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기관
-
HWP에서 ODT로.. 정부의 공문서 문서 형식 변경이 가져올 국내 IT 환경의 변화는?IT topics 2017. 10. 25. 18:40
확실히 문재인 정부는 기존의 카르텔, 혹은 틀을 깨는데 뭔가 일가견이 있는 정부인 듯 싶다. 재미난 뉴스가 하나 떴는데 정부가 공문서에 아래아한글의 문서형식인 HWP 대신에 공개문서형식(오픈도큐먼트)인 ODT를 쓴다는 뉴스다. 참고로 ODT는 ODF(Open Document Format) 형식 중 워드 형식(Open Document Text)에 해당하는 것으로 제목 그대로 해석하자면 아래아한글이 워드프로세스이고 여기서 사용하는 형식이 HWP이니 이것을 ODF의 워드파일인 ODT를 쓰도록 하겠다는 얘기다. 특정 기업, 특정 형식을 강요했던 정부, 공공기관의 문서 정책 현재 정부기관을 비롯하여 공공기관에서 사용하는 문서형식은 한글과컴퓨터(이하 한컴)에서 만든 한컴오피스 안의 워드프로세스 솔루션인 아래아한글이..
-
7년만에 다시 등장한 국산화 바람, 티맥스의 TmaxOS와 오피스 등의 발표. '선택의 기쁨, 혁신의 시작'이 '선택의 아픔, 재앙의 시작'이 될까?IT topics 2016. 4. 28. 18:59
어제(4월 20일) 오후에 있었던 티맥스의 Tmax OS 발표는 많은 논란꺼리를 양산해낸 쾌거(?)를 이뤘다. 이래저래 말들이 많았던 발표였다는 얘기다. 데모시연 중에 데모용 PC가 꺼져서 OS 시연이 연기되지 않나 제품 발표회인데 OS 개념 강의부터 개발툴, 브라우저, 오피스의 개념 강의가 진행되어 마치 수업듣는 분위기였다는 것까지. 어제의 발표는 유튜브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방송되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보게 되었고 내 주변의 지인들은 보고 뒤집어졌다고 하기도 했다. 나 역시 처음부터 끝까지 다 보지는 못했지만(시간이 업무 시간대인지라 잠깐씩 볼 수 밖에 없었다) 내가 본 내용과 지인들이 보내준 내용만으로도 내가 알고 있는 OS의 개념을 뒤집는 골때리는 상황이 많이 벌어진 것이 사실이다. 일단 티맥스..
-
카카오톡에서 텔레그램으로의 사이버 망명이 의미하는 것은? 국내 서비스를 이용한다면 어쩔 수 없는 정부의 입김은 어떻게?Security 2014. 10. 13. 08:15
텔레그램.. 요즘 사이버망명의 중심에 서 있는 해외 메신져 어플리케이션이다. 안드로이드 스마트폰과 아이폰을 모두 지원하고 PC버전도 존재한다. 이게 요즘 핫 이슈이기는 한데 그 이유를 듣고보면 황당하기 그지없다. 정부의 뻘짓이 잘 쓰던 카카오톡을 비롯한 국내 메신져 시장을 죽이고 사용자들을 해외 서비스로 내모는 상황을 만들고 있는 것이다. 최근 검찰은 인터넷 명예훼손 전담팀을 꾸린다고 했다. 이것을 많은 사람들은 이제 검찰이 인터넷의 게시판 내용, 댓글의 내용, 심지어 메신저에서 서로 오가는 내용까지 모두 감시하고 검열하려한다고 반발을 했다. 물론 검찰이 실시간으로 검열을 하거나 감청을 하지는 못한다. 일단 법 자체가 영장이 있어야 영장을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에 제시하여 정보를 가져갈 수 있게 ..
-
드디어 공개되는 국산 윈도 OS인 티맥스 윈도, 과연 성공할 수 있을까...?IT topics 2009. 5. 16. 11:18
미들웨어인 Tmax로 국내 솔루션 기업들 중에서 그래도 인정받고 있는 티맥스 소프트가 자체적으로 개발한 운영체제인 티맥스 윈도를 올해 7월 7일에 공개한다고 한다. 작년에 한국판 윈도를 만들겠다고 발표한 이후 MS의 윈도와 호환성을 갖는 운영체제를 만들기 시작하더니 결국 올해 공개를 하는듯 싶다. 알려진 바로는 MS의 윈도에서 지원하는 API인 Win32 API와 MFC의 상당 부분과 호환된다고 한다. 즉, 윈도에서 돌아가는 프로그램을 별다른 수정없이 티맥스 윈도에서도 돌릴 수 있다는 얘기다. 아마 윈도 자체적으로 특정한 시스템을 건드리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외하고는 어지간한 어플리케이션들은 대부분 다 지원한다는 얘기가 된다. 아는 사람이 티맥스 소프트에 있어서 잠깐 얘기를 들었는데 그 엄청난 양의 Win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