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굴인식
-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디자인, 노치 디자인과 홀 디자인의 전쟁..Mobile topics 2018. 12. 22. 21:01
현재 가장 대중적인(?) 디스플레이의 디자인은 노치 디자인.. 스마트폰에서 사용하는 디스플레이의 디자인은 어떤 의미에서 계속 진화하고 있으며 변화하고 있다. 어떤 얘긴가 하면 현 시점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디자인은 노치 디자인이다. 작년에 애플이 아이폰X에서 적용한 디스플레이 디자인인데 이른바 M 탈모라 불리는 디자인으로 디스플레이 상단에 카메라 및 각종 센서들을 배치할 수 있게 디스플레이의 일부가 파여져 있는 디자인을 뜻한다. 노치 디자인은 엄밀히 따지면 애플의 아이폰X가 처음 한 것은 아니지만 대중화를 이끌었다고 봐도 과언은 아닐 듯 싶다. 작년에 아이폰X가 이 노치 디자인을 적용한 이후 화웨이, 샤오미, LG 등의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자기들의 스마트폰에 이 노치 디자인을 적용..
-
9월 12일에 애플 스페셜 이벤트를 통해 발표될 제품들에 대해서.. 최신 루머 정리..Mobile topics 2018. 8. 31. 12:54
--- 이 글은 2018년 9월 12일에 진행된 애플 스페셜 이벤트 관련 글입니다. --- 그동안 루머로만 떠돌던 신형 아이폰을 이제 조만간 공식적으로 볼 수 있을 듯 싶다. 애플이 공식적으로 9월 12일에 미국 쿠퍼티노에 있는 스티브잡스 극장에서 12번째 스페셜 이벤트를 개최한다고 언론사들에게 초대장을 보냈기 때문이다. 애플은 스페셜 이벤트를 개최하기 2주전 쯤에 초대장을 보내곤 했는데 이번에도 마찬가지로 보냈다. 미국 시간으로 오전 10시이니 한국 시간으로는 9월 13일 새벽이 될 듯 싶다. 그리고 그 스페셜 이벤트 초대장의 타이틀과 그림을 통해 스페셜 이벤트의 메인 테마를 유추할 수 있는데 이번에는 'Gather round'라고 쓰여 있다. 원을 모은다는 뜻인데 뭔가 원과 관련된 무엇이 있을 듯 싶..
-
기존 아이폰과 다른 아이폰 X의 혁신.. 과연 뭐가 있을까?Mobile topics 2017. 9. 25. 09:00
애플이 스티브잡스 극장에서 애플 스페셜 이벤트를 통해 아이폰 8 시리즈(8, 8+)와 아이폰 X를 발표한지 벌써 2주가 지났다. 그리고 미국을 비롯해 1차 출시국으로 지정된 국가에서는 벌써 아이폰 8 시리즈를 출시하기 시작했고 국내 사용자 역시 일본에서 처음으로 아이폰 8+를 구입한(다른 아이폰빠도 아닌 다름아닌 칫솔님이 ^^) 케이스도 나왔다. 나 역시 일단은 아이폰 8+를 구입하려고 생각 중이다(물론 국내에 출시하면 말이지). 오늘은 아이폰 X에 대해서 그냥 생각나는 내용을 적어보려고 한다. 여기저기 언론에서 이번 아이폰 X에 대해서 이런저런 얘기들을 많이 하는데 이번에도 혁신이 어쩌구저쩌구 하는 얘기가 많이 나오는거 같다. 원래 애플은 자기가 생각하는대로, 만들고 싶은대로 아이폰이나 아이패드를 만드..
-
드디어 등장한 소문의 아이폰 탄생 10주년 기념 모델인 iPhone X, 그리고 애플 스페셜 이벤트 이야기..Mobile topics 2017. 9. 13. 07:23
미국 시간으로는 12일 오전, 한국 시간으로는 13일 새벽 2시(아.. 정말 싫다 -.-)에 미국의 쿠퍼티노에 있는 애플 스티브잡스 극장(Steve Jobs Theater)에서는 애플의 스페셜 이벤트(Apple Special Event)가 진행되었다. 뭐 스페셜 이벤트라고 하지만 애플의 신제품 발표회고 대부분이 새로운 아이폰을 발표하는 자리다. 아이폰 외에 다른 제품들도 발표가 되었는데 이번 스페셜 이벤트는 다른 때와 달리 관심이 많았던 것이 아이폰 탄생 10주년 기념 제품이 과연 어떻게 나올 것인가에 관심이 쏠려서 때문이 아닌가 싶다. 그동안에는 애플의 스페셜 이벤트를 실시간으로 본 적은 없다. 앞서 언급했듯 대부분 새벽에 진행하는지라 한참 잠이 들 시간인데 일하기도 바쁜데 새벽에 잠도 못자고 저걸 볼..
-
지문인식보다 더 편리하면서 매력적일 수 있는 얼굴인식을 이용한 인증 시스템Security 2014. 10. 21. 08:00
보안 기술 중 기본이 되는 인증 기술 보안 기술 중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기술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무척이나 생뚱맞은 이야기일 수 있겠습니다만 보안 업계에 종사하는 사람들마다 다른 이야기를 할 수도 있겠습니다만 제가 생각하기에는 아마도 인증 기술이 아닐까 싶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암호화 기술이 핵심이라고 얘기하는 사람들도 있고, 또 어떤 사람들은 악성코드를 막는 안티 바이러스 기술이 핵심이라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겠습니다만 보안도 워낙 분야가 다양해서 어느 분야에 종사하느냐에 따라서 기준이 달라지는 것은 사실입니다. 그런데 암호화 기술은 보안 기술이기는 하지만 기술이라고 보는 것보다는 코어 기술에 가깝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인증 기술이 보안 기술의 기본이 되는 기술이라고 얘기할 수 있는 이유는 아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