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in
-
전문화된 지식을 공유해보자. 구글의 지식공유 서비스 '놀(knol)'IT topics 2008. 11. 10. 16:12
웹2.0 시대로 넘어오면서 가장 활성화된 서비스(혹은 플랫폼)는 다름아닌 지식공유 플랫폼일 것이다. 웹1.0 시대에도 커뮤니티의 게시판 등을 통해서 자신들의 지식을 알리고 피드백을 받는 등의 지식공유가 활발했었지만 웹2.0 시대로 넘어오면서 블로그를 통해서, 혹은 네이버의 지식iN을 통해서, 아니면 여타 다른 플랫폼을 통해서 자신의 지식을 내놓고 공유하는 행위가 매우 활발해졌으며 그것이 웹2.0을 더 풍성히 만들어냈다고 본다. 앞서 블로그와 지식iN을 얘기했지만 자신의 지식을 글로, 혹은 다른 컨텐츠로 만들어서 표출하도록 만드는 툴이 웹2.0 기술의 중심으로 자리잡았는데 구글도 놀(knol)이라는 서비스를 런칭하여 이러한 대열에 동참하고 있다. 놀은 야후의 앤서스(Answers)와 네이버의 지식iN과 비..
-
포탈사이트, 네이버만을 고집할 이유가 있을까?IT topics 2007. 12. 27. 15:34
수많은 네티즌들이 주로 이용하고 있는 포탈사이트는 어디일까? 아직까지도 No.1 포탈사이트는 네이버라고 할 수 있다. 다음이 많이 쫒아오기는 했지만 그래도 여전히 사람들은 네이버를 많이 사용한다. 그럼 네이버는 다른 포탈사이트와 뭐가 다른가? 농담삼아 얘기하면 초기화면이 다르다(ㅋㅋ). 일단 검색창에 검색어를 입력하고 검색하면 검색결과가 네이버와 다음, 엠파스, 야후, 구글등이 모두 다 다르게 나올 것이다. 서로의 검색 알고리즘이 틀리기 때문이다. 검색 기준 역시 틀리기 때문에 다를 수 있다. 구글의 경우 통합검색이 아니기 때문에 그냥 검색결과가 쭉 나오지만 네이버, 다음, 엠파스, 야후 등의 포탈사이트들은 검색결과가 통합검색으로 이쁘게(?) 나온다. 그런데 네이버를 제외한 나머지 포탈사이트의 검색결과는..
-
다음, 지능형 검색서비스 오픈IT topics 2007. 7. 24. 17:02
다음이 새로운 지식검색 서비스를 내놓는다고 한다. 다음, 지능형 검색서비스 오픈 (ZDNet Korea) 기사에 따르면 스마트앤서라는 이름의 이 서비스는 다음이 보유한 전문DB에서 질문의 요소를 추출해내서 키워드를 바탕으로 분석해서 원하는 답변을 내준다고 한다. 한마디로 온라인 백과사전 서비스라고 할 수 있을 듯 하다. 다만 기존의 온라인 백과사전은 어떤 단어에 대해서 그 단어에 해당하는 지식들만을 찾아주는 것에 비해서 이 스마트앤서는 문장 형태로 질문을 하면 그 문장을 형태소 분석, 구문 분석, 의미 분석을 통한 자연어처리기술을 이용해서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언어로 바꾸고 해당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전문DB를 통해서 얻어낸다는 점이 다르다고 한다. 기사에 따르면 예를 들어 '박지성의 생일은 언제인가요..
-
책 리뷰 : 이것이 네이버다Books 2007. 7. 7. 16:00
요즘 이런저런 책들을 쭉 읽어보고 있는 가운데 재미난 책이 있어서 하나 소개해볼까 한다. 예전에 전철을 타고 회사에 출근하면서 읽은 무가지(아마도 매트로로 기억을 하는데)에서 소개된 책인데 눈에 띄어서 사서 읽었다. 이것이 네이버다 윤 선영 지음 어떻게 네이버가 시작이 되었으며 지금까지 성장할 수 있었는가를 알 수 있는 책이다. 현재 한국 최고의 포탈 사이트인 네이버의 역사와 성장배경, 그리고 지금의 상황을 잘 설명하고 있는 책으로 8년간 취재하고 2년간 썼다고 한다. 내용를 보면 네이버 창립자인 이해진의 이야기로부터 시작하게 된다. 그리고 네이버가 삼성SDS 사내벤쳐로 시작하게 되어 네이버컴이라는 이름으로 벤쳐회사로 독립한 이야기와 한게임과의 합병으로 고속성장을 하게된 이야기 등을 다루고 있다. 특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