HD에 윈도 모바일 7(WinMo 7)이 탑재될 것이라는 얘기과 함께 Zune HD의 차기 버전은 휴대폰 기능이 포함된 준폰이 될 것이라는 루머가 마구 떠돌아다니고 있다. 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