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지
-
[Pogoplug] 포고플러그를 통해서 개인 웹스토리지와 개인 스트리밍 서버를 만들어 운영해보자Review 2011. 12. 12. 08:30
무선인터넷이 활성화되고 스마트폰의 사용이 많아지면서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관심도 많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기본적으로 스마트폰의 용량이 PC와 달리 제약이 있기 때문일 수도 있다(물론 최근에서 16, 32GB를 넘어 64GB도 나오는 추세인지라 그런게 의미가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스마트폰 자체의 제한된 용량을 클라우드 서비스의 스토리지 서비스(드롭박스, 다음 클라우드, 유클라우드, N드라이브, 스카이드라이브 등)를 이용해서 해소해보려는 움직임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단순히 클라우드 서비스가 인터넷 웹디스크 역할만 하는 것인가 하면 그것은 아니다. 이른바 N스크린 서비스로서의 클라우드 역할도 중요한데 PC에서 보던 컨텐츠를 스마트폰에서도 보고 아이패드나 갤럭시 탭과 같은 태블릿에서도 볼..
-
중요한 파일을 온라인으로 백업해두자. EMC의 온라인 백업서비스, 모지(Mozy)Cloud service 2009. 10. 22. 08:50
예전에 EMC에서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블로거 간담회를 진행했을 때 EMC는 퍼블릭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고 한 적이 있다. 모지(Mozy)라는 서비스였는데 온라인 백업서비스였다. 최근 EMC는 다시한번 블로거 간담회를 열고 모지 서비스에 대해서 설명하는 시간을 가졌었다. EMC의 발표에 의하면 개인이 1년동안 만들어내는 데이터의 양은 무려 92GB라고 한다. 물론 여기에는 복사도 들어갈 것이다. 파일을 업로드하고 다운로드하고 하는 모든 데이터의 양이 92GB라고 하니 만만치 않은 규모다. 이런 식으로 향후 기업뿐만 아니라 개인이 데이터를 만들고 유통하는 양은 점점 더 늘어날 것이다. 그와 동시에 자신이 갖고있는 데이터에 대한 보안 및 백업에 대한 요구도 점점 강해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
-
EMC가 준비하고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Decho 말고 더 필요할 듯 싶은데...Cloud service 2009. 6. 15. 09:42
웹2.0이 붐을 일으킨 이후 웹 플랫폼들의 변화와 성장의 속도는 매우 높아져갔다. 기존에 프레임 구조를 통해서 구성되었던 메뉴 등은 AJAX 기술을 통해서 필요한 부분만 재구성(페이지를 필요한 부분만 다시 읽어들이는 등)하는 방식으로 효율성은 높혔고 블로그 등을 이용한 다양한 웹페이지 구성의 변화는 CMS(컨텐츠 메니지먼트 시스템)를 한단계 더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RSS 등의 자동화된 송수신 프로토콜은 각종 웹 서비스들의 생산성 및 사용성을 높혀주게 되었다. 그리고 구글 등의 웹서비스 회사들은 자기들이 갖고 있는 방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공개하기 시작했고 또 사용자들의 데이터들을 자신들의 데이터 센터에 유치하면서 그것들을 다시 자신들의 서비스로 재생산하기 시작했다. 그것의 최종 목적지는 다름아닌 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