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주니의 생각
-
G4의 부진을 뛰어넘기 위해 야심차게 준비한 슈퍼 프리미엄 스마트폰, LG V10의 첫 인상. 그리고 LG의 모바일 브랜드 전략에 대해서..Mobile topics 2015. 10. 1. 19:50
최근 며칠 사이에 신형 안드로이드 스마트폰들이 등장했다. 어제(9/30) 새벽에는 구글이 안드로이드 6.0 마시멜로를 탑재한 최신 레퍼런스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인 넥서스 5X(LG)와 넥서스 6P(화웨이)를 내놓더니 오늘(10/1)은 LG가 슈퍼 프리미엄 스마트폰인 V10을 내놓았다. 물론 구글은 넥서스 말고도 픽셀C라는 태블릿PC를, LG는 어베인 신버전을 내놓았지만 일단 오늘은 LG가 선보인 V10에 대해서 얘기를 해보려고 한다(구글의 넥서스 시리즈 얘기는 이 다음 포스팅때 언급하려고 생각 중이다). 일단 이번에 LG가 선보인 V10은 저번에 내놓은 G4의 업그레이드 버전이라고 보여진다. 그런데 G5가 아니라 V10이라고 새로운 브랜드로 내놓았는데 LG는 G 시리즈를 범용성을 갖춘 프리미엄 스마트폰으로..
-
애플페이, 삼성페이, 안드로이드페이 등 모바일 전자지갑 시장의 춘추전국시대 돌입! 페이 전쟁의 승자는?Mobile topics 2015. 9. 26. 23:18
최근들어 모바일 전자지갑, 모바일 전자결제 시장이 대성황을 이루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른바 XX페이라는 이름의 모바일 전자결제 서비스가 봇물 터지듯 나오고 있습니다. 이른바 페이전쟁(Pay war)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다양한 이름의 모바일 전자결제 서비스들이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애플의 애플페이, 삼성의 삼성페이, 알리바바의 알리페이, SK플래닛의 시럽페이, 그리고 구글이 곧 내놓는다고 하는 안드로이드페이, 그리고 카카오의 카카오페이와 네이버의 네이버페이까지 정말 국내외적으로 다양한 페이 서비스들이 있습니다. 핀테크 열풍에 힘입어 스마트폰의 킬러 앱으로 자리잡고 있는 모바일 전자결제 서비스에 대해서 조금 살펴볼까 합니다. 앞서 어떤 페이 서비스들이 있는지 얘기를 했는데 그 중에서 스마트폰 시장..
-
핀테크 API 2015 컨퍼런스 참여 후기IT topics 2015. 9. 25. 08:00
9월 16일 수요일 명동에 있는 은행회관 국제회의실에서는 핀테크 코리아가 주최하고 IBM이 후원하는 핀테크 API 2015 컨퍼런스가 진행되었다. 최근 핀테크 관련 기술들이 언론에 자주 오르내리고 있으며 삼성의 삼성페이나 애플의 애플페이, 구글의 안드로이드페이와 같은 모바일 단말기 플랫폼에 최적화된 모바일 결제 기술들이 시장에 선보이기 시작했다. 또한 알리바바의 알리페이가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으며 핀테크의 대명사처럼 얘기되고 있는 페이팔 역시 한국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시작하면서 한국에서도 이제 제대로 된 핀테크 산업이 시작되려는 상황이다. 금융권을 비롯한 핀테크(관련) 업체들이 이러한 현실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그리고 금융 관련 오픈 API의 현실이 어떤 상황인가를 제대로 알리려는 것이 이 컨퍼..
-
[HCC 2015] 다양한 스토리지 자원을 통합하여 제공하는 데이터 서비스 플랫폼, 오션스토어 DJCloud service 2015. 9. 24. 00:01
9월 18일 ~ 19일, 이틀간 중국 상해의 엑스포 센터(메르세데츠 벤츠 아레나)에서는 화웨이에서 주최하는 화웨이 클라우드 콩그레스(Huawei Cloud Congress, HCC) 2015가 진행되었다. 화웨이에서 이 블로그도 미디어 자격으로 초청을 해준 덕분에 블로거 자격으로 상해에 가서 직접 HCC 2015의 내용을 들을 수 있었다. 우리가 알고 있는 화웨이라는 기업은 네트워크 장비, 특히 유선 기간망에 들어가는 PBX(Private Branch eXchange)를 만드는 기업으로 알고 있다. PBX 분야에서는 유럽의 에릭슨과 경쟁하고 있으며 이미 세계 No.1의 점유율을 지니고 있는 기업이다. 그런데 화웨이는 PBX 말고도 서버와 스토리지 등 우리가 알고 있는 엔터프라이즈 장비도 함께 만들고 있으..
-
[HCC 2015] 효율적이면서도 안전하고 개방적인 통합 클라우드 OS, 화웨이 퓨전스피어Cloud service 2015. 9. 24. 00:01
9월 18일 ~ 19일, 이틀간 중국 상해의 엑스포 센터(메르세데츠 벤츠 아레나)에서는 화웨이에서 주최하는 화웨이 클라우드 콩그레스(Huawei Cloud Congress, HCC) 2015가 진행되었다. 화웨이에서 이 블로그도 미디어 자격으로 초청을 해준 덕분에 블로거 자격으로 상해에 가서 직접 HCC 2015의 내용을 들을 수 있었다. 우리가 알고 있는 화웨이라는 기업은 네트워크 장비, 특히 유선 기간망에 들어가는 PBX(Private Branch eXchange)를 만드는 기업으로 알고 있다. PBX 분야에서는 유럽의 에릭슨과 경쟁하고 있으며 이미 세계 No.1의 점유율을 지니고 있는 기업이다. 그런데 화웨이는 PBX 말고도 서버와 스토리지 등 우리가 알고 있는 엔터프라이즈 장비도 함께 만들고 있으..
-
[HCC 2015] 클라우드 인프라 개방에 집중하는 화웨이의 클라우드 전략Cloud service 2015. 9. 24. 00:01
9월 18일 ~ 19일, 이틀간 중국 상해의 엑스포 센터(메르세데츠 벤츠 아레나)에서는 화웨이에서 주최하는 화웨이 클라우드 콩그레스(Huawei Cloud Congress, HCC) 2015가 진행되었다. 화웨이에서 이 블로그도 미디어 자격으로 초청을 해준 덕분에 블로거 자격으로 상해에 가서 직접 HCC 2015의 내용을 들을 수 있었다. 우리가 알고 있는 화웨이라는 기업은 네트워크 장비, 특히 유선 기간망에 들어가는 PBX(Private Branch eXchange)를 만드는 기업으로 알고 있다. PBX 분야에서는 유럽의 에릭슨과 경쟁하고 있으며 이미 세계 No.1의 점유율을 지니고 있는 기업이다. 그런데 화웨이는 PBX 말고도 서버와 스토리지 등 우리가 알고 있는 엔터프라이즈 장비도 함께 만들고 있으..
-
[HCC 2015] 개방과 공생을 원하는 화웨이의 클라우드 전략Cloud service 2015. 9. 24. 00:01
9월 18일 ~ 19일, 이틀간 중국 상해의 엑스포 센터(메르세데츠 벤츠 아레나)에서는 화웨이에서 주최하는 화웨이 클라우드 콩그레스(Huawei Cloud Congress, HCC) 2015가 진행되었다. 화웨이에서 이 블로그도 미디어 자격으로 초청을 해준 덕분에 블로거 자격으로 상해에 가서 직접 HCC 2015의 내용을 들을 수 있었다. 우리가 알고 있는 화웨이라는 기업은 네트워크 장비, 특히 유선 기간망에 들어가는 PBX(Private Branch eXchange)를 만드는 기업으로 알고 있다. PBX 분야에서는 유럽의 에릭슨과 경쟁하고 있으며 이미 세계 No.1의 점유율을 지니고 있는 기업이다. 그런데 화웨이는 PBX 말고도 서버와 스토리지 등 우리가 알고 있는 엔터프라이즈 장비도 함께 만들고 있으..
-
애플의 12.9인치의 대형 화면을 탑재한 아이패드 프로. 죽어가고 있는 태블릿 시장에 생산성을 무기로 엔터프라이즈 시장에 도전하기 시작한 애플의 노림수는?Mobile topics 2015. 9. 17. 06:34
지난 주 목요일 새벽(한국 시간으로 9/10일 새벽 2시)에 진행된 애플의 신제품 이벤트에서 애플은 작정하듯 애플TV, 아이폰, 아이패드, 애플워치 등의 애플 제품군들을 막 쏟아내었다. 2시간 넘게 진행된 이벤트를 통해서 PC 계열을 제외한 전 제품들(아이팟은 빼고)의 크고 작은 변화가 있었는데 그 중에서 눈에 들어오는 제품을 한두개 찍어서 얘기해볼까 한다. 정말로 나왔다. 12.9인치의 대화면 아이패드, 아이패드 프로 아이패드 프로(iPad Pro). 결국에 나왔다. 과연 나올까 싶었는데 정말로 나왔다. 12.9인치의 크기는 어지간한 노트북 화면 크기다. 일전에 삼성에서 갤럭시 노트 프로, 갤럭시 탭 프로 등 12인치급의 프로 시리즈를 내놓았었는데 그것의 아이패드 버전이라고 보면 된다. 기존의 9.7인..
-
사례를 통해 살펴보는 IBM z Systems z13을 통한 데이터 분석 및 활용IT topics 2015. 9. 17. 06:31
시스템의 컨셉이 아무리 좋아도 실제로 써먹지 못하면 의미가 없다는 것은 누구나 다 아는 일이다. 특히나 IT 업계에서는 매년 정말 다양한 컨셉의 IT 기술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기는 하지만 그것이 실제 삶의 질로 연결되거나 기업에서 업무 생산성 향상, 또는 수익성 향상으로 이어지는 일이 그렇게 많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웹 2.0 시대로 넘어온지 벌써 10년이 훌쩍 넘었지만 기업들이나 정부, 공공기관들은 이제야 그것들을 조금 활용하려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 사실이기도 하고 말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웹 2.0, 모바일, 빅데이터, 실시간 데이터분석 등 다양한 IT 기술들이 쏟아져 나오고는 있지만 이들 중에서 제대로 기업이나 정부기관에서 써먹는 경우는 많지가 않다. 하지만 제대로 써먹을 수만 있다면 ..
-
웹 기반의 Open API를 쉽고 편리하게 관리해주는 IBM의 API Management 솔루션 이야기IT topics 2015. 9. 16. 11:45
최근 API의 제공에 대해서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으며 웹 기반의 API인 Open API를 제공하는 기업들이 늘어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자사의 서비스 자원을 이용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어 수익을 창출하고 그 안에서 자사의 서비스 사용을 통한 비용 지불을 통해 새로운 수익 사업으로 각광받기 시작하는 것이 Open API 사업이라는 얘기다. 물론 웹 2.0 개념이 본격화되기 시작하면서 Open API에 대한 관심이 많아졌고 Open API를 제공하는 기업들이 생기기 시작했다는 것은 알고는 있지만 최근에는 이런 Open API를 적극적으로 수입원으로 잡아서, 아니면 마케팅 도구로 삼아서 제공하려는 기업들이 많아지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그렇다면 이런 Open API를 어떻게 관리하는가가 Open 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