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뢰성
-
트위터를 통해서 활성화된 실시간 검색. 신뢰성 확보가 무엇보다 급한데...IT topics 2009. 12. 30. 11:50
올해는 트위터와 페이스북과 같은 SNS를 중심으로 실시간 웹(Realtime Web)이 급성장을 하는 시기였다. 그런 시대적인 대세(?)에 MS와 구글이 각자의 검색엔진에 이런 실시간 웹 검색결과를 넣기 시작한 어쩌면 시작시기가 요즘이 아닐까 싶다. MS는 자사의 검색엔진인 빙(Bing)에 트위터 검색을 넣은 빙-트위터 서비스를 시작했다. 아예 따로 서비스를 빼내어 전문적인 실시간 검색엔진으로서의 자리를 굳힐려는 듯 보인다. 구글은 구글 검색결과에 실시간 검색 결과를 넣는 방법으로 실시간 검색 서비스를 추가했다. 기존의 구글 검색결과에 녹아들어가도록 한다는 방침인 듯 싶다. 따로 서비스를 이용하지 말고 그동안 이용했던 구글 검색엔진을 그대로 이용하면서 실시간 검색도 함께 맛보라는 구글의 전략인듯 보인다...
-
윈도 모바일 6.5에 킬 스위치 장착! 검증된 어플만 사용하자는데...Mobile topics 2009. 9. 22. 11:30
이미 알려진 소식일 수도 있겠지만 윈도 모바일 6.5부터는 "킬 스위치" 기능이 추가되었다고 한다. 킬 스위치는 어떤 특정 시나리오(특정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이나 액션을 수행하는 것)가 진행되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되는 기능이다. 이미 아이폰과 구글 폰(안드로이드)에서는 탑재되어있는 기능으로 새로운 기능은 아니지만 윈도 모바일에는 이제서야 추가되었다. 다름아닌 윈도 마켓플레이스 포 모바일 때문이다. 아이폰이나 구글 폰은 앱스토어나 안드로이드 마켓과 같은 오픈마켓플레이스가 존재한다. 즉, 거의 초기단계부터 에코 시스템이 구축되어진 상태다. 킬 스위치는 이러한 오픈마켓에서 어플리케이션을 구매하여 설치한 이후에 제작자, 혹은 판매자의 어떤 의사결정에 의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대..
-
검색엔진에서는 작은 문제라도 치명적인 상처를 남길 수도 있다.IT topics 2008. 9. 11. 13:26
보통 우리는 검색엔진을 통해서 얻은 정보를 얼마나 신뢰하고 있을까? 많은 사람들이 무언가에 대해서 궁금할 때 인터넷을 통해서 찾아보라고 말을 많이 한다. 국내에서는 네이버나 다음과 같은 포탈사이트릍 통해서 검색을 하고 해외의 경우에는 구글을 통해서 검색을 하곤 한다. 그리고 우리는 대부분 검색결과에서 얻은 정보를 100% 다 믿곤 한다. 그리고 인터넷에서 얻은 정보를 다른 사람들에게 얘기하면서 인터넷 검색결과 이렇게 나왔더라 하면서 말한다. 그 말은 곧 여러 사람들에게 바이러스가 전파되듯 엄청난 속도로 퍼지게 된다. 일단 우리는 검색을 통해서 나온 결과를 거의 100% 신뢰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심정적으로는 100% 다 신뢰해서는 안된다고 알고는 있지만 따로 검증할 방법이 많지 않기 때문에 대부..
-
모든 뉴스는 링크로 통한다IT topics 2007. 8. 12. 13:40
인터넷의 처음 시작이 하이퍼텍스트와 하이퍼링크에서 시작되었듯 요즘과 같은 정보화 시대에서도 하이퍼링크는 뉴스를 소비하는데 일등공신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모든 뉴스는 링크로 통한다(ZDNet Korea) All the news that's fit to link(CNetNews.com) 뉴미디어 전문가인 제프 자바스의 의견에 따르면 블로그가 되었건 일반 사이트가 되었건 잘할 수 있는 부분만 스스로 쓰고 나머지는 모두 링크에 맡기라고 한다. 이미 인터넷에는 뛰어난 컨텐츠들이 많고 내가 말하고자 하는 내용들도 얼마든지 있으니 내가 뭔가를 만들려고 한다면 내가 자신있게 할 수 있는 부분만 내가 쓰고 내가 자신없는 부분은 그 부분을 잘 표현한 다른 컨텐츠의 URL을 링크로 걸어서 내 컨텐츠를 보는 사용자가 쉽게..
-
검색 시장을 장악하는 것이 인터넷을 장악하는 것!IT topics 2007. 7. 6. 15:00
우리는 생활속에서 인터넷을 즐긴다. 인터넷으로 신문도 보고, 인터넷으로 동영상도 보고, 인터넷으로 게임도 하면서 지낸다. 이 모든 것들이 다 인터넷이라는 거대한 영역안에 다 있다. 우리는 현재 인터넷이 주는 편의 속에서 행복해하며 살고 있다. 그럼 사람들이 인터넷으로 가장 많이 하는 것이 뭘까? 신문을 많이 볼까? 아니면 동영상을 많이 볼까? 아니면 게임을 많이 할까? 사람들마다 각기 틀릴 것이다. 연령층마다 틀릴 것이며 어떤 직업을 갖고 있느냐에 따라서도 틀릴 것이다. 난 어제 '이것이 네이버다'라는 책을 소개하면서 네이버 뿐만 아니라 다음, 엠파스와 같은 포탈 사이트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무엇일까 생각해보았다. 그리고 퇴근하면서 그 책을 다시 한번 천천히 읽어봤다. 책 리뷰 : 이것이 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