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
-
자신의 커리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싶은가? 한글로님의 'Linked in 링크드인으로 취업하고 채용하자'를 통해서 도움을 받아보면 어떨까?Books 2013. 1. 3. 06:28
한국에는 수많은 취업관련 포탈 서비스들이 많이 있다. 잡코리아, 사람인, 인쿠르트 등. 그 외에도 각 헤드헌터 회사들이나 헤드헌터 개인이 운영하는 취업 관련 서비스들도 많이 있다. 하지만 그 어느하나 신뢰성을 갖고 체계적으로 관리해주는 서비스는 드물다. 아니 거의 없다시피 한다. 링크드인(LinkedIn). 국내에 있는 외국계 회사에 다니는 사람들이나, 혹은 외국에 있는 회사에 다니는 사람, 또는 그런 회사에 들어가려고 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꽤 인지도가 있는 비즈니스 인맥 기반 SNS다. 해외에서는 경력관리 및 업무로 만나는 사람들과의 인적 네트워크 관리를 위해, 혹은 이직 등을 위해서 상당히 많이 사용하고 있는 서비스다. 국내에서도 외국계 기업에 취직이나 이직을 위해서 가끔 이용하는 사람들이 있다. ..
-
공식 백수가 되면서.. ㅎㅎPersonal story 2009. 9. 3. 18:22
뭐.. 알 사람들은 이제 다 알게 되었지만 9월 1일부로 공식 백수가 되었다. 8월 31일자로 퇴사처리가 된 것이다. 솔직히 퇴사를 처리하는 과정이 매끄럽지 못했던 것이 문제였지만 이미 지나간 일이므로 다시 들추고 싶지는 않고 그냥 새로운, 이전 직장보다 더 좋은 직장을 얻기 위한 진통 정도로 취급하려고 한다. 여하튼 간에 참으로 오랫만에 백수신세가 되었다. 백수가 되면 시간이 좀 남아서 블로깅도 더 잘 할줄 알았건만 백수가 되니 오히려 더 바빠졌다. 쉬는 것도 필요하겠지만 그래도 마냥 쉴 수만은 없기에 이 사람, 저 사람 만나서 얘기도 하고 다음 직장에 대한 준비(이력서, 면접 등)도 해야하고 또 그동안 들을 수 없었던 주간 세미나도 다니고... 오히려 직장 다닐 때보다 더 바빠진 듯 싶다. 지금도 오..
-
구글과 페이스북, 스텐포드 졸업생을 두고 열나게 싸움 중....IT topics 2008. 1. 31. 18:01
구글과 페이스북 사이에 현재 이번에 졸업하는 스텐포드 대학의 졸업생들을 유치하기 위해 꽤나 노력을 하고 있는 듯 싶다. TechCrunch에 올라온 글을 보면 미국에 있는 학생들이 참으로 부럽게 느껴지기만 한다(물론 스텐포드 대학에 한해서지만). 작년의 경우 고급수준의 졸업생(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는 졸업생인듯)들의 평균 연봉은 $70000이라고 한다. 솔직히 7만달러면 한화로 환산한다면 얼추 $1에 940원 잡고 6580만원이라는 돈이 나온다. 한국의 대기업의 초입연봉이 대략 3500만원정도라고 한다면 꽤 차이가 나는 것이다. 물론 회사의 성격에 따라서 차이가 분명히 나겠지만 말이다. 그런데 올해는 페이스북은 $92000을 제시한다고 하고, 구글은 한 수 더 떠서 $95000을 제시한다고 한다. 게다가..
-
외국계기업 취업선호도 1위 '구글코리아'Blog 2007. 6. 26. 14:54
아이뉴스24에서 본 뉴스인데 외국계기업중 구글코리아가 가장 가고싶어 하는 회사라고 한다. 외국계기업 취업선호도 1위 '구글코리아' (아이뉴스 24) 나도 구글 애드센스 세미나 때문에 구글코리아에 방문해봤는데 내부 인테리어나 이런 부분은 정말로 부럽더라. 언제든지 음식을 먹을 수 있는 카페테리아라던지 아니면 3인 1실을 사용하는 각방 시스템(?)이라던지(한방에 3명이 들어가서 일한다) 이런 부분들은 정말 부러웠다. 기사에 따르면 1위가 구글코리아로 11.5%, 2위는 IBM으로 9.8%, 3위는 한국 P&G로 6.8% 순으러 차지했다. 그리고 구글코리아에서 일하고 싶은 이유로는 회사 이미지가 38.4%, 발전 가능성이 27.6%, 연봉이 18.9% 순이었다. IBM의 경우는 기업문화와 복리후생이 32.6%..
-
구글, "외국인 근로자들이 성공의 열쇠" (해외 취업에 대해서)IT topics 2007. 6. 8. 17:12
ZDNet을 뒤져보는 중에 다음의 뉴스를 발견했다. 구글, "외국인 근로자들이 성공의 열쇠" (ZDNet Korea) 구글에서 일하는 많은 엔지니어 중 8%정도가 해외 이민자라고 한다. 일종의 외국인 노동자와 비슷한 개념이리라. 구글은 미국에서뿐만 아니라 자사의 서비스 개발을 위해 해외에서 많은 인력들을 스카웃한다고 한다. 현재 구글에서 일하는 엔지니어가 45000여명이라고 하니 8%라면 대략 3600여명 정도가 외국 인력이라는 얘기다. 구글의 핵심 엔지니어들은 미국인이지만 서브 엔지니어들은 외국인, 특히 인도인들이 많다고 전해진다. 구글 뿐만 아니라 MS도 마찬가지다. 핵심 엔지니어는 미국인이지만 서브 엔지니어는 구글과 마찬가지로 인도인들이 많다고 한다. MS는 인도 프로그래머가 빠지면 윈도 업데이트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