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주니의 생각
-
성실하다면 학력따위는 아무것도 아니다.IT topics 2008. 1. 23. 17:44
어제는 회사에서 회식이 있었다. 전체회식은 아니고 연구소와 기술지원팀의 연합회식이었다(참고로 회사에는 여러개의 부서들이 있다). 그 자리에 사장님이 연구소장 자격으로 참가하셨다. 술이 오가고 고기가 오가는 가운데 어제 있었던 면접에 대해서 이야기가 나왔다. 사람은 괜찮은거 같은데 학력에 걸려서 뽑을지 말지 고민중이라고 하셨다. 내 밑에 들어올 직원을 뽑는 일이기에 내가 적극적으로 뽑으라고 권했다. 이쪽 계통에서 일하다 느낀 부분이 여기서는 학력은 큰 의미가 없고 일단 성실하다면 성공할 수 있는 확률은 높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내 적극적인 의견개진(?) 덕분인지 오늘 오후에 경영기획실 상무가 오더니 입사조건을 조율해보겠다고 하더라. 이제 이 회사에 있은지 횟수로 4년, 만 3년이 되어가기 때문에 어느정도..
-
편파판정의 아시아핸드볼연맹, 한국와 일본을 제명하려해..Current topics 2008. 1. 22. 18:28
회사에서 외근지에서 본사로 복귀하는 도중에 DMB로 mYTN을 시청하고 있는데 좀 황당한 뉴스를 들었다. 아시아핸드볼연맹(AHF)이 한국과 일본을 제명하려 한다. 올림픽 예선때 AHF는 중동의 오일머니에 휘들려 편파판정으로 쿠웨이트(남자)와 카자흐스탄(여자)에 베이징 티켓을 건네주었다. 이에 한국과 일본은 편파판정으로 인한 잘못된 경기라며 국제핸드볼연맹(IHF)에 항의했으며 IHF는 AHF에 제 3국에서 재경기를 하라고 요청했다. 그런데 AHF는 재경기를 인정할 수 없다며 배짱을 부렸고 결국 한국과 일본을 AHF에서 제명시키겠다고 엄포를 놓았다는 뉴스다. 알다시피 AHF는 쿠웨이트 왕가가 꽉잡고 있는 상황이다. 그렇기 때문에 AHF는 쿠웨이트 왕가에 잘보이기 위해 쿠웨이트를 갖은 편파판정으로 한국과 일본..
-
500개 포스팅을 기록하며Blog 2008. 1. 21. 17:07
어느덧 블로그에 글을 쓴지가 어언 1년이 넘어가는데 방금 전 글로 500개의 글을 포스팅했다. 1월 9일부터 태터툴즈를 이용해서 블로깅을 본격적으로 시작했고 중간에 티스토리로 넘어갔다가 블로그를 2개로 나눴고 다시 합쳤으며 TechRoad.NET이라는 새로운 블로그를 만들어서 운영하다가 다시 학주니닷컴으로 합쳤고 그리고 마지막으로 텍스트큐브로 블로그 툴을 옮기기까지 참으로 많은 일들이 있었다. 작년 1월 9일부터 지금까지 대략 365일하고도 11일이 지났다. 날수로 따지면 376일이며 간단한 계산으로 하루에 1.3개의 글을 쓴 셈이다. 1.3개라는건 솔직히 좀 그렇고 3일에 4개씩 썼다고 보는게 더 편할지도 모르겠다. 어떤 때는 하루에 4~5개씩 포스팅을 했고 어떤 때는 일주일 내내 포스팅을 안할때도 있..
-
구글, 블로거 서비스에 OpenID 적용IT topics 2008. 1. 21. 16:03
야후에 이어 구글도 OpenID를 지원하기 시작했다는 소식이다. 그런데 야후의 경우 전면적으로 OpenID를 지원하는데 비해 구글은 구글의 블로그 서비스인 구글 블로거에서 먼저 OpenID를 지원하기 시작했다. Google Offers OpenID Logins Via Blogger (TechCrunch) TechCrunch에서는 지난주 야후가 OpenID를 지원하기 시작한 이후에 2500만 야후 사용자가 OpenID를 이용하여 야후에 로그인을 할 수 있었으나 구글은 100만에서 500만정도의 구글 블로거 사용자들이 OpenID의 혜택을 누리게 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런데 문제는 구글 블로거는 스팸 블로거로 유명할 정도로 각종 쓰레기 블로그로 가득차있는 상태다. 구글에서조차 구글 블로거를 포기했다고 말한..
-
야후, 직원의 20%를 해고하기로..IT topics 2008. 1. 21. 14:08
야후의 사정이 어렵기는 어려운가보다. 야후가 다이어트를 시작한듯 싶다. Yahoo To Cut 20% Of Its Workforce? (TechCrunch) TechCrunch에 따르면 야후는 12000여명의 야후 직원 중에서 20%를 해고시키기로 결정했다고 한다. 이는 야후의 전 CEO인 테리 세멜이 지난 6월에 야후를 떠난 이후에 최대 해고사태가 될 듯 싶다. 구글보다 더 많은 트래픽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야후 주식은 12주동안 내내 저조했다. 트래픽을 기업 자산 가치로 바꾸는데는 실패한 셈이다. 최근 구글의 상승세와 더불어 야후의 트래픽 역시 조금씩 높아져가고 있는 추세지만 야후의 자산가치는 구글에 비해서 턱없이 떨어졌으며 주식역시 점점 가치가 낮아져가고 있는 추세라고 한다. 위에서 언급한대..
-
야후 검색결과에 델리셔스 승차IT topics 2008. 1. 21. 14:08
야후의 검색결과에 약간의 변화가 생긴다. 아직 정식으로 서비스가 되고있지는 않지만 야후의 검색결과에 델리셔스의 북마크 지수(얼마나 많이 북마크를 했는가)가 함께 결과에 나오는 것이다. 아직 일부 사용자들에게만 제공되는 베타 테스트인듯 싶다. Delicious Integrated Into Yahoo Search Results (TechCrunch) TechCrunch에서 공개한 스크린샷을 보면 델리셔스 아이콘으로 나타나는 각 링크의 북마크 지수가 보인다. 위에서 얘기했듯 아직 정식 서비스가 아니기 때문에 일부 사용자들에게만 시험적으로 제공되고 있는 듯 싶다(테스트로 해봤지만 아직 안된다). 야후의 이런 소셜 북마크와 검색결과의 조화는 꽤 좋은 아이디어라고 생각이 든다. 검색 알고리즘에 소셜 북마크 지수도 ..
-
RSS의 공개여부? 블로그의 철학에 따른다.Blog 2008. 1. 21. 10:11
요즘 RSS의 공개 부분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나오고 있다. 부분공개가 좋은 것이냐 전체공개가 좋은 것이냐에 대해 블로고스피어에서 많은 논쟁이 있는 것으로 안다. 나 역시 예전에 논문을 쓴답시고 RSS에 대해서 약간 공부한 적이 있었는데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지금의 논쟁을 나름대로 생각해보고자 한다. RSS. 2가지 의미가 있다. RDF Site Summary의 약자, 혹은 Really Simply Syndication의 약자로 정의된다. 전자는 RSS 1.0을 의미하고 후자는 RSS 2.0을 의미하며 최근 블로그나 기타 사이트에서 지원하는 RSS는 대부분 RSS 2.0을 의미하므로 후자의 의미를 사용한다. 원래는 팟캐스팅용으로 많이 사용되던 프로토콜인데 블로그 등에 채택되면서 급격히 확산되어 지금에 ..
-
Yahoo, FoxyTunes를 인수할려고 준비중?IT topics 2008. 1. 19. 13:48
야후가 폭시튠즈(FoxyTunes)를 사드릴려고 준비중이라는 루머가 나왔다. Yahoo May Be Looking To Buy Israel’s FoxyTunes (TechCrunch) 폭시튠즈는 웹브라우져인 파이어폭스의 플러그인으로 유명한 미디어 플레이어를 컨트롤하여 웹브라우져에서 재생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그램이다. 야후는 미래에 대규모의 미디어 센터를 제공할려고 준비중이며 그러한 계획중 하나로 최근에 웹기반의 사용하기 쉬운 미디어 플레이어를 출시했다. 또한 폭시튠즈가 만든 그러한 기능은 향후 야후가 준비중인 미디어 센터의 계획속에 사용할려고 계획중인 것이다(말이 애매한데 폭시튠즈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술은 향후 야후가 제공할 미디어센터에서 제공할 예정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루머에 불과하다..
-
올블로그 어워드 2007을 보면서...IT topics 2008. 1. 18. 14:14
어제 올블로그에서 올블로그 어워드 2007 발표가 있었다. 그동안 올블로그에 노출된 블로그들중에서 나름 기준에 의해서 선정된 100개의 블로그(순위도 있다)에 대한 이야기다. 얘기를 들어보니 문화관광부에서 오프라인 시상식도 지원해준다고 한다. 올블로그의 위상이 예전과 달리 많이 높아진거 같다는 생각이 든다. 난 시상과는 거리가 좀 먼 사람인거 같다. 쥔장이 이러니 블로그도 그런가. 솔직히 올블로그 이외에도 티스토리나 다음 블로거뉴스 등에서도 우수블로그 시상이 있었다. 그런데 한군데도 이름을 올려보지 못했으니 참으로 주인 잘못만나서 빛을 못보는 블로그가 아닐 수 없다(미안하다. 학주니닷컴!). 다만 올블로그 뿐만 아니라 다른 메타블로그의 우수블로그 시상을 보면서 왠지 씁쓸함을 감추지 못하는 이유가 무엇일까..
-
신뢰를 잃어가고 있는 인터넷 검색엔진IT topics 2008. 1. 18. 10:46
검색엔진의 결과를 더이상 신뢰하지 않는다. TechCrunch 기사를 쭉 읽다보니 다음의 내용이 있어서 흥미있게 보게 되었다. Search Atheism On The Rise (TechCrunch) 검색엔진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수는 늘어가고 미국을 포함한 전세계적으로 구글 검색엔진을 사용하고 있는 네티즌들은 증가하고 있지만 그 검색결과에 대해서 신뢰하는 사람들은 점점 줄어들고 있다고 한다. USC(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검색결과를 신뢰하는 사람들이 겨우 전체의 51%라고 한다. 이는 2006년의 62%에서 감소한 것이다. 특히 구글은 미국에서 가장 인기있는 검색엔진이지만 신뢰성은 겨우 절반가까이(49%) 된다고 한다. 인터넷은 그동안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