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모델
-
한국에서 블로거로 먹고 살기 위해서는 뭐가 필요하노?Blog 2008. 5. 20. 16:48
가끔 블로그를 운영하다보면 어쩔때는 블로그만으로 먹고 살아봤으면 하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 프로블로거, 전업블로거를 꿈꿀때가 종종 있다는 얘기다. 주변의 아무런 방해없이 순수하게 블로깅만 하면서 살면 얼마나 편할까 하는 생각이 가끔 나는 것은 비단 나 뿐만은 아닐 것이다. 현재 적어도 한국에서 블로깅을 하는 대다수의 블로거들은 다른 직업을 갖고 있으면서 취미로 블로깅을 하는 아마추어 블로거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흔히들 말하는 파워블로거라 불리는 유명블로거들도 각기 자기 본 직업은 갖고 있으면서 취미생활로 블로깅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내가 알기로 국내에서 전업블로거로 활동하고 있는 블로거는 아마 태우님 한명 뿐일려나. 마이크로소프트웨어에 소개된 제닉스님도 전업블로거라 소개되었으니 그분까지 합치면 ..
-
네이버, 드디어 무료백신을 배포하는가.IT topics 2008. 1. 15. 13:45
예전에 네이버가 실시간 감시기능이 있는 백신을 PC그린이라는 이름으로 배포할려고 했었다. 그런데 국내 백신업계의 반발로 무산이 된 적이 있다. 네이버의 무료백신 중단을 보고 (2007. 12. 3) 그러는 가운데 야후가 비전파워로부터 엔진을 제공받아서 야후툴바에 실시간 감시기능이 포함된 무료 백신을 배포하기에 이른다. 포털제공 무료백신, 대세되나…야후, 첫 서비스 (2007. 12. 26) 또 알소프트는 알약이라는 무료 백신을 정식으로 배포하기 시작했다. 그러는 가운데 네이버가 드디어 안연구소와 무료백신을 만들기로 합의했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안철수연구소-NHN, 네이버 무료백신 합의 (ZDNet Korea) 네이버는 PC그린에 안철수연구소의 백신을 포함하여 배포할 예정이다. 게다가 이미 PC그린에 있는..
-
네이버가 구글 애드센스와 같은 수익 프로그램을 운영한다면?IT topics 2008. 1. 14. 18:36
벤쳐에서 열심히 만든 웹2.0 솔루션이 대기업과 포탈사이트의 횡포(?)로 빛도 못보고 사장된다는 이야기를 이전의 포스트에서 다루었다. 이번 역시 제5회 난상토론회때 다뤘던 이야기중에 하나를 얘기해보고자 한다. 많은 블로그에 달려있는 광고가 있다. 이 블로그에도 달려있다. 다름아닌 구글 애드센스다. 구글에서 제공하는 문맥 매칭 광고 프로그램이다. 구글의 애드워즈 솔루션을 통해서 키워드를 구입하면 애드센스를 통해서 컨텐츠와 매칭되는 광고를 보여주는 그러한 프로그램이다. 클릭을 통해서 해당 사이트에 들어가게 되면 광고가 진행되었다고 판단하고 그 광고에 대한 광고료의 일부를 애드센스를 설치한 블로그에게 돌려주는 구조로 되어있다. 광고의 종류에 따라서 $0.01부터 시작하여 어떤 광고는 $10을 넘기도 한다고 한..
-
제5회 난상토론회 후기IT topics 2008. 1. 4. 17:24
작년 12월 29일 토요일에 스마트플레이스에서 주최한 제5회 난상토론회가 있었다. 날짜한번 너무 도발적이어서 과연 얼마나 참가할까 생각했는데 가보니 꽤 많이 참석했다. 누구 이야기로 할일없는 블로거들이 죄다 모였다고 할 정도였으니(^^). 그날은 날씨도 무지 추웠는데 말이다(참고로 집으로 돌아갈 때 꽤나 고생했다. 추워서). 이번에는 문화관광부가 후원을 한거 같다. 그 외에도 많은 기업에서 스폰서를 받은듯 싶다. 난상토론회는 이런게 되는듯 싶다(역시 규모가 크니). 4회때는 아이스브레이크때 너무 시간을 많이 잡아먹어서 토론을 한번만 했는데 이번에는 두번으로 나눠서 했다. 1부때 토론과 2부때 토론이 다르며 토론 참가자들도 다르게 정해지는 방식이다. 덕분에 2가지 주제로 토론할 수 있어서 좋았다. 1부때의..
-
구글의 부러운 점과 국내 포탈사이트에 대한 바램IT topics 2007. 12. 3. 13:57
이 글은 Eau Rouge의 ‘구글, 과연 한국 시장에서 실패하고 있는 것일까?‘라는 포스트를 읽고 나름 생각을 정리해보고자 쓴 글이다. 한국 안에서만 본다면 구글은 점유율이 네이버나 다음, 엠파스, 야후 등의 포탈사이트에 못미치고 있는 상황이다. 미국 검색점유율 1위, 전세계 검색점유율 1위라는 명성이 무색할 정도라고 할 수 있다. 어떻게 보면 처참할 정도라고 할 수 있겠다. 구글의 중역들도 한명한명 한국을 방문하면서 한국시장에 힘을 쏟겠다고 하지만 그렇다할 결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왜일까? MP4/13님의 의견에 의하면 구글은 전세계적으로 로칼라이징(Localizing, 지역화)에 그다지 신경을 쓰고있지 않는다고 한다. 대신에 어떤 나라의 구글에서건 모두 비슷한 환경, 모양, 퍼포먼스를 보여주고 있다..
-
올블로그, 새로운 올블릿 광고 시스템인 애드너지를 선보여..Blog 2007. 6. 21. 20:30
서명덕 기자님의 블로그에서 다음의 소식을 들었다. 아무래도 올블로그에서 새로운 CPC 광고 수익 모델을 내놓은듯 했다. 올블, '애드센스 단점' 보안 CPC 광고 첫선 (서명덕기자의 인터넷세상) 올블로그가 올블릿II를 내놓으면서 옥션과 계약을 맺고 광고 게제 시스템을 선보였는데 영 신통치는 않은 모양이다. 그래서 OPMS와 손잡고 AdNudge라는 서비스를 만들어서 구글 애드센스나 다음 애드클릭스와 비슷한 형식의 CPC 광고를 선보인 것이라 생각이 든다. 모양이나 형식등이 구글 애드센스와 거의 흡사하다는 느낌을 갖는다. 다음 애드클릭스도 역시 마찬가지였지만 말이다. 구글 애드센스보다는 더 컨텐츠의 내용에 맞는 광고가 게제될 수 있도록 보안했다고 하는데 어느정도일지는 모른다. 일단 광고주 확보가 시급할테니..