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
-
월패드 해킹에 대한 정리Security 2021. 12. 14. 18:02
이 글을 쓰는 시점에서는 좀 시기가 지난 얘기(?)일 수도 있겠지만 최근들어 아파트 등과 같은 공동주택에 편의성을 위해 설치된 월패드를 해킹해서 안에 사는 사람들의 사생활이 유출되는 문제가 일어나고 있다. 지금은 아니지만 과거에 관련 보안업계에서 일했던 사람으로서 관심이 있어서 어떤 상황인지 조금 정리를 해보고자 한다. 월패드가 뭔가? 일단 월패드가 뭔지부터 좀 봐야할 듯 싶다. 내 경우 월패드가 설치된 아파트에서 살아본 경험이 없어서 그런지 월패드라고 하면 그냥 대문이나 아파트 입구의 카메라를 통해서 방문자를 확인한 후 문을 열어주거나 관리실이나 경비실과 통화할 때, 혹은 다른 집과 통화를 할 때 쓰는 기기 정도로 알고 있다. 그런데 요즘 월패드는 그정도를 넘어서 홈네트워크 허브, 홈 디바이스 컨트롤러..
-
홈 시큐리티의 인공지능 접목, AI 보안시대에 접어들기 시작하다Security 2018. 12. 20. 21:32
AI 기술을 가진 기업의 물리보안 진출 지난 10월 1일에 SK텔레콤(이하 SKT)은 국내 물리보안 시스템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던 ADT캡스를 인수했다고 발표했다. 자회사로 편입시키는 것이 아닌 일단 지분 55%를 확보하여 경영권을 가져간 것이다. 하지만 SKT는 ADT캡스가 갖고 있는 물리보안 시장에 자사가 갖고 있는 인공지능 기술, 영상보안기술, IoT 기술, 빅데이터 기술 등을 도입해 인공지능이 가미된 물리보안 시스템을 만들겠다고 밝힌 상태다. 지난 9월 20일에 미국의 아마존은 자사가 보유하고 있는 인공지능 시스템인 알렉사를 활용하는 새로운 디바이스 및 서비스 14종을 아마존 알렉사 하드웨어 이벤트를 통해 발표했는데 발표한 제품들과 서비스들 중에서 알렉사 가드(Alexa Guard)..
-
[갤럭시 노트 3] 모바일 보안을 좀 더 확실하게.. 삼성 녹스를 갤럭시 노트 3에서 만나보자.Review 2013. 12. 11. 13:10
지난 2월, MWC 2013에서 삼성은 기업형 모바일 보안 솔루션인 삼성 녹스(Samsung Knox)를 선보였다. 개인적으로 보안에 관심이 많고 하고 있는 일도 보안쪽인지라 이 솔루션에 대해서 많은 관심을 갖고 있었다. 그래서 언제쯤 나오나, 언제쯤 만져볼 수 있을까 하고 기다렸는데 이번에 갤럭시 노트 3에 삼성 녹스가 기본탑재가 되어있는 것을 보고는 즐거운 마음으로 살펴보게 되었다. 일단 삼성 녹스의 기본 개념부터 살펴보는 것이 좋을 듯 싶다. 그래야 밑에서 설명하는 내용들을 이해할 수 있으니 말이다. 삼성 녹스는 어떤 녀석?삼성 녹스는 갤럭시 노트 3의 기본 상태 위에서 따로 가상화 기법을 사용하여 안드로이드 안에 다른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실행시키는 방식으로 일반 환경과 다른 보안 환경을 제공해주는..
-
[MWC 2013] 스마트폰에서 개인용과 업무용을 완벽히 나눠서 쓰게 해준다면? 삼성의 모바일 보안 솔루션, 삼성 녹스(Samsung Knox)Security 2013. 2. 28. 08:00
이번 MWC 2013에서 삼성전자는 3가지 메인 테마를 잡았다고 이전 포스팅에서 살짝 언급했다. 모바일 카테고리 중에서 단말기, 클라우드 서비스, 그리고 보안 분야를 나눴고 그 중에서 단말기에는 갤럭시 노트 8.0을, 클라우드 서비스에는 홈 클라우드 솔루션인 홈싱크를, 그리고 보안 분야에서는 이번에 소개할 녹스(Knox)를 내세웠다고 말이다. 이 포스트에서는 약간은 어려운 얘기일 수 있지만 삼성전자가 B2B(기업형) 서비스로 내세운 모바일 보안 플랫폼인 녹스에 대해서 살펴볼까 한다. 녹스의 기본 컨셉은 개인용 공간과 업무용 공간을 모바일 단말기 안에서 나눈다는 것이다. 즉, 개인용 공간에는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배치하고 업무용 공간에는 업무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배치해서 서로의 데이터를 간..
-
ESM에 대해서IT topics 2008. 11. 7. 17:58
1. ESM의 개요 ESM은 Enterprise Security Management의 약자로 네트워크를 통해 들어오는 모든 위험요소들을 총체적으로 분석하여 미리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운영자에게 알려주는 시스템이다. 네트워크 운영자 및 서버시스템 운영자는 ESM을 통하여 얻어온 위험 정보를 바탕으로 네트워크에 생겨질 이상부분을 미리 파악하고 대처할 준비를 함으로 시스템 운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2. ESM의 구성 (1) 구성요소 에이전트 : 방화벽이나 침입방지시스템, 게이트웨이, 라우터 등의 장비에서 정보를 수집하여 실시간으로 수집 서버에 전송하는 시스템 수집 서버 : 각 장비에 탑재되어 있는 에이전트를 통하여 들어온 정보들을 수집 및 정리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 및 분석 서버에 전송하는 시스템 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