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P
-
퀄컴의 스냅드레곤을 성능에 따라 나누다. 퀄컴 소셜미디어 데이 스케치Mobile topics 2011. 9. 29. 08:30
퀄컴의 스냅드레곤은 진화할 것인가? 모바일 칩셋 시장이 거의 전쟁통으로 변해가고 있는 현재에 있어서 적어도 퀄컴이 그리고 스냅드레곤이 갖고 있었던 나름대로의 가치가 엔비디아의 테그라, 삼성의 엑시노스, Ti의 OMAP 등의 경쟁사들의 성장으로 많이 흔들리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런 시점에서 퀄컴은 현재의 스냅드레곤을 단순화하지 않고 더 세분화하고 나름대로의 레벨로 분류해서 차별화하는 방식을 취하게 되었다. 최근 퀄컴이 소셜미디어데이를 통해서 밝힌 스냅드레곤의 향후 방향성을 좀 정리해보고자 한다. 퀄컴의 스냅드레곤에 대한 방향성의 위의 프리젠테이션 자료를 보면 얼추 알 수 있을 것이다. 일단 퀄컴은 스냅드레곤을 S1부터 S4까지 분류했다. 먼저 S1은 초창기 스냅드레곤 제품을 의미하며 특징으로는 65나노..
-
인터넷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도록 노력해야 할 필요가 있다!!!Cloud service 2008. 9. 1. 18:09
전 세계적으로 인터넷 트래픽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을 무엇일까? 인터넷 트래픽 속에는 수많은 정보들이 오가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 중에서 가장 많은 트래픽을 차지하는 것은 다름아닌 P2P 데이터들이 아닐까 싶다. P2P 서비스의 대명사인 비트토랜트부터 시작하여 국내에서는 음악공유 서비스인 소리바다나 아니면 웹하드 서비스들이 그런류의 트래픽을 유발하는 서비스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서비스들이 왜 이리도 트래픽을 많이 잡아먹느냐고 말한다면 이들이 다루고 있는 데이터들이 기본적으로 대용량 데이터들을 다루기 때문이다. 영화, 드라마, 게임 데이터등 뭐 기본이 4~500MB들로 구성된(최근에는 동영상들이 1GB가 넘는게 많이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데이터들이 서로 오가다보니 인터넷 트래픽의 상..
-
블로그 등의 개인영역 인터넷 실명제에 대해서IT topics 2007. 8. 24. 18:18
요즘 한참 얘기가 나오는 것이 바로 인터넷 실명제가 아닐까 싶다. 공직선거법으로 인해 제한적으로 시행된 인터넷 실명제가 정보통신망법으로 옮겨져서 포탈 사이트에서는 기본으로 실명확인을 한 후에 덧글이나 글을 남길 수 있도록 해놨다. 그리고는 문화관광부는 저작권법의 확실한 자리잡힘을 위해 블로그 및 P2P, 웹하드에까지 업로드를 할 때 실명확인을 한 후에 업로드를 할 수 있는 실명제를 도입하겠다고 나서서 파문이 일고 있다. 공공영역인 포탈에 이어 개인 영역인 블로그, P2P, 웹하드에까지 감시를 하겠다는 의미로 비춰지고 있다. 개인의 정성이 담긴 저작물에 대해서는 분명 정당한 가치를 인정받아야 하며 보호되어야 할 대상임은 분명하다. 그리고 자신이 한 행동(글이나 덧글 등)에 대해서는 책임을 져야 함은 당연한..
-
불법 영화 다운로드를 막기위한 영화계와 웹하드 업체와의 싸움?IT topics 2007. 8. 13. 10:15
영화계에서 본격적으로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불법 영화파일의 공유에 대해서 제제를 시작할 모양이다. 영화인협의회 vs P2P-웹하드, '기(氣)싸움' 본격화 (아이뉴스24) P2P및 웹하드 제공 업체쪽에서는 불법 동영상 필터링 기술 도입을 다음달부터 도입하기로 했다는 내용이다. 다만 기술을 도입한다고 하더라도 그 실효성이 얼마나 있을지는 의문이고 그로 인해서 앞으로 계속 영화계와 기싸움을 벌일 것이라는 내용이다. 영화계 입장에서 본다면 솔직히 P2P 및 웹하드 서비스 업체는 불법 영화 제공의 온상이며 영화계를 죽이는 대표적인 악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현재 한국의 영화계 침체 중 대부분을 영화를 영화관에서 안보고 인터넷을 통해 다운받아서 보는 것 때문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일려나. 물론 어느정도 그런 부분도 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