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피디아
-
온라인 지적재산권 보호법안 반대와 재정 연기를 보면서. 인터넷에서 지켜야 할 자유와 그 자유에 대한 책임은 어디까지? 또 무책임한 자유를 제지할 방법은?Security 2012. 1. 22. 14:29
미국 의회가 이른바 PIPA(Protect IP Act)라 불리는 온라인 지적재산권보호법안의 제정 추진을 네티즌들의 여론에 밀려 연기했다는 뉴스가 나왔다. PIPA 재정에 반대하기 위해 위키피디아나 구글 등 미국의 온라인 서비스들이 항의성 페이지를 만든다던지 서비스 일시 다운을 한다던지 하는 행동을 했고 네티즌들도 이 법안에 대해서 강경하게 반대했기 때문에 곧 선거를 해야하는 미국 의회 입장에서는 선거에 위협이 되는 이 법안 제정을 미룬 것으로 보여진다. 미국 의회는 PIPA와 함께 온라인 해적행위 방지법(SOPA.Stop Onlie Piracy Act)도 같이 재정하려고 했지만 일단 PIPA 법안 제정만 미뤘고 SOPA에 대한 얘기는 없는데 아마도 같이 묶음으로 제정이 미뤄진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
Digg.com의 새로운 검색엔진. 과연 구글, 야후와의 경쟁에서 살아남을까?IT topics 2009. 4. 13. 09:24
Digg.com은 국내 서비스로 와 비교하자면 올블로그나 블로그코리아, 믹시와 같은 메타블로그사이트와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쉽다. 뭐 최근의 모습으로는 믹시와 다음블로거뉴스의 혼합형처럼 보이기도 하고 말이다. 국내에서는 위의 메타블로그사이트들을 많이 이용하지만 해외의 경우 Digg를 많이 이용한다. 나 역시 가끔 해외 블로그에 어떤 글들이 올라오는가 볼때는 Digg를 종종 이용하곤 한다. 미국의 통계회사인 comScore에 따르면 2009년 2월에 Digg.com은 1900만명의 방문자를 기록했으며 8500만회의 페이지뷰를 기록했다고 한다. 그런데 Digg.com 자체에도 검색엔진이 있는데 사용률이 점점 떨어지고 있다고 한다. 많은 방문자를 기록하고 있지만 검색률은 많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이와 비슷한 사..
-
야후의 서치 몽키, 이제는 페이스북까지 알흠답게 끌어안다.IT topics 2009. 2. 27. 11:39
야후의 검색엔진 솔루션(이라고 해야하나 ?.-)인 검색원숭이(서치몽키, SearchMonkey)가 점점 진화하고 있는 듯 싶다. 예전에는 위키피디아의 내용을 검색하게 되면 위키피디아의 직접링크(딥링크, DeepLink)들을 보여줘서 위키피디아의 단계를 통하지 않고 직접 해당 위키피디아 데이터로 들어갈 수 있게 했다. 그런데 이제는 페이스북의 내용을 검색할 때 페이스북의 검색내용의 해당 작성자 프로필에 있는 사진도 같이 출력되겠끔 한 듯 싶다. 그 뿐만이 아니라 위키피디아 검색내용 출력 때처럼 친구로의 등록(Add friend)이나 Poke(솔직히 이 기능이 뭘하는지는 모르겠다 ?.-), 메시지 보내기(Send Message), 친구들 보기(View Friends)도 같이 검색결과에서 할 수 있도록 되었다..
-
야후 검색, 서치 몽키를 통해서 위키피디아 검색결과를 알흠답게 끌어안다.IT topics 2009. 1. 20. 09:11
야후 검색엔진을 통해서 뭔가를 검색할 때 그 검색어에 대한 내용이 위키피디아에 있다면 야후 검색결과에 재미난 변화를 볼 수 있을 것이다. 야후 검색결과에서 위키피디아에서 검색한 내용에 대해서 직접링크(Deep Link)와 함께 위키피디아에서 제공하는 이미지까지 함께 검색결과에 표시되기 때문이다. 야후의 새로운 검색결과 플랫폼(이라고 해야 옳은지 -.-)인 서치 몽키 플랫폼(Search Monkey Platform)에 의해서 야후의 검색결과에 위키피디아 검색결과가 나올때 좀 더 보기 좋으라고 변화되도록 했기 때문이다. 일단 테크크런치에서 제공했던 이미지와 실제 야후 검색엔진에서 나오는 결과를 비교해보자. 해당 검색결과는 여기를 누르면 나온다. 위는 실제 야후 검색엔진에서 TechCrunch라는 검색어로 검..
-
구글의 지식공유 서비스, 놀(Knol) 공모전 이벤트!IT topics 2008. 11. 17. 18:59
구글이 이번에 꽤나 신경을 쓰는거 같다. 아까는 애드센스 블로그 포스트 이벤트를 한다고 하더니 이번에는 지식공유 서비스인 놀에 대한 이벤트를 한다. 아래는 구글에서 밝힌 놀 이벤트에 대한 내용이다. 구글 놀 공모전 개요 각 분야의 온라인 커뮤니티 전문가와 숨어있는 지식을 찾기위해 공모전을 개최합니다. 공모전 일정 놀 등록 및 제출 시작: 2008년 11월 17일 놀 등록 및 제출 마감: 2008년 12월 15일 수상자 발표: 2008년 12월 29일 (본 사이트에 게시 및 개별 통지) 시상: 추후 확정 응모 자격 만 19세 이상의 대한민국 국민이어야 하며 18세 이하의 경우 부모의 동의 하에 응모 가능합니다. 개인, 혹은 최대 2명의 공동저자를 초대하여 팀으로 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개인이 응모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