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CNS
-
점점 스마트폰의 화면 크기가 커지는 이유는?Mobile topics 2013. 12. 9. 08:00
3인치대를 유지했던 초창기 스마트폰들 초창기에 스마트폰의 컨셉으로 국내에 등장했을 시기의 PDA폰(PDA 기능을 지닌 휴대폰)은 3인치대의 화면을 지닌 감압식 휴대폰이었습니다. 모바일 운영체제도 지금에는 그 이름이 생소하게 느껴지는 윈도 모바일(Windows Mobile)이었고 말이죠. 국내에서는 삼성전자가 처음으로 생산했고 그 이후에 LG전자도 만들어서 국내에 출시하기 시작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해외 제품으로는 HP 제품과 팜(Palm) 제품들이 있었고요. 어찌되었던 초창기 스마트폰이라 불리는 제품들의 크기는 대략 3인치, 혹은 그 이하의 크기였습니다. 왜냐하면 풀 터치 화면을 지닌 것이 아니라 물리적 키패드가 함께 존재하는 형식의 스마트폰이었기 때문이지요. 참고로 개인적으로 윈도 모바일용 스마트폰..
-
[망고채널] LG CNS가 만든 해외드라마 전문 스트리밍 서비스, 망고채널에 대해서..Review 2013. 11. 18. 09:16
최근 모바일 단말기의 성능이 높아지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품질이 높아지면서 멀티미디어를 서비스하는데 있어서 과거의 동영상 다운로드 이후의 감상에서 스트리밍으로 보는 사람들이 많이 생기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특히 무선 인터넷이 3G에서 LTE로 넘어오면서(최근에는 LTE-A까지 등장하고 있지요) 품질을 확보할 수 있을 정도의 속도가 나오는 시대가 되면서 고화질의 스트리밍 서비스가 점점 사람들의 선택을 받고 있는 중이지요. YouTube의 HD급 동영상 감상도 그 중에 하나일 수 있고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TV중계(개인적으로 농구경기를 자주 네이버를 통해서 봅니다만 ^^)도 HD로 감상이 가능한 시기가 지금이지요. 그리고 여기에 재미난 서비스 하나가 더 눈에 띄고 있기에 한번 언급해보려고 합니다. 해외드..
-
스마트폰의 지문인식 기능, 편리한 보안을 위한 시작을 알리는 계기가 될까?Security 2013. 10. 21. 08:00
일반적으로 회사를 출입할 때나 어떤 기관에 출입할 때, 혹은 건물 안에서 보안을 중요하게 여기는 장소에 들어갈 때에는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들어가지는 못한다. 보통 센서가 달려있는(혹은 RC태그와 같은) 출입증을 갖다대서 인증을 하거나 지문인식을 통해서 본인 인증을 한 뒤에 들어간다. 중요한 정보가 있는 보안이 필요한 장소에 출입할 때에는 출입증 인증에 지문인증이라는 이중 인증을 이용하던지 아니면 눈동자의 홍채를 인증하는 홍채인식 방식을 통해서 들어가곤 한다. 대부분의 중요한 장소에 들어가거나 인증을 받아야 할 일이 있으면 보통은 본인을 확실하게 인증할 수 있는 지문이나 홍채 같은 생채인식을 통한 인증을 많이 사용한다. 그게 본인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현재까지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기 때문이다. 스마트폰에 들..
-
보안 영역에서 더 빛을 발휘하는 가상화 기술. 어떻게 활용되고 있나?Security 2013. 8. 29. 08:00
최근 가상화 기술이 화제로 떠오르고 있다. 과거 특정 분야에서 주로 사용하던 기술인데 이 기술이 점점 영역을 넓히기 시작하더니 이제는 엔드유저 레벨까지 영역을 넓히고 있다는 얘기다. 이번 삼성 프리미어 2013에서 소개된 아티브 Q에서 사용한 윈도 8, 안드로이드 듀얼 사용은 가상화 기술을 잘 이용한 사례로 들 수 있다. 또한 MWC 2013에서 소개된 삼성의 보안 솔루션인 녹스(KNOX), LG전자가 미국에서 출시한 인튜이션에 적용된 VMWare 스위치 역시 가상화 기술을 잘 이용해서 보안을 적용한 사례가 된다. 이렇듯 가상화 기술은 단순히 OS 가상화나 장치 가상화라는 본래의 목적을 뛰어넘어 그 활용 폭이 상당히 넓어졌다고 봐도 좋을 듯 싶다. 가상화 기술을 어떻게 보면 가장 잘 활용하는 영역은 다름..
-
기업의 내부 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도입하는 DRM. 사용자는 불편을 느끼지만 기업에게는 어쩔 수 없는 방어책일 수 밖에 없는데..Security 2013. 7. 18. 07:51
DRM이라고 들어봤나요? Digital Rights Management의 약자로 한글로 풀어보면 전자 권리 관리입니다. 간단히 얘기해서 디지털 저작물 보호 및 관리를 의미하는 얘기입니다. 디지탈 저작권에 관련된 이야기라고 보면 될 듯 합니다. 오늘은 이 DRM에 대해서 얘기해볼까 합니다. 생각보다 DRM의 분야도 다양하고 알려진 부분 이외의 다양한 이야기들도 많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보통 알고 있는 DRM은 2가지라고 봅니다. 하나는 기업에서 사용하고 있는 문서를 저장할 때 보안을 걸어서 사용자 인증을 받지 못한 사람에게는 문서를 열람조차 못하게 하는 이른바 문서 DRM이라 불리는 문서 보안 솔루션이고 또 하나는 멜론, 도시락 등 음원 서비스에서 제공하고 있는 음원 DRM이라 불리는 디지탈 음원 보안 솔..
-
세계 최고의 수준을 자랑하는 한국의 보안 시스템, 하지만 그것을 다루는 사람의 수준은?Security 2013. 7. 2. 08:34
요즘 들어 IT 세계에서 화두가 되고 있는 아이템들이 몇 개 있다. 모바일, 클라우드, 빅데이터, 소셜 네트워크 등 다양한 아이템들이 IT 세계에서 빅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TV 뉴스와 신문 뉴스, 인터넷 언론 뿐 만이 아니라 블로그나 트위터, 페이스북과 같은 SNS에서까지 다양하게 이들 아이템에 대한 이슈를 찾아볼 수 있다. 삼성의 갤럭시 S 시리즈와 LG의 옵티머스 시리즈, 애플의 아이폰 시리즈와 같은 스마트폰에서부터 갤럭시 탭, 아이패드, MS 서피스 등 스마트 패드, 그리고 울트라북에 컨퍼터블 PC에 이르기까지 모바일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그리고 그런 모바일을 잘 이용하는 방법으로 클라우드 서비스가 떠오르고 있으며 클라우드 서비스의 활성화로 빅데이터에 대한 관심도 뜨거워지는 이른바 연쇄 반응이..
-
지진과 수해에도 안전한 친환경 기술을 총동원한 데이터센터를 맛보다. LG CNS 부산데이터센터 견학기IT topics 2013. 4. 29. 10:00
과거 웹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보통 IDC(인터넷 데이터센터)라 불리는 공간에 서버를 설치하고 거기에 웹서버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 등을 설치해서 서비스를 하곤 했다. 이런 IDC를 각 기업의 내부에 두던지, 아니면 전문 기업에서 만든 IDC에 장소를 임대해서 두던지 하는 방식으로 그동안 서비스를 해왔다. 지금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포탈 서비스들이 다 그런 식으로 운영되어오고 있으며 국내 뿐만이 아니라 해외의 유명 서비스들도 자체적으로 IDC를 만들어서 운영하던지, 아니면 역시나 전문 기업이 만든 IDC에 서버를 유치해서 서비스를 하곤 한다. 자체적으로 IDC를 만들어서 운영하는 경우는 보통 서버를 자체적으로 관리를 하다보니 보안 등의 우려가 덜한 것이 사실이다. 물리적인 서버 보안을 기업 스스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