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
-
카카오뱅크의 리눅스 시스템의 메인 시스템 도입이 가져오게 될 금융권 IT 환경의 변화는?IT topics 2017. 9. 2. 13:06
올해 들어 IT 업계 뿐만이 아니라 금융권 전체를 뒤흔들고 있는 이슈는 인터넷전문은행의 공식 출범이다. 올해 초의 케이뱅크와 중반기의 카카오뱅크의 공식 런칭은 금융권 전체를 뒤흔들고 있다. 특히 카카오뱅크 출범 이후 급속도로 늘어나는 가입자수와 그에 따른 다양한 이슈는 다른 금융권의 서비스 정책을 뒤흔들고 있다. 캐시카드의 캐시백 서비스를 더 늘린다던지 뭐 그런 다양한 서비스의 변화를 이끌고 있다. 카카오뱅크보다 먼저 출범한 케이뱅크도 카카오뱅크만큼의 파괴력은 아니지만 그래도 조용하게 나름 영향력을 키우고 있는 중이라 생각이 든다. 나도 카카오뱅크를 이용하고 있는데 아직까지는 사용성면에 있어서 무척이나 만족스럽게 사용하고 있는 중이다. 기존 금융권 시스템의 코어는 지금까지는 유닉스! 카카오뱅크의 출범이 ..
-
카카오은행의 주전산시스템 DBMS 구축 정책 중 탈 오라클 정책에 대해서.. (하지만 이변은 없었다 -.-)IT topics 2016. 4. 7. 10:09
* 밑에 추가로 언급을 했지만 카카오은행의 주전산시스템 DBMS가 오라클로 결정이 될 듯 싶다. (4/7 수정) 이제 본격적으로 인터넷전문은행의 본 인가를 향해 가는 듯 싶다. KT를 중심으로 하는 K뱅크와 카카오를 중심으로 하는 카카오은행의 실질적인 시스템 구축 방안들이 언론을 통해서 조금씩 나오고 있는데 흥미있는 내용들이 좀 보여서 나름대로 그냥 생각나는 부분만 내 생각을 적어보려고 한다. 카카오은행의 DB 인프라를 외산 DBMS인 오라클이 아닌 국내 DBMS, 혹은 오픈소스로 된 DBMS를 선택할 것이라는 뉴스가 나왔다. 그 동안의 국내 은행권의 메인 DB 인프라는 대부분 오라클 DBMS를 사용해왔다. 아무래도 오랜기간동안 기술을 축적해왔고 꾸준히 버전업이 된 오라클이 안정성 부분이나 성능 부분에서..
-
IBM Cloudant DBaaS 서비스의 특징 및 장점Cloud service 2016. 2. 1. 21:13
이 블로그를 통해서 몇번 IBM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클라우드 DB 솔루션인 Cloudant에 대해서 소개한 적이 있다. 간략하게 직접 써보고 후기를 써보기도 했다. IBM은 Cloudant를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에서 제공하기 때문에 DBaaS(Database as a Service)라고 정의하고 있는데 실제로 클라우드 환경 안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클라우드 서버에 데이터를 저장하기도 하지만 로컬 스토리지에 동기화 시킬 수 있는 기능도 있어서 양쪽에서 편한 접근 방법으로 DB 서비스를 제공받고 그에 맞는 서비스를 만들수 있다는 것이 Cloudant의 장점이라고 할 수 있을 듯싶다. 이제부터 간단하게 IBM의 DBaaS인 Cloudant의 특징과 장점에 대해서 얘기를 해볼까 한다. Cloudant는 ..
-
보안 위협을 분석, 예측하는 보안 관제 시스템. 빅데이터 시스템의 도입으로 더 발전하게 되는데..Security 2014. 7. 21. 07:13
최근 몇년 사이에 화두가 되는 IT의 아이템이라고 한다면 여러가지가 있을 것입니다. IoT, 빅데이터, 웨어러블.. 이전에 IoT의 보안에 대해서 언급한 적이 있는데 오늘은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보안 솔루션에 대해서 얘기를 해볼까 합니다. 참고로 먼저 결론 비스므리한 얘기하자면 최근에 얘기가 나오고 있는 빅데이터의 컨셉을 어떻게 보면 가장 먼저 활용한, 빅데이터라는 단어 자체가 시장에 퍼지기 전에 먼저 시장에서 그 컨셉을 사용하고 있었던 분야는 다름아닌 보안분야입니다. 그 이야기를 좀 해볼까 합니다. 과거의 현재의 데이터를 통해서 패턴을 찾아 미래를 예측하는 빅데이터 시스템 빅데이터에 대해서 솔루션들을 얼추 찾다보면 현재까지는 솔루션의 컨셉이 대부분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향후에는 더 발전..
-
이노무 때려죽일 Oracle 같으니라고. -.-;Personal story 2007. 6. 28. 17:55
정말이지. 이노무 Oracle때문에 돌아가실 지경이다. 실로 몇년만에 다루는 Oracle인지. 내용인즉 이렇다. 회사에서 예전에 만들어준 프로그램이 있는데 그 프로그램이 데이터를 Oracle에 저장을 한다. 그런데 그 프로그램에서 저장된 데이터에 문제가 있어서 그걸 잡아주는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했다. 결국 테스트를 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체의 데이터베이스 환경을 구축해야 했고 알아보니 Linux에 Oracle이더라. 그래서 회사에 있는 테스트 PC에 Linux를 설치하고 Oracle도 설치해야 했다. 그런데 이노무 Oracle이라는 놈이 보통 까다로운 놈이 아니다. 일단 Linux용 Oracle 설치 파일을 찾는데도 시간이 걸렸다. Oracle에서 아마도 공식적으로는 Oracle 9i부터 지원하는것 같았다..
-
웹 애플리케이션 전쟁 본격화 되나? (구글 기어)IT topics 2007. 6. 19. 11:15
하도 ZDNet Korea가 업데이트가 안되서 답답했는데 이번에 가보니 동작은 하더라. 그래서 못다한 기사나 칼럼등을 쭉 읽어보고 있었다. 그리고는 다음의 칼럼에 눈이 꽃혔다. 웹 애플리케이션 전쟁 본격화 되나? (ZDNet Korea) 칼럼에서는 구글 기어(Google Gear)를 차세대 웹 플랫폼의 모델로 지목을 했다. 구글 기어란 뭔가? 간단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웹을 통한 정보 전달은 말 그대로 웹을 통해서고 그것은 곧 온라인에서 전달됨을 의미한다. 인터넷이란 온라인에서 의미가 있다. 그런데 이 부분을 오프라인까지 확대하겠다는 것이다. 구글 기어는 파이어폭스와 같은 웹 브라우저의 플러그인 형식으로 제공되며 온라인일 때 데이터들을 웹 브라우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뒀다가 오프라인일 때 온라인떄와 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