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Screen
-
노트북, TV, 폰까지 다 아우르려는 모토롤라의 야심작, 아트릭스Mobile topics 2011. 3. 7. 08:30
이번에 모토롤라에서 발표한 신개념의 스마트폰 아트릭스(Atrix)는 모토롤라에서 이른바 3 스크린을 제대로 구현하려고 내놓은 신개념의 스마트폰이라는 생각이 든다. 아트릭스 자체도 1GHz의 듀얼코어 CPU를 탑재했고 1GB DDR2라는 PC에서 사용하는 고성능 메모리를 탑재한 4인치 안드로이드 탑재 스마트폰인데 함께 나온 다른 주변기기와의 활용도가 기존의 스마트폰들과는 많은 차별점이 있다는 것이 매력이라고 할 수 있다. 기기 자체도 매력적인 아트릭스 위에서도 언급했지만 4인치의 큰 그리고 시원시원한 터치스크린데 모토롤라 최초로 엔디비아(nDivia) 1GHz 듀얼코어 CPU를 탑재했으며 PC에서 사용하던 1GB DDR2 메모리(RAM)를 탑재하여 고성능을 갖출 수 있게 되었다. 모토롤라 전통 안드로이드 ..
-
[Hoppin] 집에서든, 밖에서든 언제든지 동영상을 이어서 본다면?Review 2011. 2. 7. 08:00
얼마 되지는 않았지만 전세계적으로 컨버전스라 불리는 각종 기능의 융합 기술이 시장에 나옴으로 IT 시장이 다시 급성장하기 시작했다. 서로 다른 여러 기술들이 유기적으로 맞물려 하나의 디바이스에 집중되는, 그리고 그 기술들이 시너지 효과를 내는 그러한 기술이 바로 컨버전스며 국내에도 이런 컨버전스를 활용한 다양한 디바이스들이 많이 나왔다. 또 지금도 나오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케이스가 아마도 스마트폰이 될 듯 보이며 스마트 TV 역시 이런 컨버전스의 결정체라고 불릴만 하다는 생각을 해본다. 이제 컨버전스는 단순한 IT 영역에서 벗어나서 다른 산업에서도 그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정부에서도 기업에서도 이런 컨버전스 개념을 도입해서 시너지 효과를 보려고 하는 것이다. 위에서 컨버전스의 영역이 많이 확대되었..
-
플랫폼 전쟁의 승자가 모바일 시장을 잡는다! 삼성이 '바다'에 목을 매는 이유...Mobile topics 2010. 3. 25. 08:43
글이 너무 길어서 2편으로 나눴습니다. 이 글에 이어서 '삼성이 '바다'에 목을 매는 이유는 바다 폰, 바다 TV의 2 스크린 전략 때문?'을 읽으시면 됩니다. 삼성의 모바일 플랫폼인 '바다'에 대해서 이런저런 이야기들이 많이 오가고 있다. 특히 MWC 2010에서 첫 번째 바다폰인 웨이브(Wave, S8500)가 공개된 이후 바다에 대한 비판적인 이야기들이 더 많이 나오고 있는게 사실이다. 스냅드레곤이나 테그라 급의 CPU 성능(1GHz)을 갖고도 저정도밖에 성능을 못내냐 하는 비판의 이야기가 많다. MWC 2010에서 선보인 웨이브의 동작 동영상을 보면 그런 비판을 듣기 딱 좋은게 사실이다. MWC 2010에서 바다 폰, 웨이브를 시연하는 동영상 하지만 삼성 입장에서 바다를 포기할 수 없는 이유는 뭘..
-
이제는 거실로 진출하려 한다. 구글의 야심찬 '구글 TV' 프로젝트!Mobile topics 2010. 3. 22. 17:40
최근 구글이 인텔과 소니와 합작하여 TV를 만든다는 뉴스가 나왔다. 자세히 보니 인텔과 소니가 구글의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사용해서 TV를 만들려는 프로젝트를 진행한다는데 그것을 위해 구글과 협약을 맺었고 '구글 TV'라고 이름을 지었다는 얘기였다. TV안에 안드로이드가 들어간다는 의미가 된다. 그런데 구글 입장에서 이런 구글 TV는 새로운 것이 아니다. 이미 여러번 구글은 TV 시장에 진출하기 위한 노력을 해왔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로 구글 데스크탑에 포함된 구글 미디어 서버다. 구글 미디어 서버는 구글 데스크탑의 가젯에 등록해서 사용할 수 있는 윈도용 어플리케이션으로 PC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미디어 파일들(동영상, 그림, 사진 등)을 DLNA 인증을 받은 멀티미디어 기기(플레이스테이션(PS),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