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트야
-
개인이나 기업의 금품이 아닌 사회적 혼란을 노리는 랜섬웨어, 그리고 해킹Security 2017. 7. 7. 07:30
이번에 제대로 악명을 떨치고 있는 패트야, 그리고 그 전의 워너크라이까지 랜섬웨어 전성시대(?)가 진행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물론 그 전에도 랜섬웨어는 어느정도 존재했고 많은 피해를 보고 있지만 올해 언론에 전세계적으로 크게 보도되고 있는 워너크라이나 패트야를 보면 예전에 단순히 기업이나 개인의 금품을 노리는 그런 수준이 아니라 그 규모가 더 커져서 단순한 해커의 소행보다는 국가 시스템의 파괴, 그리고 그것에 이은 사회의 혼란을 일으키는 수준으로 어마무시해지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안전지대는 없는 랜섬웨어 최근 인터넷 호스팅 업체인 인터넷나야나를 폐업직전까지 몰고갔던 랜섬웨어는 리눅스 시스템도 랜섬웨어의 안전지대는 아니라는 것을 보여줬고 워너크라이와 패트야는 우리가 가장 많이 사용..
-
워너크라이, 그리고 패트야를 통해 본 랜섬웨어의 트랜드, 그리고 못난 인간들...Security 2017. 6. 30. 10:14
워너크라이(WannaCry), 패트야(Petya).. 요즘 인터넷을, 아니 보안 시장을 뜨겁게 달구고 있는 단어들이다. 이들 모두 랜섬웨어(Ransomware)의 일종으로 최근 급속하게 큰 피해를 주고 있는 녀석들이다. 한달 전에는 워너크라이로, 요 며칠동안은 패트야로 기업들이 몸살을 앓고 있는 중이다. 패트야는 지금도 진행중이기도 하고 말이다. 그리고 워너크라이나 패트야같은 랜섬웨어의 특징은 그 확산 방식과 범위가 기존에 언급되었던 랜섬웨어 수준이 아닌 더 엄청나고 크다는 점이다. 기존 랜섬웨어의 방식과 피해 범위 기존 랜섬웨어는 악성코드에 감염된 컴퓨터, 혹은 모바일 기기 안의 파일들을 암호화시키고 더 확장해서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연결된 NAS나 컴퓨터의 파일을 감염시켜 암호화하는 것으로 피해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