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CNS
-
인터넷전문은행의 예비승인 인가가 갖는 의미와 국내외의 동향, 그리고 앞으로의 길은..IT topics 2016. 2. 2. 18:25
최근 인터넷 전문은행의 예비인가 승인과 의미 2015년 11월말에 인터넷전문은행 예비인가 승인이 나왔다. 2군데의 승인이 난 곳은 카카오, 한국투자금융지주, 국민은행 등이 컨소시엄을 맺은 한국카카오은행 컨소시엄(이하 한국카카오은행)과 KT, 우리은행, 알리바바, 한화생명보험, GS 리테일 등이 컨소시엄을 맺은 K뱅크 컨소시엄(이하 K뱅크)이었다. 인터넷전문은행이라는 타이틀이 붙기는 했지만 무려 23년만에 새로운 은행이 인가된 것이다. 그리고 이 인터넷전문은행의 예비인가 승인은 그동안에 몇차례 시도되었다가 실패했던 시도 끝에 성공된 것이라 여러가지로 의미가 깊다고 볼 수 있다. 이번 인터넷전문은행의 예비인가 승인 이전에 2차례의 시도가 있었지만 법적인 문제와 사회의 인식 부족으로 인해 무산되었기 때문이다...
-
가트너가 발표한 2016년 기술 트랜드를 이끌 10대 전략 기술에 대해서...IT topics 2015. 12. 11. 09:22
세계적인 정보 분석 기업인 가트너는 매년 말에 그 다음 해에 전략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기술들을 10대 전략 기술이라는 타이틀로 발표했는데 이번에도 어김없이 2016 년 10대 전략 기술을 발표했습니다. 가트너가 그동안 발표해온 10대 전략 기술들이 매년 다 정확히 맞아 떨어지는 경우는 없지만 그래도 어떤 기술이 시대를 이끌고 갈 것인지에 대해서 나름대로의 기준이 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고 또 발표 내용에 따라서 기업들 입장에서도 집중해야 할 기술을 선정하는데 도움이 되어온 것은 사실입니다. 이번에 발표한 2016년의 10대 전략 기술은 3개의 카테고리에 10개의 기술을 선정해서 발표했습니다. 참고로 가트너가 발표하는 10대 기술들을 보면 몇년간 동일하게 발표되는 기술들도 존재합니다. 그 기술은 그만큼 시..
-
클라우드 발전법의 시행과 함께 성장할 SaaS 마켓플레이스 시장.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을 위한 SaaS 마켓플레이스는 과연 어디가?Cloud service 2015. 10. 15. 18:17
곧 시행되는 클라우드 발전법의 의미 많은 IT 기업들, 특히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의 숙원이었던 클라우드컴퓨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안(클라우드 발전법)이 드디어 9월 28일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됨에 따라 공공기관이나 정부기관 뿐만이 아니라 대기업이나 중소기업 등 국내 다수의 산업 분야에서 클라우드 서비스의 활용을 어떻게 가져가는가에 많은 의견들이 나오고 있고 주장들이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분명 클라우드 발전법은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을 하는 기업 입장에서는 새로운, 그리고 확실한 수익 사업이 될 것이고 IT 자원의 효율성을 생각하고 있는 기관이나 기업 입장에서는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으로 생산성 및 비용 절감 등의 효율성을 극대화 하려고 이것저것 진행할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이래저래..
-
세계 Top 데이터센터와 어깨를 겨루는 LG CNS의 부산 데이터센터IT topics 2015. 9. 9. 22:37
인터넷 비즈니스의 성장과 데이터센터의 중요성 요 몇년 사이에 인터넷 비즈니스가 많이 성장했다. 인터넷 비즈니스는 인터넷을 이용한 웹 서비스 뿐만이 아니라 웹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구성요소들이 다 포함된 통합 경제를 의미한다. 웹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웹 서버와 그 웹 서버를 실제로 구동시키기 위한 하드웨어, OS, 내부 소프트웨어 뿐만이 아니라 데이터들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과 보안을 위한 다양한 시스템까지 인터넷 비즈니스의 성장에는 이런 모든 구성요소들의 성장도 한몫을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런 인터넷 비즈니스는 기업의 전산실에 해당 장비들을 세팅하고 전용망이든 초고속 인터넷망이든 연결해서 서비스를 진행한다. 어느정도 규모가 작은 인터넷 비즈니스라면 충분히 기업 안에 있는..
-
클라우드 시스템 환경에서의 서버 시스템 보안에 대해서Security 2015. 6. 8. 08:00
최근들어 엔터프라이즈 컴퓨팅 환경이 데스크탑이나 노트북과 같은 PC 계열에서 모바일 환경으로 넘어가고 있는 추세입니다. BYOD가 업무 효율성이 높다는 얘기가 나오면서 기업들이 경쟁적으로 모바일 업무 환경을 도입하기 시작했고 모바일 업무 환경을 뒷받침해주는 기반 시설을 본격적으로 고민하고 갖추기 시작한 것입니다. 비단 BYOD를 이용하기 위한 모바일 업무 환경 뿐만이 아니라 사무실 안에서 자원 효율성을 높히고 자료의 외부 유출을 막는 등 효율성과 보안을 고려한 업무 환경에 대해서 고민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업무 시스템이 도입되면서 수집된 데이터의 보관 및 처리에 사용될 시스템 자원을 유동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환경도 함께 고민하는 시기가 왔습니다. 이런 시스템 환경을 만족시켜..
-
IoT에서 활용하는 장애허용시스템. 이제는 옵션이 아닌 필수 기술이 되어가고 있는데..Mobile topics 2015. 4. 15. 16:00
이번 스페인 바로셀로나에서 개최했던 MWC 2015의 핵심 주제는 IoT라고 봐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물론 MWC 2015의 시작 전에 삼성전자가 언팩 2015를 통해 갤럭시 S6와 S6 엣지를 발표하고 MWC가 지정한 가장 우수한 스마트폰으로 애플의 아이폰6와 함께 LG의 G3가 뽑혀서 행사 내내 스마트폰에 대한 이슈가 많았던 것은 사실이지만 현지에 있었던 지인들의 이야기들을 들어보면 올해의 MWC는 IoT가 장악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고 합니다. MWC 2015에서는 자동차와 관련된 IoT 기술들이 많이 나왔습니다. LTE를 넘어 5G 네트워크를 자동차에 직접 구현하는 기술도 나왔죠. 아우디의 미국 지사와 AT&T가 합작하여 2016년형 아우디 자동차에 4G/LTE 유심을 탑재해 아예 자동차 안..
-
애플과 구글, MS가 가져가고 있는 음성 인식, 검색, 지능형 수행 등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장에 대한 이야기Mobile topics 2015. 3. 18. 09:39
최근 MS가 Windows 10 이벤트를 개최하면서 이런저런 재미난 이야기들을 많이 풀어냈습니다. 차세대 OS라 불리는 Windows 10의 기능들과 플랫폼들의 통합, 그리고 홀로랜즈와 같은 Windows 10 기반의 디바이스들도 함께 소개가 되었죠. MS가 데스크탑, 태블릿PC, 스마트폰, IoT 등에서 사용하는 OS를 Windows 10으로 몽땅 통합시키면서 함께 제공되는 서비스들도 서로 연계하고 머신런닝 등의 기능을 포함시키면서 보완해나가는 모습을 보여주겠다고 했는데 그 중에 하나가 MS의 개인 비서 서비스인 코타나(Cortana)입니다. Windows Phone 8.1에 이미 탑재되어 있는 서비스이기는 하지만 이번에 Windows 10이 발표되면서 더 확장이 되었죠. 코타나의 발표를 보면서 최근 ..
-
세상을 바꾸고 있는 스마트 소비 및 유통 전략, 옴니채널IT topics 2015. 2. 6. 09:10
요즘 유통업계에서 핫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단어가 하나 있습니다. 옴니체널이라는 단어입니다. 최근 롯데의 신격호 회장이 롯데의 최우수 핵심사업으로 롯데월드타워 구축과 함께 옴니체널 구축을 꼽으면서 옴니체널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높아지고 있는 중입니다. 그리고 이 옴니체널은 단순한 유통업계에서의 이슈만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안에 수많은 IT 기술들이 함께 어우러져 만들어진 전략이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관심있게 지켜보는 분야이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이 옴니체널이 뭐고 어떤 기술이 들어가 있는지, 그리고 지금 어떤 분야에서 이 옴니체널을 적용하여 뜨고 있는지 가볍게 살펴보는 것도 좋겠다 싶습니다. 옴니체널 이전의 다양한 유통 체널들 옴니체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전에 어떤 체널 개념들이 유통업계를 휩쓸고 ..
-
국내의 금융 보안 기술과 해외의 금융 보안 기술의 차이. 핀테크를 위한 길은?Security 2014. 12. 29. 08:00
요즘 금융 시장과 IT 시장에 떠오르고 있는 단어가 하나 있습니다. 핀테크(FinTech)라는 단어입니다. 금융을 의미하는 파이넨셜(Financial)과 기술을 의미하는 테크놀로지(Technology)를 결합한 단어로 직역하자면 금융기술이고 금융서비스에 IT 기술을 더해서 사용자가 편하게 금융관련 서비스를 받도록 하자는 것이 핀테크의 의미라고 생각이 됩니다. 핀테크의 원래 의미가 금융서비스에 IT 기술을 더한 것이라고 한다면 이미 한국은 핀테크를 충분히 경험하고 있습니다. 인터넷뱅킹, 인터넷쇼핑 등의 서비스가 핀테크의 대표적인 케이스이기 때문입니다. 전세계 어느 나라를 봐도 우리나라의 은행처럼 실시간 뱅킹이 되거나 쇼핑이 되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서비스 자체만 따져봤을 때에는 국내 기술은 세계 최고라..
-
안전한 메신저 사용을 위해 필요한 부분은?Security 2014. 11. 18. 08:00
최근 카카오톡이 핫이슈가 되었습니다. 도청, 감청에 대한 부분으로 인해 국내 최대 모바일 메신저인 카카오톡이 그 대상이 되었고 검찰의 영장 내용에 따라 서버에 저장된 대화내용을 제공한 것이 이슈가 되었습니다. 정치권 뿐만이 아니라 사용자들 사이에서도 논란이 되었죠. 그래서 텔레그램과 같은 해외 메신저로의 이동이 커졌고 그로 인해 사이버 망명이라는 좀 웃픈 상황도 벌어졌습니다. 게다가 지금도 계속 진행중이지요. 한 나라 안에서 살고 있고 법이라는 구속력을 지닌 것이 있지만 사용자 입장에서는 자신의 사적인 대화내용을 누군가가 볼 수 있다는 점에 대해서 무척이나 민감하게 받아들이고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이는 우리나라 뿐만이 아니라 미국이나 유럽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사생활 침해(프라이버시 침해)는 큰 문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